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hakes the Foundations of Media Empires: Disney’s IP Battle Signals a New Age
AI Shakes the Heart of Media Empires: Disney’s Warning and the Legal Battle Over Content Order
디즈니, 캐릭터AI에 '브랜드 훼손 금지' 최후 통첩
글로벌 미디어 기업 AI개발사 상대로 집단 공제 체제 완성
휴먼 콘텐츠 VS AI콘텐츠가 격돌하는 '숏폼 시장'
In 2025, the global media industry has escalated from mere technological innovation to an all-out clash around creator rights and industry order. Disney sent a cease-and-desist letter to AI chatbot platform Character.AI, demanding the removal of unauthorized Disney characters—including Mickey Mouse—used in ways that allegedly harm the brand’s reputation and pose risks to children. Character.AI complied but stressed that users create all bots and that reported content is swiftly removed.
At the same time, Disney, NBCUniversal, and other major studios filed an unprecedented lawsuit against image-generation AI Midjourney in U.S. federal court. The studios allege systematic copyright infringement, brand dilution, and seek damages for market harm caused when AI-generated content replaces or replicates original IP. The litigation demands platforms be held not only for direct infringement, but also for vicarious and contributory liability—the idea that tech companies are responsible if they profit from, or fail to prevent, copyright misuse on their platforms.
Meanwhile, OpenAI’s launch of the Sora 2 AI video generator, which adopts an “opt-out” copyright policy, further disrupts the content landscape. Under this system, copyrighted material can be used for AI generation unless rightsholders explicitly object—a stark contrast to traditional “opt-in” systems. As platforms like TikTok, Instagram Reels, and YouTube Shorts are reshaped by AI-generated video at scale, the clash between legacy IP control and limitless AI-driven creation intensifies.
At this crossroads, media powerhouses and AI upstarts are racing to define the future content order—one that could radically reshape global entertainment, copyright law, and the foundation of media business itself.
AI, 미디어 제국의 심장부를 뒤흔들다...집단 소송에서 '옵트인' 방식까지
2025년 가을, 글로벌 미디어 산업에 전례 없는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미키마우스의 제국 디즈니가 AI 챗봇 플랫폼 캐릭터AI에 법적 최후통첩을 보내고, 할리우드 거대 스튜디오들이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를 상대로 273억 원 규모의 집단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단순한 저작권 분쟁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훨씬 더 거대한 충돌이 숨어 있다.
한편에서는 수십 년간 공들여 쌓아올린 캐릭터와 브랜드 가치를 지키려는 전통 미디어 제국들이, 다른 한편에서는 '무제한 창작'과 '옵트아웃' 정책으로 기존 저작권 체계를 우회하려는 AI 빅테크 기업들이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디즈니·NBC유니버설·워너브라더스로 대표되는 레거시 미디어가 IP 보호의 마지노선을 긋는 순간, 오픈AI는 동영상 생성 AI 소라2를 앞세워 틱톡·인스타그램 릴스·유튜브 숏츠가 장악한 숏폼 시장에 정면 도전장을 내밀었다. 특히 오픈AI는 저작권자의 거부가 없으면 특정 콘텐츠를 AI를 이용한 재생산에 쓸 수 있게 하는 '옵트아웃' 정책을 내놨다. AI 숏폼의 폭발적 성장이 예상된다.
이제 문제는 단순히 '누가 법정에서 이기느냐'가 아니다. AI가 매일 수백만 개의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고, 창작자의 동의 없이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며, 브랜드 가치를 순식간에 복제·유통할 수 있는 시대에, 과연 누가 콘텐츠 질서의 주도권을 쥘 것인가. 창작자의 권리는 어떻게 보호되며, 산업의 신뢰는 어떻게 유지될 것인가.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콘텐츠 강국들은 이 거대한 변곡점 앞에서 어떤 선택을 내려야 하는가.
2025년, 우리는 단순한 기술 혁신의 시대를 넘어, 콘텐츠 생태계 전체가 재편되는 문명사적 전환기 한가운데 서 있다. 이 싸움의 결말은 향후 10년 글로벌 미디어 산업의 지형도를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다.
디즈니, Character.AI에 "즉각 중단" 최후통첩
2025년 9월 말, 디즈니는 미키마우스를 비롯한 자사 IP가 무단으로 적용된 챗봇이 성적·아동 유해 콘텐츠로 악용되고 있다며, Character.AI에 즉각적인 중단명령서(cease and desist letter)를 발송했다. 디즈니는 단순 저작권 침해를 넘어 “브랜드의 존엄성과 신뢰에 심각한 피해”를 핵심 문제로 강조했다.
디즈니는 이번 사안을 단순한 저작권 침해를 넘어,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에 치명적 손상을 주는 “브랜드 본질 훼손 행위”로 규정했다. Character.AI 측은 문제된 캐릭터를 삭제하고, “모든 콘텐츠는 이용자가 생성한 것”이라며 선제적 필터링 책임에 대한 언급은 자제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는 전통 미디어 기업들이 AI 기업의 자유 확산적 문화를 경계하고, 본격적으로 마지노선을 긋기 시작한 신호탄으로 기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