Disney’s FY2025 Earnings: The Triumph and Turmoil of Streaming Transformation

Disney FY2025 Earnings Analysis: Streaming Triumph vs. Legacy Media Dilemma


: 디즈니 실적, 스트리밍 흑자 전환과 레거시 미디어 쇠퇴, 그리고 배급권력 변화의 딜레마

  • Disney’s fourth quarter and annual results for 2025 symbolize the media industry’s turbulent pivot toward streaming, revealing both the milestone of DTC profitability and the painful decline of legacy media businesses.
  • The company’s success with bundles and strategic B2B2C partnerships—contrasted against collapsing TV revenues and protracted distribution disputes—illustrates the complex “dual mandate” now facing every traditional media player: defending legacy cash flows while scaling new digital growth in an era of shifting power dynamics.

Disney’s fourth quarter and full-year 2025 results encapsulate the broader transformation underway in the global media industry. The company’s direct-to-consumer (DTC) streaming business turned the corner into profitability after years of heavy investment, but this success was overshadowed by the accelerating decline of its legacy TV networks and ongoing channel carriage disputes—leading to a 9% drop in Disney’s stock price following the report.​

Streaming: DTC Turnaround and Bundling Success

DTC revenue for Q4 2025 reached $6.25 billion, up 8% YoY, with operating income surging 39% to $352 million. For the full year, Disney’s DTC segment decisively reversed a $4B annual loss into sustained profitability.​

The turnaround is credited to the shift from a subscriber acquisition focus in 2022 to a bundled, value-driven model with enhanced profitability from 2024 onward.

Notably, new partnerships—such as Hulu’s integration into Charter’s Spectrum Select pay TV bundle (at no additional cost to customers), and bundled streaming access to ESPN—drove most new subscriber growth. In Q4 alone, 8.6M of 12.4M total net subscriber adds came from the Hulu-Charter arrangement, reflecting the potency of the B2B2C (business-to-business-to-consumer) strategy.​

More than 80% of ESPN DTC app users now acquire access through Disney’s streaming bundles (e.g., with Disney+ and Hulu),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cross-selling and lifetime value maximization.

Bundled services are gaining traction globally, with 65% of SVOD users preferring bundles over single subscriptions. Bundles are especially popular among Gen Z, who are 45% more likely to choose them.​

Consumers save around $16.32/month (about ₩22,000) with bundles, and more than half report monthly savings greater than $15.thewaltdisneycompany

Bundling not only lowers churn, but also supports price increases by buffering value perception, especially for premium IP holders like Disney.

Content Investment and Sports Rights Dilemma

Disney plans $24B in content spend for FY2026, with a significant portion committed to ever-increasing sports rights costs—notably a new $76B NBA contract​

Sports remain strategic differentiators in streaming but suffer from exponential rights inflation, risking long-term ROI. Disney’s 10-K warning directly acknowledges this: “There is no assurance that the revenue generated by programming rights will exceed the associated production and acquisition costs.”

Competition from Big Tech—Netflix, Amazon, Apple—will likely raise rights costs further, creating potential market concentration and pricing pressures.

Channel Carriage Dispute with YouTube TV

Disney’s channels (including ESPN and ABC) have been off YouTube TV for two weeks due to a contract stalemate, with negotiations at an impasse as of November 2025.​

Disney warned in its 10-K that it cannot predict the length of the blackout nor reliably estimate the revenue impact, reflecting unprecedented uncertainty.​

CFO Hugh Johnston reported that negotiations could be protracted, and Disney has hedged risk in its guidance. Morgan Stanley estimates Disney is losing $30M/week (about $60M over 14 days) from the blackout, currently its longest carriage dispute on record.

The dispute signals a shift in bargaining power; tech giants like Google (YouTube TV) can withstand strategic losses on TV services thanks to cross-subsidy models—offsetting TV losses with profits in other divisions like search and cloud.

This capacity differentiates them from traditional cable/satellite operators and strengthens their hand in negotiations for content rights.​

Accelerated Legacy Media Decline

Disney’s linear network revenue slid 16% YoY in Q4, with total entertainment segment revenue down 6% (to $10.2B).​

The decline is compounded by lower viewership, weak advertising, and a $40M drop in political ad revenue compared to 2024’s U.S. election.​

Investors worry that even successful streaming won’t compensate for falling cash flows from legacy TV—prompting a 9%+ stock drop on November 14, 2025​

Parks & Experiences, Super App Vision

Disney’s “Experiences” division (parks & cruises) posted robust 6% revenue growth, with two new ships launched and international expansion (e.g., Abu Dhabi theme park) underway.

CEO Bob Iger articulated a “super app” vision—integrating streaming, merchandise, and ticketing within Disney+, aiming for customer lock-in and cross-selling.​

This strategy leverages Disney’s IP ecosystem, linking digital and physical touchpoints for a comprehensive user journey.

Short-Form & AI-Driven UGC Innovations

Disney is leaning into short-form content (e.g., Bluey) and preparing to launch AI-powered user-generated content (UGC) tools. CEO Iger foresees fans both creating and consuming short-form content in the Disney+ platform ecosystem—enabling deeper engagement but introducing moderation and IP challenges.

Strategic Outlook

Disney faces a “dual-track” dilemma: streaming profitability improves, but legacy business decay is accelerating. The company’s fate rests on maximizing cash flow from declining linear businesses, while systematically growing streaming margins and managing the transition.

Content distribution power is shifting towards platforms and Big Tech, foreshadowing more frequent, longer carriage disputes and a new era of negotiation dynamics.

Disney’s strategic focus will continue on organic portfolio optimization, premium IP exploitation, ecosystem integration, and disciplined content investment.


Key Numbers (FY2025 Q4):

MetricQ4 2025YoY Change
Revenue$22.46BFlat
Net Income$1.31B+185%
DTC Revenue$6.25B+8%
DTC Operating Income$352M+39%
Linear Network Revenue$2.06B-16%
Experiences Revenue$8.77B+6%
Experiences Op. Income$1.88B+13%
Adjusted EPS$1.11-3%

Disney’s journey exemplifies the complexity for legacy media companies: streaming growth is imperative, but adaptation must be swift enough to outpace the rapid decline in traditional revenue streams. The future will be defined by the company’s ability to balance dual imperatives—innovation and stability—while redefining the economics of content, distribution, and fan engagement in the digital era.


디즈니 2025 회계연도 실적 분석: 스트리밍 전환 성공 vs. 레거시 미디어 붕괴의 딜레마

핵심 요약: DTC 흑자 전환 성공했으나 실시간 TV 급락과 배급 분쟁으로 주가 9% 하락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상징하는 디즈니의 2025년 4분기 실적은 ‘스트리밍 전환 성공’과 ‘레거시 미디어 붕괴’라는 양극화된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2025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DTC(Direct-to-Consumer) 스트리밍 사업에서 역사적 흑자 전환을 이루며 콘텐츠 플랫폼 시대의 변화를 주도했다. 기존 케이블TV 및 실시간 미디어의 급격한 몰락, 그리고 유튜브TV와의 장기화된 배급 분쟁은 그 성공을 무색하게 만들며 투자자 신뢰를 흔들었고,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9% 이상 급락했다. 이 같은 현상은 전통 미디어 기업들이 반드시 풀어야 할 ‘이중 과제’—기존 사업의 현금흐름 방어와 신규 스트리밍 성장—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여실히 드러낸다.

DTC의 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과 번들링·B2B2C 모델의 성공, 거대 파트너사와의 생태계 협력이 가입자 확대와 가격 인상 저항력을 동시에 높이는 가운데, 실시간 TV 네트워크 매출 및 광고 매출은 이례적 속도로 하락해 전체 기업가치에 부담을 더하고 있다. 유튜브TV 등 빅테크 플랫폼과의 협상력 변화, 스포츠 중계권 비용의 폭증, 숏폼·AI·UGC 등 콘텐츠 패러다임 변화, 그리고 테마파크 등 체험 사업의 성장세까지—디즈니의 FY2025 실적은 미디어 산업 전반의 ‘창조적 파괴’와 전략적 균형의 시대적 딜레마를 집약한다.

스트리밍 사업 분석: 번들링 전략과 B2B2C 모델의 성공

디즈니가 DTC(Direct-to-Consumer, 직접 소비자 대상) 사업에서 2025년 4분기 매출 62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8% 증가), 영업이익 3억 5,200만 달러(39% 급증)를 기록하며 수익성 전환의 지속 가능성을 확실히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밥 아이거(Bob Iger) CEO가 언급한 "3년 전 연간 40억 달러 적자"와 비교했을 때, 2022년 가입자 확보에 초점을 둔 전략에서 2024년 이후 수익성 중심 전략으로의 성공적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부각된다. 특히 디즈니의 번들링 전략과 B2B2C(Business-to-Business-to-Consumer) 모델 효과가 뚜렷했다. 4분기 신규 가입자 1,240만 명 중에서 훌루(Hulu)가 860만 명을 차지했는데, 이는 차터 커뮤니케이션즈(Charter Communications)의 스펙트럼 셀렉트(Spectrum Select) 유료TV 번들 패키지에 광고 지원 훌루가 포함되면서 나타난 결과다.​ , 차터의 대표 유료방송 상품인 스펙트럼 셀렉트(Spectrum Select) 구독자들은 지난 2025년 6월부터 Hulu(광고 포함 버전) 을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스트리밍 버전의 ESPN도 이번 번들에 포함됐다.

이 같은 현상은 디즈니가 D2C(직접 소비자 확보)뿐 아니라 주요 통신사 등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한 번들 상품 간접 유통 채널을 전략적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ESPN DTC 앱의 80% 이상 가입자가 디즈니+, 훌루와의 번들을 통해 유입되는 등 플랫폼 간 크로스셀(cross-selling) 및 고객 생애 가치(LTV) 극대화 전략도 본격적으로 작동 중이다.​

Streaming App (영어)

스트리밍 앱 (한글)

Retail Value (USD)

소매가 (한화 환산)

TV Select 포함 여부

TV 셀렉트 포함 여부

Max with Ads

맥스(광고 포함)

$9.99

약 13,000원

포함

Disney+ Basic

디즈니+ 베이직

$9.99

약 13,000원

포함

ESPN+

ESPN+

$11.99

약 16,000원

✓ (Select Plus)

TV 셀렉트 플러스 포함

Paramount+ Essential

파라마운트+ 에센셜

$7.99

약 10,500원

포함

Peacock Premium

피콕 프리미엄

$7.99

약 10,500원

포함

AMC with Ads

AMC(광고 포함)

$6.99

약 9,100원

포함

ViX Premium con Anuncios

ViX 프리미엄(광고)

$4.99

약 6,600원

포함

Tennis Channel Plus

테니스채널 플러스

$9.99

약 13,000원

✓ (Select Plus)

TV 셀렉트 플러스 포함

discovery+ with Ads

디스커버리+ (광고)

$5.99

약 7,900원

포함 (출시예정)

BET+ Essential

BET+ 에센셜

$5.99

약 7,900원

포함 (출시예정)


글로벌 시장에서도 스트리밍 번들 상품이 가계 지출 부담 완화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뱅고(Bango) 조사에 따르면, SVOD(구독형 주문형 비디오) 이용자 65%가 단독 가입보다 번들을 선호하며, 최근 6개월 내 전체 구독자의 22%가 번들로 전환했다. 특히 Z세대는 32%가 번들을 선택하며, 타 연령 대비 번들 서비스 선택 확률이 4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자들은 번들을 통해 월평균 16.32달러(2만 2천 원) 정도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으며, 절반 이상이 월 15~24달러를 실질적으로 아끼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번들 전략이 서비스 해지율 감소와 브랜드 서비스 필수성 강화를 동시에 이끌고 있다고 강조한다. 가입자 수 증가는 콘텐츠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지고 있어, 디즈니의 프리미엄 IP(지적재산권) 시장 지배력과 가격 탄력성이 낮음을 재확인시켜 준다.​​

종합하자면, 디즈니는 번들 전략과 파트너십 강화, 프리미엄 IP 활용을 통해 스트리밍 사업의 수익성과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높여나가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유사한 모델의 확산을 촉진할 전망이다.

콘텐츠 투자 전략 분석: 스포츠 중계권 비용 급등과 수익성 리스크

디즈니는 2026 회계연도에 프로그램 라이선싱 및 제작에 약 24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으로, 이는 2025 회계연도 대비 10억 달러(약 4.3%) 증가한 규모다. 이 중 상당 부분이 스포츠 중계권 비용 증가에 기인한다. 특히 760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NBA 전국 중계권 계약이 결정적 변수로 작용했다.

이는 스트리밍 시대 스포츠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와 구조적 딜레마를 동시에 드러낸다. 스포츠는 실시간 시청을 유도하는 '광고 프리미엄' 콘텐츠로서 DTC 플랫폼의 차별화 요소지만, 중계권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면서 투자 대비 수익(ROI)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는 구조적 모순에 직면해 있다.

디즈니는 10-K 보고서 위험 요인 섹션에서 이례적으로 솔직하게 우려를 표명했다. "특정 프로그래밍 권리 획득 비용이 증가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수 있다"며 "이러한 권리 기반 프로그래밍의 수익이 권리 비용과 제작·배급 비용을 초과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고 밝혔다.

이는 미디어 산업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반영한다. 스포츠 리그들은 스트리밍 플랫폼 간 경쟁을 활용해 중계권 가격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으며, 넷플릭스(Netflix), 애플(Apple), 아마존(Amazon) 등 빅테크 기업들의 스포츠 시장 진출이 가격 상승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유튜브TV 분쟁 분석: 배급 권력 구조의 변화와 장기전 전망

디즈니와 유튜브TV(YouTube TV) 간 프로그램 배급 분쟁은 계속되고 있다.  15일 분쟁은 종료됐지만 이는 미디어 산업의 권력 구조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다. ABC, ESPN 등 약 20개 디즈니 채널이 미국 4위 유료TV 사업자(유튜브TV)에서 2주째 서비스 중단된 상황은 전통 콘텐츠 기업과 빅테크 플랫폼 간 협상력 균형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디즈니는 10-K 양식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채널들이 2025년 10월 30일 배급 계약 만료 후 갱신 조건 합의 없이 유튜브TV에서 제거되었다"고 공시하며, "서비스 차단 지속 기간을 예측할 수 없으며 영업 실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디즈니의 휴 존스턴(Hugh Johnston)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25년 11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유튜브TV와의 캐리지 협상이 “한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밝혔으며, 회사가 재무 가이던스에 대비책(헤지)을 마련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추정치에 따르면, 디즈니는 본 분쟁으로 주당 약 3,000만 달러, 2주(14일)간 약 6,000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 이는 하루 약 430만 달러에 해당한다.​

특히, 이번 유튜브TV 캐리지 블랙아웃은 현재 14일째 지속 중이며 디즈니 역사상 최장기 송출 중단 사태로 기록되고 있다. 이전에는 2024년 디렉TV 분쟁의 13일이 최장이었

분쟁의 본질: 배급 권력의 재편

이 분쟁은 단순한 가격 협상을 넘어 미디어 생태계의 권력 이동을 반영한다. 디즈니는 유튜브와 구글(Google)이 "시장 지배력을 불공정하게 이용해 요금을 낮추려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유튜브는 디즈니의 요구가 "가격 인상을 초래할 것"이라 맞서고 있다.

밥 아이거(Bob Iger) CEO는 컨퍼런스콜에서 "우리가 제안한 조건은 다른 대형 유료TV 배급사들이 이미 합의한 조건과 동등하거나 더 나은 수준"이라며 "새로운 선례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제공하는 가치를 반영하는 거래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여기서 핵심은 유튜브TV가 '다른 대형 배급사'와 같은 범주에 속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구글은 검색, 유튜브 플랫폼, 광고 기술 등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전통 케이블/위성 사업자들과는 협상력 구조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유튜브TV는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전략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크로스 서브시디(cross-subsidy)' 모델이 가능한 것이다. 크로스 서브시디란 한 사업부문의 이익으로 다른 부문의 손실을 보전하는 경영 전략을 의미한다.​

유튜브TV는 구글의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내에서 손실을 감수해도, 모기업(알파벳/구글)이 보유한 다른 수익성 높은 사업(검색 광고, 클라우드 등)의 이익으로 적자를 메꿀 수 있다.​  이런 구조 덕분에 유튜브TV는 구독자 유지, 시장점유율 확대, 브랜드 강화에 집중하면서 당장의 행정적·재정적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다.

크로스 서브시디 모델은 유튜브TV가 단기적인 적자 혹은 콘텐츠 블랙아웃과 같은 사태에도 대기업의 수익기반을 활용해 시장 전략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준다.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배급 갈등

디즈니는 10-K 보고서에서 2026년 만료 예정인 다른 유료TV 사업자 계약들도 "일시적 또는 장기적 서비스 차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추가 캐리지 분쟁 가능성을 경고했다.

전통 미디어 기업들은 실시간 TV 시청률 급락으로 협상력이 약화되고 있는 반면, 스트리밍 플랫폼과 빅테크 기업들은 대안 콘텐츠 소싱 능력과 기술 역량으로 협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불균형은 향후 콘텐츠 배급 계약 전반에서 긴장을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레거시 미디어 붕괴 가속화: 구조적 전환의 고통

유튜브 블랙아웃은 11월 1일 시작돼 2025 회계연도 실적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하지만, 전통 텔레비전의 구조적 붕괴는 디즈니 전체 실적에는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이는 스트리밍 성공에도 불구하고 레거시 사업의 급락이 전체 기업 가치를 잠식하는 '이중 궤도(dual-track)' 딜레마를 극명하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