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PCOM 2025: The Big Bang of Traditional Media and Creator Economy
MIPCOM 2025: The Big Bang Between Traditional Media and the Creator Economy
YouTube enters MIPCOM for the first time, ushering in a $1 trillion creator market
Cannes, France — Special Report — MIPCOM 2025 has rewritten the history of the global media industry. Marking its 20th anniversary, YouTube officially joined MIPCOM for the first time, signaling the end of a decades-long “cold war” between traditional broadcasters and digital platforms. The new era of collaboration has now begun — and it’s bigger than anyone imagined.
Banijay and YouTube launch €50,000 “Entertainment Creators Lab”
On the Grand Auditorium stage, Variety Vanguard Award recipient Marco Bassetti, CEO of Banijay Entertainment, stunned attendees by announcing a new partnership with YouTube: the launch of the Entertainment Creators Lab in France.
“We have a huge catalog of dormant formats. This is an opportunity to test, launch, and expand them for the future,” said Bassetti in a fireside chat with Variety.
Under the program, five verified French YouTubers — each with at least two videos over 100,000 views — will reinterpret Banijay’s classic entertainment formats for 21st-century digital audiences. Each creator will receive up to €50,000 in development and pilot production funding, mentorship from Banijay France’s veteran producers, and full technical support from YouTube France.
Completed pilots will debut simultaneously on the creators’ own channels and Banijay’s new hub, Banijay Creators Studio, maximizing the synergy between personal and corporate branding.
Selected formats include Minute to Win It, 1ère Compagnie, Got to Dance, Dilemme, and La Tête et les Jambes — all proven television IPs now reimagined for digital platforms.
Banijay Chief Digital Innovation Officer Damien Viel described the project as “a creative R&D sandbox,” adding, “Our business DNA is rooted i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 the same values driving YouTube creators. But now we must bridge that gap more effectively.”
YouTube France Managing Director Justine Ryst praised the program as “a bold, forward-looking partnership that reflects today’s viewing habits perfectly.” Banijay France CEO Alexia Laroche Joubert added, “This is how we unify our two worlds — by opening up our brand to new forms of creative expression and collaboration.”
Following its French launch, the program will expand globally as a core driver in Banijay’s roadmap to reach €7 billion in revenue by 2028.
BBC Studios: From Reach to Affinity
Another standout moment at MIPCOM’s YouTube panel came from BBC Studios. Pedro Pina, YouTube’s EMEA head, and Jasmine Dawson, BBC Studios VP of Digital, demonstrated how traditional media can reinvent itself for the creator-driven era.
“Distribution used to mean pushing content to millions. That doesn’t work anymore,” said Pina. “Today, it’s pull, not push — nurturing fandoms that attract audiences organically. The only way to ‘hack’ the algorithm is to care deeply about your audience.”
BBC Studios took this philosophy to extremes — hiring actual YouTube creators into executive leadership roles through its Creators in Residence program. Dawson explained, “We’ve recruited creators into management positions. They live and breathe their channels 24/7. We learn as much from them as they do from us.”
BBC Studios now runs over 90 social media channels and has built a dedicated social-first sales team specializing in platform-native ad partnerships across YouTube, Facebook, and Snapchat. Its success metric has also changed: from reach to affinity.
“Don’t chase scale,” Dawson advised smaller producers. “Focus on why people care. For us, the affinity metric is watch time.” BBC’s YouTube CTV viewership now exceeds 70%, representing community-driven engagement rather than pure ratings.
The Data-Driven Creator Mindset
Creators, said Pina, are “data scientists once the camera turns off.” They analyze their content second by second, refining strategy with precision. One fashion YouTuber famously discovered that “mascara doesn’t work on Thursday mornings,” highlighting the micro-level insight traditional media often lacks.
This relentless feedback loop — understanding what works and what doesn’t in real time — is at the heart of the creator economy’s agility and its growing dominance over legacy production models.
YouTube’s Open-Door Model: “Your Success Is Our Success”
Unlike traditional commissioning models, YouTube’s business foundation is based on shared success. “We don’t commission content,” Pina said. “If you win, we win. If you don’t, neither do we.”
The platform now offers over 20 monetization tools — spanning e-commerce, memberships, podcasts, Shorts, and livestreaming — all within a commission-free framework. Every kind of content creator, including studios and broadcasters, can find their space here.
“We came to MIPCOM because we want to partner with traditional producers,” Pina said. “The creative talent here deserves global reach — and YouTube can make that happen.”
The Next Five Years: When Disney Joins the Game
Panelists predicted the next major growth wave of the creator economy will come not from independent YouTubers but from major studios — Disney, Warner, Universal — entering the ecosystem with their vast IP libraries.
When these global giants bring their massive archives and storytelling power to platforms like YouTube, the boundaries between television, streaming, and creator economy will blur completely.
Banijay’s expansion strategy reflects this shift: following acquisitions of Zodiak (2016), Endemol Shine Group (2020), and Beyond International (2022), the company is positioning YouTube as its fourth key distribution pillar alongside Netflix, Prime Video, and Disney+.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Korean Media
Banijay’s roadmap offers key insights for the Korean content industry. As Banijay seeks stronger partnerships in Asia, Korean production houses can leverage collaborations to gain format adaptation expertise, global distribution channels, and direct streaming access.
For K-content, combining Banijay’s vast IP production network with YouTube’s distribution reach could exponentially boost global visibility — fostering new co-productions and expanding market share far beyond Asia.
Conclusion: MIPCOM 2025 Opens the Door to a Unified Future
MIPCOM 2025 wasn’t just a marketplace — it was a turning point. With Banijay and YouTube uniting a €22 billion studio legacy and a $1 trillion creator economy, the long-standing wall between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has finally fallen.
Their Creators Lab marks the first real-world experiment proving that veteran production craftsmanship and digital-native intuition can co-create explosive new storytelling formats.
As Pedro Pina concluded, “Our door is open — and we’re ready to talk to everyone.” The future of media isn’t divided anymore. The next chapter began in Cannes, October 2025 — when Banijay shook hands with YouTube, and the tectonic plates of the global content industry began to shift.
밉컴 2025, 전통 미디어와 크리에이터 경제의 '빅뱅'
유튜브 20주년 첫 참가로 1조 달러 크리에이터 시장 본격 개막
[프랑스 칸=특별취재팀]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 밉컴(MIPCOM) 2025가 미디어 산업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창립 20주년을 맞은 유튜브(YouTube)가 처음으로 밉컴에 공식 참가하면서, 전통 방송과 디지털 플랫폼 간 수십 년간 이어진 '냉전'이 종식되고 본격적인 협업 시대가 열린 것이다.
특히 세계 최대 독립 콘텐츠 제작사 바니제이 엔터테인먼트(Banijay Entertainment)와 유튜브의 전략적 파트너십 발표는 업계에 충격파를 던졌다. 연 매출 22억 유로(약 3조 3천억 원), 23개국 130개 제작사를 거느린 글로벌 거물이 유튜브와 손잡은 것이다. 연간 1조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 크리에이터 경제가 이제 전통 미디어의 방대한 IP 라이브러리와 결합하면서, 콘텐츠 생태계의 판도가 완전히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바니제이-유튜브, 5만 유로 지원 '크리에이터 랩' 출범
빅 브라더·마스터셰프 제작사, 휴면 IP 재활용 실험… 프랑스 시작으로 글로벌 확장
밉컴 2025 그랜드 오디토리움 무대. 버라이어티(Variety)로부터 뱅가드 어워드를 수상한 바니제이 엔터테인먼트의 마르코 바세티(Marco Bassetti) CEO가 발표한 소식은 참석자들의 이목을 단번에 사로잡았다. 바니제이와 유튜브가 프랑스에서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랩(Entertainment Creators Lab)'을 공동 출범한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방대한 휴면 포맷 카탈로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테스트하고, 론칭하고, 미래에 확장할 기회입니다." 바세티 CEO는 버라이어티와의 파이어사이드 챗에서 이같이 밝혔다.
세계 최대 독립 제작사의 파격 베팅
바니제이는 2008년 스테판 쿠르비(Stéphane Courbit)가 설립한 프랑스 다국적 기업으로, 파리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매출 약 22억 유로, 조정 EBITDA 4억 2,400만 유로를 기록하며 ITV, 프리맨틀(Fremantle) 등 경쟁사를 압도하고 있다. 특히 스트리밍이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며 넷플릭스(Netflix), 프라임 비디오(Prime Video), 디즈니+(Disney+) 등과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 중이다.
회사는 21만 5천 시간 이상의 프로그램 카탈로그를 관리하며, '빅 브라더(Big Brother)', '마스터셰프(MasterChef)', '서바이버(Survivor)', '딜 오어 노 딜(Deal or No Deal)', '헌티드(Hunted)', '템테이션 아일랜드(Temptation Island)' 등 글로벌 히트작을 보유하고 있다.
2016년 조디악 미디어(Zodiak Media), 2020년 엔데몰 샤인 그룹(Endemol Shine Group), 2022년 비욘드 인터내셔널(Beyond International)을 인수하며 급속 확장했고, 애니메이션, 스포츠 미디어, 몰입형 라이브 경험 분야로도 사업을 다각화했다.
바니제이는 2025년 자본시장의 날(Capital Markets Day)에서 2028년까지 글로벌 매출 70억 유로 달성 계획을 발표했다. 유튜브 배급 확대,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브랜디드 라이브 경험이 핵심 성장 동력이다.
크리에이터 랩의 혁신적 구조
이번 프로그램은 '창의적 R&D 샌드박스'로 설계됐다. 최소 10만 조회수 이상의 영상을 2개 이상 게시한 검증된 프랑스 유튜버 5명이 선발되어, 바니제이의 상징적 엔터테인먼트 포맷을 21세기 디지털 네이티브 관객을 위해 완전히 재해석한다.
선정된 크리에이터들은 각각 최대 5만 유로(약 7,500만 원)의 개발 및 파일럿 제작 지원금을 받는다. 여기에 바니제이 프랑스(Banijay France)의 베테랑 크리에이티브팀과 프로듀서들이 멘토로 참여하며, 유튜브 프랑스 팀도 전방위적 기술 자문을 제공한다.
완성된 파일럿은 크리에이터의 개인 채널과 함께 바니제이가 새로 론칭한 전용 채널 '바니제이 크리에이터스 스튜디오(Banijay Creators Studio)'에 동시 공개된다. 이는 개인 브랜드와 제작사 브랜드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양날의 전략이다.
랩에 선정된 포맷은 바니제이 프로덕션 미디어(Banijay Production Media)의 '미닛 투 윈 잇(Minute to Win It)', 엔데몰 프랑스(Endemol France)의 '1ère compagnie', DMLS TV의 '갓 투 댄스(Got to Dance)', 비프로드(BProd)의 '딜렘(Dilemme)', ALP의 'La tête et les jambes' 등 5개다. 모두 TV에서 검증된 IP를 디지털로 트랜스폼하는 실험이다.
바니제이의 최고 디지털 혁신 책임자 다메인 비엘(Damein Viel)은 "선구적이고 기업가적인 DNA가 우리 비즈니스의 핵심이며, 이는 우리 크리에이티브와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의 가장 큰 공통점"이라며, "하지만 우리는 새로운 기회와 대안적 경제 모델을 탐색하기 위해 그 격차를 더 효과적으로 메워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했다"고 설명했다.
유튜브 프랑스 총괄 저스틴 리스트(Justine Ryst)는 "이 파트너십은 유튜브와 바니제이 프랑스 같은 선도적 제작사 간의 시너지를 보여준다"며, "크리에이티브 커뮤니티의 전문성과 역량을 결합해 공동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여는, 대담하고 혁신적이며 오늘날 시청 습관에 완벽히 부합하는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바니제이 프랑스 대표 알렉시아 라로슈 주베르(Alexia Laroche Joubert)는 더욱 의미심장한 발언을 남겼다. "수년간 우리의 세계를 통합할 구체적이고 관련성 있는 방법을 찾아왔습니다. 이 벤처를 통해 바로 그 일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녀는 "혁신의 최전선에 서고자 하는 우리의 열망을 구현하며, 우리 브랜드를 새로운 표현과 창작의 영역으로 개방하고, 더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생태계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에서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곧 다른 주요 시장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바니제이는 이를 글로벌 표준 모델로 발전시켜, 2028년 70억 유로 매출 목표 달성의 핵심 전략으로 삼을 계획이다.
BBC 스튜디오 사례, 전통 미디어의 '교과서'로 부상
"도달률 버리고 팬덤 선택"… 조회수에서 친화도로 KPI 전환
밉컴 기간 중 열린 유튜브 콘텐츠 전략 패널은 이론이 아닌 실제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 유튜브 EMEA 책임자 페드로 피나(Pedro Pina)와 BBC 스튜디오(BBC Studios) 디지털 부사장 재스민 도슨(Jasmine Dawson)이 참여한 이 세션은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푸시에서 풀로: 근본적 패러다임 시프트
"유튜브를 방송 관점의 배급 플랫폼으로 보는 것은 완전한 오해입니다." 피나의 일갈이었다. "전통적으로 배급이란 수백만 명에게 콘텐츠를 푸시하면 마법처럼 관객 앞에 나타난다는 개념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는 이것이 더 이상 '푸시 메커니즘'이 아니라 '풀 메커니즘'이라고 강조했다. "팬덤을 큐레이팅하고 케어하는 것입니다. 팬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해 그들이 관객을 끌어당기기 시작하면, 관객이 반응하기 시작하고, 그 유명한 알고리즘이 콘텐츠를 전달하기 시작합니다."
피나는 "알고리즘을 속이는 유일한 방법은 관객을 케어하는 것"이라며, "관객을 매우 잘 이해한다면, 콘텐츠는 도달률을 찾을 것이고, 도달은 일어날 것"이라고 역설했다.
크리에이터를 임원으로: BBC의 파격 인사
BBC 스튜디오의 전략은 더욱 파격적이었다. 도슨은 "크리에이터들을 리더십 포지션, 임원 포지션에 채용했다"고 밝혔다. 100년 전통의 공영방송 그룹이 20대 유튜버에게 경영권을 나눠준 셈이다.
"크리에이터와 전통 디지털 팀 사이에는 실질적인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자신의 채널을 24시간 생각하는 크리에이터와는 다릅니다." 도슨은 '크리에이터스 인 레지던스(Creators in Residence)'라는 비공식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라고 소개했다. "크리에이터들이 우리의 놀라운 스토리텔러들에게 전례 없는 접근을 하지만, 동시에 우리도 서로에게서 배웁니다."
BBC 스튜디오는 독자적인 파트너 세일즈팀도 구성했다. "유튜브 세일즈에서 무엇이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우리 콘텐츠와 유튜브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소셜 퍼스트 세일즈 인력을 배치해 광고주와 긴밀히 협력합니다."
BBC Studios는 2020년 이후 'Creators in Residence' 프로그램을 도입해 신진 크리에이터, 유튜버, 젊은 작가들을 기존 방송 베테랑과 짝지어 실제 제작팀 또는 독립 제작사 리더십 포지션, 임원급 역할에서 실무와 경영에 참여하게 하고 있다. 2024년에는 디지털 중심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Digital Division Creators in Residence’를 신설, Top Gear, Doctor Who, Comedy Entertainment 등 대형 브랜드 본부 소속 임원단에 직접 배치해 6개월간 경영과 현장 제작을 동시에 경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수익 증대에도 힘쓰고 있다. BBC Studios는 유튜브, 페이스북, 스냅챗 등 글로벌 소셜플랫폼에서 콘텐츠와 광고 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Social-First 세일즈팀'을 구성, 주요 광고주와의 밀착형 파트너십, 디지털 퍼스트 세일즈를 실행하고 있다.
이 팀은 BBC Studios의 모든 소셜 채널(90여 개)에 최적화된 광고 세일즈와 크리에이터 및 소비자 트렌드 파악 등, 기존 방송 세일즈와는 완전히 다른 드라이브로 운영된다.
KPI 혁명: 도달률에서 친화도로
사실 가장 극적인 변화는 KPI(핵심성과지표) 전환이었다. "도달률을 쫓지 말고, 그런 규모 수치에 과도한 강조를 두지 말라"는 것이 도슨의 조언이다. "우리 관객이 왜 관심을 갖는지 진정으로 이해하십시오. 우리에게 그 친화도 지표는 시청 시간입니다."
그녀는 "관객 집착이 공통 기반"이며, "5년 후에도 관객이 우리를 관심 있게 여기도록 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그 이상은 생각하지 않는다. 5년이면 너무 많은 것이 바뀔 수 있으니까.”라고 말했다.
BBC 스튜디오는 유튜브 CTV(커넥티드 TV) 시청률이 70%대 후반에 달한다고 공개했다. 그녀는 "하지만 다릅니다. 커뮤니티입니다. 그들은 서로 참여하고 교육하며, 우리가 판매하는 다른 것들에 대해서도 참여하고 교육합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과학자로 변신한 유튜버들
"목요일 아침엔 마스카라가 안 먹힌다"… 초 단위 피드백 루프
패널에서 가장 흥미로운 대목은 크리에이터들의 데이터 활용 능력이었다. 피나는 "카메라를 끄면 유튜버들은 데이터 과학자가 된다"고 말했다.
"그들은 영상별로, 초 단위로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데이터 관점에서 속속들이 알고 있습니다. 무엇이 작동했고 작동하지 않았는지." 그는 실제 사례를 들었다. "패션 유튜버와 대화를 나눴는데, 그들은 목요일 아침엔 마스카라가 절대 안 먹힌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주일 내내 매일 마스카라를 푸시해봤지만 목요일만은 절대 안 된다는 겁니다."
그는 유튜브가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신화를 반박했다. "채널에 모든 영상을 올리면, 영상별로 관객이 얼마나 반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튜브가 제공하는 데이터는 대부분의 전통 측정 도구보다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콘텐츠 제작자들은 초 단위로 무엇이 작동하고 작동하지 않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습니다. 매우 겸손해지는 경험이죠." 피나가 말했다.
도슨은 "유튜버들이 실시간으로 펄스를 읽고 원어민이 아닌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언어를 이해하기 때문에, 그런 네이티브를 내부에 채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튜브의 약속: "여러분이 성공해야 우리도 성공"
20가지 수익화 도구, 커미션 없는 공유 모델
유튜브는 자신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피나는 "우리는 콘텐츠를 커미션하지 않습니다. 돈을 주고 수익을 되받는 게 아닙니다. 여러분이 성공하면 저도 성공합니다. 여러분이 성공하지 못하면 저도 성공하지 못합니다. 최고의 조합이죠"라고 설명했다.
플랫폼은 20가지 이상의 수익화 방법을 제공한다. E커머스, 다양한 페이월 우회 방법, 숏폼·롱폼·팟캐스팅·라이브 등 모든 형태의 크리에이티브 포맷을 지원한다. "한 지붕 아래서 여러분의 브랜드는 실제로 여러 포맷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피나는 "유튜버나 인플루언서뿐 아니라 모든 제작자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유튜브에 역할과 공간을 갖고 있다"며, "우리 플랫폼은 여러분과 협업하고, BBC 스튜디오가 하는 것과 유사한 여정을 함께하는 데 열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튜브가 20주년을 맞아 처음으로 밉컴에 참가한 이유에 대해 "전통 미디어 제작자들과 더 많은 파트너십을 맺고 싶다"며, "이곳에 있는 제작 역량은 믿을 수 없을 정도이며, 전 세계 관객에게 도달할 자격이 있는 놀라운 콘텐츠가 있다. 우리는 그것이 가능한 한 빨리 일어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크리에이터 경제의 미래: 디즈니가 뛰어든다면?
향후 5년 최대 성장 동력은 '대형 스튜디오 진입'
패널 참석자들은 크리에이터 경제의 미래에 대해 대담한 전망을 내놨다. "지금까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성장은 대부분 크리에이터들이 주도했습니다. 그들이 최초였고, 다른 출구가 없었으니까요. 주요 플랫폼에 진입할 수 없었죠."
"하지만 향후 5년간 크리에이터 경제의 최대 성장 부분은 여러분 같은 대형 스튜디오와 브랜드가 뛰어들어, 그들이 억누르고 있던 콘텐츠의 쓰나미를 가져오는 것에서 나올 것입니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한 참석자는 구체적 사례를 들었다. "디즈니(Disney)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여러분이 하는 방식으로 갑자기 뛰어든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상상해보십시오."
현재 BBC, ITV 스튜디오(ITV Studios) 등 주요 방송사의 상업 부문들이 유사한 경험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형 브랜드들의 이 완전히 새로운 시장 적응에는 시차가 있다는 지적이다.
바니제이의 경우 2028년까지 70억 유로 매출 목표 중 상당 부분을 유튜브 배급과 디지털 벤처에서 달성할 계획이다. 스트리밍이 이미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유튜브는 넷플릭스,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에 이은 네 번째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유튜브 시대' 소규모 제작사를 위한 조언
"조회수 버리고 친화도 잡아라"… BBC, 화이트 라벨 서비스 제공
도슨은 소규모 제작사들을 위한 실용적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두 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유튜브와의 협력과 그 파트너십이 어떻게 보이는지 이해하는 것은 메트릭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조회수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십시오. 친화도와 그것이 여러분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정말로 집중하십시오. 우리에게는 그것이 시청 시간이며, 관객이 우리 브랜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여러분의 UGC(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살펴보십시오."
"둘째, 우리와 대화하십시오. 우리는 만드는 방법을 알고, 파는 방법을 압니다.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놀라운 콘텐츠 스튜디오가 있지만, 이 공간에서 콘텐츠를 판매하는 방법도 알고 있습니다."
BBC 스튜디오는 이제 에이전시 영역으로도 확장했다. 화이트 라벨 상품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어린이 쇼 '빙(Bing)'을 제작하는 아카마(Acamar)를 대리하는 등 여러 고객사와 작업 중이다. "우리는 팬덤을 구축하고 그 팬덤을 상업화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믿습니다. 올해 더 많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도슨은 귀띔했다.
피나는 IP를 보유한 모든 이들에게 세 가지 핵심 조언을 제시했다. "첫째, 유튜브에서 찾을 관객은 여러분이 현재 방식으로는 도달하지 못하는 관객일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를 여러분 여정을 보완하는 것으로 생각하십시오. 첫 번째입니다."
"둘째, 실험하고, 실험하고, 또 실험하십시오. 유튜브에 뛰어드십시오. 작동하면 좋고, 작동하지 않으면 종료하면 됩니다. 괜찮습니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전문성을 확장하고 이 놀라운 플랫폼으로 실험하는 방법입니다."
"셋째, 여러분 콘텐츠로 하는 우리 비즈니스는 공유 성공 비즈니스라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여러분이 성공하지 않으면 우리도 성공하지 않습니다. 여러분 콘텐츠가 관객에게 도달하고 관객을 기쁘게 하는 능력, 여러분이 수익화하고 비즈니스를 만드는 것, 그리고 그에 따라 우리가 수익을 얻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가능한 한 많이 실험하십시오. 우리의 문은 열려 있고 모두와 대화할 의향이 있습니다."
한국 콘텐츠 산업에 주는 시사점
바니제이, 아시아 협력 강화… 포맷 각색·공동제작 수요 급증
바니제이의 2025~2028 로드맵은 한국 콘텐츠 산업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회사는 아시아 협력과 교차 시장 크리에이티브 개발에 대한 강한 수요를 예고하고 있다. 한국 제작사들이 바니제이와 같은 글로벌 메이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는다면, 포맷 각색 노하우, 글로벌 배급 네트워크, 스트리밍 플랫폼과의 직접 연결 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유튜브 배급을 포함한 멀티 플랫폼 전략은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도달률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회다.
바니제이가 23개국 130개 제작사를 운영하는 네트워크 모델은, K-콘텐츠를 현지화하면서도 글로벌 IP로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십 구조를 제공한다. 2028년 70억 유로 매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바니제이가 필요로 하는 것은 바로 한국과 같은 창의적 시장의 혁신적 콘텐츠다.
결론: 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챕터, 밉컴 2025가 연 미래
22억 유로 거물과 1조 달러 플랫폼의 만남… 전통과 디지털의 경계 붕괴
밉컴 2025는 단순한 콘텐츠 마켓이 아니었다. 그것은 미디어 산업 역사의 분기점이었다. 유튜브의 첫 공식 참가는 상징적 의미를 넘어, 지난 20년간 분리돼 있던 두 세계의 본격적인 통합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바니제이와 유튜브의 크리에이터 랩은 전통 미디어가 보유한 검증된 IP와 크리에이터의 디지털 네이티브 감각이 결합할 때 어떤 폭발력이 나올지 보여줄 첫 실험대다. 5만 유로 지원금은 숫자에 불과하다. 진짜 가치는 수십 년간 쌓인 프로듀싱 노하우와 수백만 팔로워를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크리에이터의 직관이 만나는 접점에 있다.
연 매출 22억 유로, 21만 5천 시간의 프로그램 카탈로그, '빅 브라더'부터 '서바이버'까지 글로벌 히트작을 보유한 세계 최대 독립 제작사가 유튜브와 손잡았다는 것. 그리고 2028년까지 70억 유로를 목표로 유튜브 배급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았다는 것. 이것이 시장에 보내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크리에이터 경제는 더 이상 개인 유튜버들만의 놀이터가 아니다.
BBC 스튜디오의 사례는 이것이 이론이 아니라 현실임을 증명했다. 100년 전통의 공영방송 제국이 20대 유튜버를 임원으로 앉히고, 조회수 대신 친화도를 KPI로 삼으며, 70% 이상의 CTV 시청률을 달성했다. "도달률 버리고 팬덤 선택"이라는 패러다임 전환이 실제로 작동한다는 살아있는 증거다.
데이터(Data)는 새로운 언어다. "목요일 아침엔 마스카라가 안 먹힌다"는 식의 초 단위 피드백 루프는 전통 미디어에겐 낯선 세계다. 하지만 이것이 바로 크리에이터들이 알고리즘을 '속이는' 유일한 방법이다. 속임수가 아니라 관객 이해. 푸시가 아니라 풀. 방송이 아니라 대화.
향후 5년, 크리에이터 경제의 폭발적 성장은 개인 크리에이터가 아니라 디즈니, 워너, 유니버설 같은 거대 스튜디오들의 본격 진입에서 나올 것이다. 그들이 보유한 수십만 시간의 콘텐츠, 수천억 달러의 IP 가치가 플랫폼으로 쏟아질 때, 시장은 다시 한 번 재편될 것이다.
바니제이는 이미 그 선두에 섰다. 2016년 조디악, 2020년 엔데몰 샤인, 2022년 비욘드 인터내셔널을 인수하며 공격적으로 확장해온 이 프랑스 거물은, 이제 유튜브를 통해 넷플릭스·프라임·디즈니+를 넘어서는 네 번째 핵심 배급 채널을 확보했다. 스트리밍이 이미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유튜브는 그 비중을 30%, 40%로 끌어올릴 게임 체인저다.
피나의 말처럼 "여러분이 성공하지 않으면 우리도 성공하지 않는" 공유 경제 모델은 전통적 커미션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20가지 수익화 도구, 무한한 실험 가능성, 그리고 실패해도 괜찮다는 문화. 이것이 유튜브가 제시하는 새로운 게임의 룰이다.
글로벌 시장은 한국 콘텐츠 산업에게도 여전히 기회의 창이다. 바니제이의 아시아 협력 강화,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공동 제작 수요 증가, IP의 멀티 플랫폼 확장. K-콘텐츠가 바니제이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유튜브의 배급 파워를 활용한다면, '오징어 게임' 이후 다음 글로벌 히트작을 만들어낼 수 있다.
밉컴 2025는 이렇게 선언했다. 전통 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 사이의 장벽은 이제 무너졌다. 실험, 모험, 관객 집착이라는 공통 가치 아래 양 진영이 하나로 수렴하고 있다. 더 이상 '브로드캐스터 vs 유튜버'가 아니다. 이제는 '함께'다.
문은 열렸다. 그리고 앞으로 5년은 그 어느 때보다 흥미로울 것이다. 피나의 마지막 말이 여운을 남긴다. "우리의 문은 열려 있고, 모두와 대화할 의향이 있습니다." 미디어의 미래는 이미 시작됐다. 그리고 그 출발선은 2025년 10월, 프랑스 칸이었다. 22억 유로 거물 바니제이가 1조 달러 플랫폼 유튜브와 손잡은 순간, 콘텐츠 산업의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2025년 10월 14일, 프랑스 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