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Emerges as 2nd U.S. Overseas TV Production Hub: 7 Major Shifts in Global Content Trends
Korea Emerges as Second-Largest U.S. Overseas TV Production Hub: 7 Major Shifts in Global Content Trends
[MIPCOM 2025 Report] Luminate: "K-Content Accounts for 64% of Netflix Originals... Non-English Content Demand Explodes"
Analysis of 21 trillion Data Points Reveals: "Cultural Impact Now Transcends Film, TV, Music, and Gaming Boundaries"
한국, 미국 TV 해외 제작지 2위 부상...영국·인도 제치고 13.5% 점유
비영어권 콘텐츠 수요 폭발...넷플릭스 오리지널 64%가 비영어 시리즈
루미네이트 21조 개 데이터 분석..."K-콘텐츠, 일시적 유행 아닌 구조적 변화"

Cannes Palais des Festivals: K-Content's Status Proven by Data
Cannes, France – October 13, 2:15 PM local time. The conference hall at the Palais des Festivals, overlooking the Mediterranean, was packed with broadcasting and film industry professionals from around the world. They gathered to hear Luminate's global trends presentation, one of the core sessions at MIPCOM 2025, the world's largest content market.

"Korea is now a global hub for U.S. content production."
Mark Hoebich, Executive Vice President of Luminate from Los Angeles, stated firmly as heads nodded throughout the audience. The screen displayed clear figures: from 2022 to 2025, Korea captured 13.5% of overseas production locations for U.S. TV programs, ranking second only to Canada (21.7%). Korea surpassed the UK (10.4%) and India (5.8%) to become a bona fide global production hub.
Luminate, the powerhouse of global entertainment data analysis, analyzes over 21 trillion data points annually. As the official data partner for the Billboard Charts and Golden Globes, the company's report wasn't mere speculation—it was a snapshot of an already unfolding reality.
Over 80 minutes, Executive VP Hoebich presented 50+ charts and graphs outlining seven major trends in the 2025 global entertainment industry. At the center was the remarkable rise of non-English content, particularly from Korea.

K-Content's Strength Proven by Numbers
"In Q1 2025, 64% of Netflix Original titles were non-English series."
Hoebich's statement drew gasps from attendees. This represents an 18 percentage point surge from 46% in 2022—in just three years.
The specific figures Luminate revealed were even more striking. In 2024, Korea led overwhelmingly with 60 local original productions across major U.S.-based streaming platforms. This far exceeded Japan (34 titles) and Brazil (22), and outpaced major European nations including France (18), Spain (20), and Germany (17).
Netflix productions like "Kingdom," "The Recruit," "XO, Kitty," and "Beef" were made in Korea, and these titles ranked high on global charts, proving Korea's production capabilities.
Nearly all major platforms—Prime Video, Disney+, Hulu, Max, Apple TV+—increased their non-English title ratios between 2024 and 2025. The only exceptions were Disney+ and Apple TV+, which Luminate attributed to their current strategies, with future changes remaining possible.
HBO Max's non-English content ratio surged from 18% in 2022 to 50% in 2025. Hulu also increased from 20% to 38%. "U.S. viewers have become very comfortable with and interested in non-English stories, perspectives, and talent," Hoebich emphasized. "This represents an enormous opportunity for producers worldwide, including Korea."


UK Content Also Dominates U.S. Market
Korea wasn't alone in its rise. British series also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 the U.S. market. UK series on U.S. SVOD platforms grew from just 11 in 2018 to a peak of 41 in 2022, maintaining 32 titles in 2024.
Netflix's "Adolescence" was viewed over 1.5 billion minutes in the U.S. alone in its first week, reaching #1 in 71 countries. "Baby Reindeer" and "Black Mirror" each garnered over 1 billion minutes of viewing in their first six weeks, demonstrating UK content's strength.
"UK content captivates U.S. viewers with its unique perspectives, high production values, and relatable themes," Hoebich noted.
Similar patterns emerged in film production. For U.S. films shot overseas, the UK ranked second at 14.2%, after Canada (16.4%). The UK has essentially become the home of period dramas, with most U.S. period pieces like "House of the Dragon," "Outlander," and "His Dark Materials" filmed there.
An interesting development is Italy's emergence. In 2025, Italy captured 7.2% of overseas filming for U.S. movies, rising to third place. Academy Award Best Picture nominee "Conclave," Tom Cruise's "Mission: Impossible – The Final Reckoning," and the talked-about "The Brutalist" were all filmed entirely or partially in Italy.


Seven Global Entertainment Megatrends
Based on vast information collected from over 50 countries and 500+ data providers, Luminate presented seven trends shaping the 2025 entertainment industry. The company tracks 19 billion daily audio streams, over 6 billion minutes of streaming video viewing, and more than 300 million content identifiers.
1. TV Production Decline: A Soft Landing
"The decline of Peak TV is slowing. Bad news is becoming good news."
As Hoebich explained, U.S. TV production peaked in 2022 (approximately 2,100 titles) and has been declining since, but the rate of decline is slowing. After a 20% plunge in 2023 due to writer and actor strikes, production improved to a 6% decline in 2024, with 2025 data (January–September) projecting only a 3% decrease.
Notably, the decline comes mainly from broadcast and cable TV, plus original investment cuts from FAST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channels. Conversely, SVOD platforms actually increased production in 2025.
By platform, Netflix showed the largest drop from 190 titles in 2022 to 149 in 2024, yet remains the overwhelmingly dominant producer. New streamer entries like Disney+, HBO Max, and Peacock had a clear impact in 2020, while 2023 reflected strike impacts across all platforms. M&A volatility is expected in 2025.
Traditional distributors still maintain high exposure to broadcast and cable. Comparing 2022 and 2024, Warner Bros. Discovery produced 395 of 841 titles for broadcast/cable, while Paramount made 117 of 214 for linear platforms, showing these companies' ongoing transition from legacy businesses to streaming.
By genre, crime (including true crime) emerged as the #1 arena in 2025, exemplified by Netflix's "Monsters: The Lyle and Erik Menendez Story." Literary adaptations ranked second, including 20th Television's "Will Trent" and Netflix's "The Hunting Wives." Family relationship dramas ranked third, with HBO Max's "The Gilded Age" surpassing action-adventure titles from 2024.
2. Content Globalization: An Irreversible Trend
"The globalization of content. It's now an irreversible flow."
The UK remains a strong partner for U.S. production. Looking at the UK TV market itself, unscripted programs (variety and educational) still dominate but have declined since 2022. While unscripted hits like "The Traitors," "Love Island," and "The Great British Bake Off" exist, the overall trend is downward.
In contrast, UK scripted drama grew 10% in 2024, attributed to increased social media consumption time and growing interest in long-form drama. Comedy continues to struggle—a pattern identical to the U.S. Both streamers and broadcasters focus on four-quadrant dramas with international appeal.
Data also reveals interesting facts. While Korea and Japan show notable increases in local originals, 2024 also saw significant growth from Mexico and Turkey. France is the EU country supplying the most local originals to U.S. SVOD, with titles like "Légende" and "Disparu à jamais."
Regional local production investment reflects each platform's global strategy. In South America: Brazil and Mexico; in Asia: Korea and Japan; in Europe: France and Spain serve as major production hubs.
3. The Transmedia Era Begins
"Film, TV, music, gaming, and brands have discovered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and engage deeply with audiences."
Transmedia was the most fascinating section of this year's presentation. Hoebich vividly demonstrated cases where multiple media create synergy.
The first example was Netflix's "Adolescence." This UK series showed the typical Netflix binge pattern (rapid decline) in its second week. However, AURORA's "Through the Eyes of a Child," featured in the final episode, drew a completely different curve.
After the series peaked on March 20, music streaming continued rising to peak in early April, then maintained high levels. Even after the series ended, the song reached new, impressive levels. Film and TV are becoming powerful engines driving music discovery.
The second example is the YouTube-to-SVOD pipeline. Netflix began with "Haters Back Off" in 2016 and has steadily secured YouTube IP: "Cocomelon" (2020), "Blippi" (2022), "The Amazing Digital Circus" (2024), Prime Video's "Beast Games" (2024), and Netflix's "Inside" and "Ms. Rachel" (2025).
Weekly viewing data for "Beast Games" and "Ms. Rachel" shows both programs maintained stable viewership during their first 12 weeks, demonstrating existing YouTube fanbases migrating to SVOD.
"A question streamers regularly ask is 'When is it appropriate for YouTube IP to move to our SVOD platform?' We're very engaged with partners on this issue today," Hoebich revealed.
The third example is the remarkable success story of "K-Pop Demon Slayers." This Netflix animated film received a lukewarm first-week response, lingering at the bottom of charts while other original films like "Carry-On," "Back in Action," "The Union," "Road House," and "Happy Gilmore 2" showed typical spike-and-drop patterns.
However, this film grew steadily week by week, maintaining stable viewing for nine weeks and ultimately becoming Netflix's global #1 film—a new pattern for streaming success.
More intriguing was its music synergy. Comparing U.S. streaming viewing (pink line) with global music streams (yellow line), both lines moved together, maintaining high levels. The film, hit soundtrack, and word-of-mouth reinforced each other, entering the Top 10 in 93 countries. The soundtrack dominated five spots in the Billboard charts throughout summer.
Even more remarkable was the multilingual version success. The film was dubbed into 10 languages, with music also dubbed. Spanish version "Dorado" and French version "Briller" of main track "Golden" each charted independently, each garnering over 5 million global streams separate from the English version.
Audience analysis is also interesting. 31% of viewers were under 18, much younger than average Netflix films. While animated TV programs typically skew 58% male and K-pop listening 57% female, "K-Pop Demon Slayers" was nearly equal at 54% female, 46% male—a perfect blend of K-pop and animation demographics.
"Today, cultural impact doesn't happen in one place," Hoebich emphasized. "It must be measured across the full spectrum of touchpoints, including streaming video, music, and audience social sentiment."
4. Long Season Gaps: Medicine, Not Poison
"One annoying side effect of the streaming era is that season gaps keep getting longer."
Hoebich's comment drew knowing laughter from the audience. He asked, "How many of you have had to wait years for the next season of a favorite series?" Hands rose throughout the hall.
"Severance" Season 2 came three years after Season 1. Peacock's "Poker Face" took two years, "Wednesday" nearly three, and "Stranger Things'" final season will arrive 3.5 years after the previous one. This contrasts sharply with HBO's "Game of Thrones," which delivered new seasons fairly consistently each year.
So does this hurt or help engagement? The data revealed a surprising answer.
Consider Apple TV+'s "Severance." Season 2 premiered January 17, 2025, reaching #1. That same week, Season 1 reached #3. More surprisingly, Season 1 was viewed more in the first six weeks of 2025 than in its original first 12 weeks in 2022. The Season 2 halo effect kept Season 1 in the Top 25 throughout Q1.
Another case is CBS's "Fire Country." After Season 2 premiered on Paramount+ on February 17, 2024, the left graph shows a slight spike in Season 1's Paramount+ viewing. Then Seasons 1 and 2 moved to Netflix in August 2024.
The results were explosive: a 738% increase in viewing time compared to peak viewing observed on Paramount+. This exposed the series to new audiences ahead of Season 3's October 24 launch on CBS and Paramount+, and Season 3 achieved solid performance on both platforms.
This pattern keeps repeating. Studios are beginning to understand "how we can actually collaborate with Netflix in ways that bring people back to our vertically integrated streaming platforms."
Netflix's "The Night Agent" followed suit. Season 2 premiered January 23, 2025, taking first place in its first week, while Season 1 simultaneously reached third. This pattern repeatedly appears in "Reacher," "Severance," "Foundation," and others.
"Success metrics have shifted to time spent on platform," Hoebich emphasized. "Multi-season series hold tremendous value for streaming platforms—a genuine strength that content creators, studios, and production companies must understand."
5. Franchise Dependence Deepens, But Fatigue Emerges
"In an increasingly fragmented entertainment environment, distributors rely more heavily on familiar IP."
Scripted spinoff series (drama spinoffs) increased 75% between 2018 and 2025, from 52 in 2018 to 99 in 2024. This trend won't disappear. Currently, 56 additional series based on existing TV and film IP are in development at U.S. SVOD platforms.
Examples include Peacock's "The Office" follow-up "The Paper," and CBS primetime schedule heavily based on franchises: "Fire Country," "FBI," "Blue Bloods," etc.
Looking at franchise project counts in film and TV from 2010–2025, Marvel leads overwhelmingly with 113 titles. DC ranks second with 85, Star Wars third with 33. Lego (26), Spider-Man/Marvel (23), Batman/DC (20), Iron Man/Marvel (17), X-Men/Marvel (16), Captain America/Marvel (15), Hulk/Marvel (14), and Transformers (14) follow.
Gaming IP surged after 2020 but still has far to go to compete with superhero franchises. Star Wars is the only non-superhero franchise that can compete in volume or box office revenue.
Looking at franchises with over $1 billion in box office, Marvel dominates with 11 titles. Star Wars has 5, DC 4, Jurassic Park 4. Avatar, Despicable Me, Fast & Furious, Frozen, Harry Potter, Lord of the Rings, Pirates of the Caribbean, Toy Story, and Transformers each have 2 titles in the billion-dollar club.
However, franchise strategy carries risks. Looking at the top 10 most expensive films, most are franchise works with mixed box office results.
"Mission: Impossible – The Final Reckoning" ($400M budget, $599M box office), "Pirates of the Caribbean: On Stranger Tides" ($379M, $1B), "Avengers: Endgame" ($356M, $2.8B), and "Avatar: The Way of Water" ($350M, $2.3B) succeeded, but "Fast X" ($340M, $704.9M), "Justice League" ($300M, $661.3M), "Indiana Jones and the Dial of Destiny" ($295M, $384M), and "Mission: Impossible – Dead Reckoning" ($290M, $571.1M) fell short of expectations.
6. Gaming IP Advances to Box Office
"The value of gaming IP continues to rise."
Looking at Hollywood's gaming IP adaptations since 2010, they surged from 2016–2022. 2022 peaked with 10 TV series premiering. 2025 will be the first year since 2021 with more theatrical gaming adaptations than TV, showing a strategic shift prioritizing easier revenue from existing IP at the box office.
Most recently, Paramount signed a film deal for Activision's "Call of Duty," bringing the best-selling video game of all time to the big screen.
The problem is gaming IP is incredibly expensive. Microsoft's Activision Blizzard acquisition (2023, $75.4B) was billions more than Disney paid for 21st Century Fox (2019), indicating gaming IP's value.
Gaming IP is more expensive for TV than film. Amazon Prime Video's "Fallout" cost approximately $20M per episode—double HBO/HBO Max's already expensive "The Last of Us." Even Netflix's animated "Arcane" cost $10M per episode, matching "The Last of Us."
Major gaming IP scheduled for 2025–2027 or in active production includes: "Splinter Cell: Deathwatch" (TV, Netflix, Oct 14, 2025), "Five Nights at Freddy's 2" (Film, Universal, Dec 5, 2025), "Tomb Raider: The Legend of Lara Croft Season 2" (TV, Netflix, Dec 11, 2025), "Fallout Season 2" (TV, Prime Video, Dec 17, 2025), "Gangs of London Season 3" (TV, AMC+, 2025), "Return to Silent Hill" (Film, Cineverse, Jan 23, 2026), "Exit 8" (Film, Neon, early 2026), "Super Mario Galaxy Movie" (Film, Universal, Apr 3, 2026), "Mortal Kombat 2" (Film, Warner Bros, May 15, 2026), "Resident Evil" (Film, Sony, Sep 18, 2026), "Street Fighter" (Film, Paramount, Oct 16, 2026), "Angry Birds Movie 3" (Film, Paramount, Dec 23, 2026), "Devil May Cry Season 2" (TV, Netflix, 2026), "Mortuary Assistant" (Film, Shudder, 2026), "Sonic the Hedgehog 4" (Film, Paramount, Mar 19, 2027), "The Legend of Zelda" (Film, Sony, May 7, 2027), "The Last of Us Season 3" (TV, HBO, 2027), "Assassin's Creed" (TV, Netflix, TBA), "God of War" (TV, Prime Video, TBA), "Tomb Raider" (TV, Prime Video, TBA).
7. Rise of American Western Lifestyle
A major trend that began in 2020 and continues growing is Western and Southern lifestyle. Data shows this genre resonates tremendously with U.S. viewers and is being exported overseas in certain regions.
Looking at first-12-week performance of Western lifestyle series, Netflix's "Landman" Season 1 dominates, peaking at nearly 3 billion minutes viewed in week 2. Netflix's "The Hunting Wives" Season 1 ranks second, "Virgin River" Season 6 third. Paramount+'s "1923" Season 2, Peacock's "Yellowstone" Season 4, and Netflix's "Sweet Magnolias" Season 4 also recorded substantial viewership.
The most interesting case is Netflix's multi-camera comedy "Leanne." For years, neither Netflix nor other streaming platforms produced new sitcom hits, but "Leanne" broke this curse.
Produced by comedian Leanne Morgan and Warner Bros. Television, this show demonstrated a new path for multi-camera sitcoms filmed before live audiences. While this was once broadcast TV's foundation, recent years saw virtually no new sitcom hits.
The series stars Southern comedian Leanne Morgan, with TV sitcom legend Chuck Lorre ("The Big Bang Theory," "Two and a Half Men," "Mom") co-producing.
The plot follows Leanne, a late-50s woman abandoned by her husband after 33 years of marriage, who restarts her life with help from family and friends after a chaotic divorce. In other words, it humorously portrays "a post-menopausal woman's second life and resilience."
The series, filmed before a traditional studio live audience, generated buzz for restoring the authentic comedy format with "laugh tracks" after a long absence. The drama centers on family, female self-recovery, and life restarts, with primary audiences being women aged 40–60 and classic sitcom fans.
"Leanne" achieved solid performance on Netflix, remaining in Netflix's global Top 10 English series for two weeks, reaching #6 with 2.8M views. It entered the Top 10 in 10 countries including France. Netflix confirmed Season 2 in September, validating consumer signals for this breakout comedy hit.
Western lifestyle connects with music too. Country singer and actor Lainey Wilson appeared in "Yellowstone" Season 5. The graph shows Lainey Wilson's U.S. on-demand audio streams related to "Yellowstone" Season 5 airing (November–December 2022).
After "Bell Bottom Country" album release on October 28, there was slight increase, but it exploded when "Yellowstone" Season 5 episodes began airing November 13. Streams surged from approximately 3M weekly to 8–9M, then stabilized at about 15–17M.
Notably, the new streaming baseline maintained about 3x the pre-album streaming level. This type of performance continues increasing partnerships between entertainment and music.

The AI Era Arrives, But Consumers Are Cautious
The presentation's final section addressed AI. "Most AI conversation concerns copyright protection, and rightfully so," Hoebich prefaced, before briefly covering other areas affecting film and TV production.
The 2023 WGA (Writers Guild of America) and SAG-AFTRA (Screen Actors Guild) strikes created guardrails protecting performers. Now there are two new positions for actors: "Digital Replica" (replication of actual human performers) and "Synthetic Performer" (fully AI-generated characters with no human basis).
Luminate hasn't yet seen official AI-produced projects publicly announced within major U.S. distributors but expects them soon. AI is already playing a transformative role in film and TV production, particularly in talent and special effects.
Several examples:
- "Rogue One: A Star Wars Story": AI was essential for recreating young Princess Leia and Grand Moff Tarkin
- "Ghostbusters: Afterlife": AI created a digital replica of original Ghostbuster and late Harold Ramis, appropriately aged
- "The Flash": AI visualized the complex multiverse
- "Godzilla Minus One": AI technology realized the monster's destructive movements
- "Cobra Kai": Used digital replicas causing significant social media controversy
- "Alien: Romulus": Recreated past characters
Of course, concerns exist. In recent weeks, "Particle Six's" Tilly Nood, a fully AI-generated synthetic actor, alarmed many people.
What do consumers think? Luminate conducted an online survey May 5–16, 2025, of 1,470 U.S. general public aged 13+ who consume film and TV content.
The question was: "How do you feel about generative AI being used to partially or entirely create each of the following in a movie or TV show?"
Results were interesting. Consumers didn't show uniform attitudes toward AI use:
Most uncomfortable: Digital replicas of deceased human actors (46% very/somewhat uncomfortable, 26% very/somewhat comfortable), digital replicas of living human actors (46%, 24%), fully synthetic actors not based on real people (45%, 25%)
Mid-level: Scripts/screenplays (39%, 27%), theme music or original scores (33%, 30%), voiceover narration for documentary or animated characters (34%, 31%), new character designs (32%, 32%), illustrations used in animation (30%, 36%)
Relatively accepted: Seamless dubbed versions of foreign language content using AI voices (31%, 32%), high-quality special/visual effects (e.g., making actors look older) (27%, 40%), sound effects representing on-screen action (26%, 38%)
In conclusion, consumers feel most comfortable with "behind the scenes" uses—AI in visual and sound effects—but most uncomfortable with replacing human actors.
Reading the Future Through Data: Korea's Opportunity
Key Takeaways:
- Peak TV Decline Slowing: ~3% decrease expected in 2025, SVOD actually increasing
- Content Globalization: Korea, Japan, Brazil emerging as major production hubs, non-English content demand exploding
- Transmedia: TV, film, music, gaming, brands collaborating to engage audiences more deeply
- Season Gap Paradox: Long gaps drive re-watching and prove multi-season series value
- Risk Mitigation Strategy: Franchises, known IP, series spinoffs continuing, gaming IP surging
- Western Lifestyle Rise: Growing U.S. market interest in Western/Southern content
- Early AI Adoption: AI emerging as production tool alongside copyright discussions
The message for Korea's content industry is clear: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ore hub for global content production—this is structural change, not merely a trend.
Non-English content demand will continue exploding, requiring strengthened domestic IP, creative capabilities, and platform strategies.
Transmedia convergence is an essential strategy for new revenue models and global influence.
Executive VP Hoebich from Luminate, encountered at the venue, stated: "Korea's content success is no accident. High production values, universally relatable themes, and unique cultural perspectives move global audiences. Data clearly shows this is a sustainable trend, not a temporary fad."
In other words, opportunities for worldwide leaps for K-content and Korea's entertainment industry will continue opening, backed by data.
한국, 미국 해외 TV 제작 2위 거점 부상...글로벌 콘텐츠 트렌드 7대 변화
[MIPCOM 2025 현장] 루미네이트(Luminate) "K-콘텐츠, 넷플릭스 오리지널의 64% 차지...비영어권 콘텐츠 수요 폭발적 증가" 21조 개 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문화적 임팩트, 이제 영화·TV·음악·게임 경계 넘어선다"
칸 팔레 데 페스티발, 데이터로 입증된 K-콘텐츠의 위상
프랑스 칸=현지시간 10월 13일 오후 2시 15분. 지중해가 내려다보이는 칸 팔레 데 페스티발 컨퍼런스홀은 전 세계 방송·영화 관계자들로 가득 찼다.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인 MIPCOM 2025의 핵심 세션 중 하나인 Luminate의 글로벌 트렌드 발표를 듣기 위해서다.
"한국은 이제 미국 콘텐츠 제작의 글로벌 허브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온 마크 호비치(Mark Hoebich) Luminate 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이 단호하게 말하자, 객석 곳곳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이 보였다. 그가 제시한 화면에는 명확한 수치가 나타났다. 2022~2025년 미국 TV 프로그램의 해외 제작지 점유율에서 한국은 13.5%로 캐나다(21.7%) 다음인 2위를 차지했다. 영국(10.4%), 인도(5.8%)를 제치고 명실상부한 글로벌 제작 거점으로 올라선 것이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분석의 최강자인 루미네이트(Luminate)는 연간 21조 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를 분석한다. 빌보드 차트와 골든글로브의 공식 데이터 파트너이기도 한 이 회사가 내놓은 보고서는 단순한 전망이 아니라 이미 진행 중인 현실을 보여주는 스냅샷이었다.
호비치 부사장은 80분간의 프레젠테이션 동안 50여 개의 차트와 그래프를 보여주며 2025년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7대 트렌드를 제시했다. 그 중심에는 한국을 비롯한 비영어권 콘텐츠의 약진이 자리하고 있었다.

숫자로 입증된 K-콘텐츠의 저력
"2025년 1분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타이틀의 64%가 비영어권 시리즈입니다."
호비치 부사장의 이 한마디에 참석자들 사이에서 탄성이 터져나왔다. 이는 2022년 46%에서 불과 3년 만에 18%포인트나 급증한 수치다.
이날 현장에서 루미네이트가 공개한 구체적인 수치는 더욱 놀랍다. 2024년 미국 기반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의 로컬 오리지널 제작에서 한국이 60편으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일본(34편)과 브라질(22편)을 크게 앞선 것은 물론, 프랑스(18편), 스페인(20편), 독일(17편) 등 유럽 주요국들을 모두 제쳤다.
넷플릭스의 '킹덤', '더 리크루트', 'XO 키티', '비프' 같은 작품들이 한국에서 제작됐으며, 이들은 글로벌 차트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며 한국의 제작 역량을 입증했다.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 훌루, 맥스, 애플TV+ 등 거의 모든 주요 플랫폼이 2024~2025년 사이 비영어권 타이틀 비중을 늘렸다. 예외는 디즈니+와 애플TV+뿐인데, 이는 이들의 현재 전략 때문이며 향후 변화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Luminate는 분석했다.
HBO MAX 의 경우 비영어권 콘텐츠 비율이 2022년 18%에서 2025년 50%로 급증했다. 훌루도 20%에서 38%로 증가했다. 호비치 부사장은 "미국 시청자들이 비영어권 스토리, 관점, 인재들에 대해 매우 편안하고 관심을 갖게 됐다"며 "이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제작자들에게 엄청난 기회"라고 강조했다.
영국 콘텐츠도 미국 시장 석권
한국만 약진한 것은 아니다. 영국 시리즈도 미국 시장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2018년 11편에 불과했던 미국 SVOD의 영국 시리즈는 2022년 41편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24년에도 32편을 기록했다.
넷플릭스의 '어돌레슨스(Adolescence)'는 미국에서만 첫 주 15억 분 이상 시청되며 71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베이비 레인디어(Baby Reindeer)'와 '블랙 미러(Black Mirror)'도 첫 6주간 각각 10억 분, 10억 분 이상 시청되며 영국 콘텐츠의 저력을 입증했다.
호비치 부사장은 "영국 콘텐츠는 독특한 관점, 높은 제작 가치, 공감 가능한 테마로 미국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영화 제작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났다. 미국 영화의 해외 촬영지로 캐나다(16.4%)에 이어 영국이 14.2%로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영국은 시대극의 사실상 본거지가 됐다. '하우스 오브 더 드래곤', '아웃랜더', '어둠의 물질' 등 대부분의 미국 시대극이 영국에서 촬영된다.
흥미로운 변화는 이탈리아의 부상이다. 2025년 이탈리아는 미국 영화 해외 촬영의 7.2%를 차지하며 3위로 올라섰다.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 오른 '콘클라베', 톰 크루즈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화제작 '더 브루탈리스트' 등이 이탈리아에서 전체 또는 부분 촬영됐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7대 메가트렌드
루미네이트는 50개국 이상, 500개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로부터 수집한 방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2025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7대 트렌드를 제시했다. 이 회사는 매일 190억 개의 오디오 스트림, 60억 분 이상의 스트리밍 비디오 시청 시간, 3억 개 이상의 콘텐츠 식별자를 추적한다.

1. TV 제작 감소세, 완만한 착륙 중
"피크 TV의 하락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나쁜 소식이 좋은 소식이 되고 있죠."
호비치 부사장의 설명처럼, 미국 TV 제작은 2022년 정점(약 2,100편)을 찍은 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하락 속도는 둔화되고 있다. 2023년 작가·배우 파업으로 20% 급감했던 제작량은 2024년 6% 감소로 개선됐고, 2025년 1~9월 데이터 분석 결과 3% 감소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주목할 점은 감소가 어디서 발생하고 있느냐다. 2025년 감소는 주로 지상파와 케이블TV, 그리고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채널의 오리지널 투자 축소에서 비롯됐다. 반대로 SVOD 플랫폼은 2025년 오히려 제작량을 늘렸다.
플랫폼별로 보면 넷플릭스가 2022년 190편에서 2024년 149편으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1위 제작사다. 2020년에는 디즈니+, HBO맥스, 피콕 등 여러 신규 스트리머 진입의 영향이 뚜렷했고, 2023년에는 파업의 영향이 모든 플랫폼에 나타났다. 2025년에는 M&A로 인한 변동성이 예상된다.
전통적 배급사들은 여전히 지상파·케이블에 대한 노출도가 높다. 2022년과 2024년을 비교하면,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는 841편 중 395편이 지상파·케이블이고, 파라마운트는 214편 중 117편이 선형 플랫폼용이다. 이는 이들 기업이 레거시 비즈니스에서 스트리밍으로의 전환이 아직 진행 중임을 보여준다.

장르별로는 범죄물(트루 크라임 포함)이 2025년 1위 아레나로 부상했다. 넷플릭스의 '몬스터: 라일과 에릭 메넨데즈 이야기' 같은 작품이 대표적이다. 2위는 문학 각색으로, 20세기 텔레비전의 '윌 트렌트'와 넷플릭스의 '헌팅 와이브스' 등이 포함된다. 3위는 가족 관계 드라마로, HBO맥스의 '더 길디드 에이지' 같은 작품이 2024년 액션·어드벤처를 제치고 올라섰다.

2. 콘텐츠의 글로벌화, 돌이킬 수 없는 대세
"글로벌라이제이션 오브 콘텐츠. 이제 되돌릴 수 없는 흐름입니다."
영국은 여전히 미국 제작의 강력한 파트너다. 영국 TV 시장 자체를 보면, 언스크립티드 프로그램(예능 교양)이 여전히 지배적이지만 2022년 이후 감소세다. '더 트레이터스', '러브 아일랜드', '그레이트 브리티시 베이크 오프' 같은 언스크립티드 히트작이 있지만, 전체 트렌드는 하향세다.
반면 영국의 스크립티드 드라마는 2024년 10% 성장했다. 소셜 미디어에 소비되는 시간 증가, 장편 드라마에 대한 관심 증가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코미디는 여전히 고전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과 동일한 패턴이다. 스트리머와 방송사 모두 국제적 어필이 가능한 4분면(four-quadrant) 드라마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는 또한 재미있는 사실을 보여준다. 한국과 일본의 로컬 오리지널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2024년에는 멕시코와 터키의 증가도 눈에 띈다. 프랑스는 EU에서 미국 SVOD에 가장 많은 로컬 오리지널을 공급하는 국가로, '레전드', '디스페어선 뒤플렉스' 같은 작품이 있다.
지역별 로컬 제작 투자는 각 플랫폼의 글로벌 전략을 반영한다. 남미에서는 브라질과 멕시코,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일본, 유럽에서는 프랑스와 스페인이 주요 제작 거점이다.

3.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개막
"영화·TV·음악·게임·브랜드가 협력해 관점 깊게 청중과 관계를 맺는 기회를 발견했습니다."
트랜스미디어는 올해 발표의 가장 흥미로운 섹션이었다. 호비치 부사장은 여러 미디어가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사례들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첫 번째 사례는 넷플릭스의 '어돌레슨스'다. 이 영국 시리즈는 두 번째 주에 전형적인 넷플릭스 빈지 패턴(급속한 하락)을 보였다. 그러나 극 중 마지막 에피소드에 삽입된 오로라(AURORA)의 'Through the Eyes of a Child'는 완전히 다른 곡선을 그렸다.
시리즈 시청이 정점을 찍은 3월 20일 이후 음악 스트리밍은 계속 상승해 4월 초 정점에 도달했고, 그 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리즈가 끝난 후에도 노래는 새롭고 인상적인 수준으로 올라갔다. 영화와 TV가 음악 발견을 주도하는 강력한 엔진이 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유튜브에서 SVOD로의 파이프라인이다. 넷플릭스는 2016년 'Haters Back Off'로 시작해 유튜브 IP를 꾸준히 확보해왔다. 2020년 'Cocomelon', 2022년 'Blippi', 2024년 'The Amazing Digital Circus', 2024년 프라임 비디오의 'Beast Games', 2025년 넷플릭스의 'Inside'와 'Ms. Rachel' 등이 대표적이다.
'비스트 게임스(Beast Games)'와 'Ms. Rachel'의 주간 시청 데이터를 보면, 두 프로그램 모두 첫 12주 동안 안정적인 시청률을 유지했다. 이는 기존 유튜브 팬층이 SVOD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호비치 부사장은 "스트리머들이 정기적으로 묻는 질문은 '유튜브 IP가 언제 우리 SVOD 플랫폼으로 옮겨오는 것이 적절한가'입니다. 우리는 오늘날 파트너들과 이 문제에 매우 관여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혔다.
세 번째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놀라운 성공 스토리다. 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는 개봉 첫 주 반응이 미온적이었다. 차트 하단에 머물렀고, 'Carry-On', 'Back in Action', 'The Union', 'Road House', 'Happy Gilmore 2' 같은 다른 오리지널 영화들이 전형적인 급상승 후 급하락 패턴을 보인 것과 달리, 낮은 수준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주차별로 꾸준히 성장했다. 9주 동안 안정적인 시청을 유지하며 결국 넷플릭스 글로벌 1위 영화가 됐다. 이는 스트리밍 성공의 새로운 패턴이었다.
더 흥미로운 것은 음악과의 시너지였다. 미국 스트리밍 시청(분홍색 선)과 글로벌 음악 스트림(노란색 선)을 비교하면, 두 선이 함께 움직이며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영화와 히트 사운드트랙, 그리고 입소문이 서로를 강화하며 93개국 톱10에 진입시켰다. 사운드트랙은 여름 내내 빌보드 차트 상위 5곡을 장악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다국어 버전의 성공이다. 영화는 10개 언어로 더빙됐는데, 음악도 함께 더빙됐다. 메인 트랙 'Golden'의 스페인어 버전 'Dorado'와 프랑스어 버전 'Briller'는 각각 독자적으로 차트에 진입했고, 영어 버전과 별도로 각각 500만 회 이상의 글로벌 스트림을 기록했다.
시청자 분석도 흥미롭다. 이 영화 시청자의 31%가 18세 미만으로, 평균 넷플릭스 영화보다 훨씬 젊다. 애니메이션 TV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남성 58%, 케이팝 청취는 여성 57%로 치우쳐 있는데,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여성 54%, 남성 46%로 거의 균등하다. 케이팝과 애니메이션 인구통계가 완벽하게 블렌딩된 것이다.
호비치 부사장은 "오늘날 문화적 임팩트는 한 곳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스트리밍 비디오, 음악, 청중의 소셜 센티먼트를 포함한 전체 스펙트럼의 터치포인트에서 측정되어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4. 긴 시즌 간격, 독이 아닌 약
"스트리밍 시대의 짜증나는 부작용 중 하나는 시즌 간 간격이 계속 길어진다는 것입니다."
호비치 부사장의 말에 객석에서 공감의 웃음이 터졌다. 그는 청중에게 물었다. "여러분 중 좋아하는 시리즈의 다음 시즌을 몇 년이고 기다려야 했던 분?" 객석 곳곳에서 손이 올라갔다.
'세버런스' 시즌2는 첫 시즌 후 3년 만에 나왔다. 피콕의 '포커 페이스'는 2년, '웬즈데이'는 거의 3년, '스트레인저 씽즈' 최종 시즌은 이전 시즌 후 3년 반 만에 나올 예정이다. HBO가 '왕좌의 게임'을 운영할 때는 매년 꽤 일관되게 새 시즌을 선보였던 것과는 큰 차이다.

그렇다면 이것이 관여도(Engagement)를 해치는가, 돕는가? 데이터는 놀라운 답을 보여줬다.
애플TV+의 '세버런스'를 보자. 시즌2는 2025년 1월 17일 개봉했고, 1위를 차지했다. 그런데 같은 주에 시즌1이 3위에 올랐다. 더 놀라운 것은 시즌1이 2025년 첫 6주 동안 2022년 첫 12주보다 더 많이 시청됐다는 사실이다. 시즌2의 후광 효과로 시즌1이 1분기 내내 상위 25위 안에 머물렀다.
또 다른 사례는 CBS의 '파이어 컨트리'다. 시즌2가 2024년 2월 17일 패러마운트+에 개봉된 후, 왼쪽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시즌1의 패러마운트+ 시청률에 약간의 스파이크가 있었다. 그러다가 시즌1과 2가 2024년 8월 넷플릭스로 이동했다.

결과는 폭발적이었다. 파라마운트+에서 관찰된 최대 시청률 대비 738% 증가한 시청 시간을 기록했다. 이는 시즌3의 10월 24일 CBS 및 패러마운트+ 개봉을 앞두고 새로운 청중에게 시리즈를 노출시켰고, 시즌3는 CBS와 패러마운트+에서 견고한 성과를 거뒀다.
이런 일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스튜디오들은 "어떻게 하면 실제로 사람들을 우리의 수직 통합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다시 데려오는 방식으로 넷플릭스와 협력할 수 있을까?"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넷플릭스의 '더 나이트 에이전트'도 마찬가지다. 시즌2가 2025년 1월 23일 개봉되어 첫 주 1위를 차지했는데, 같은 주에 시즌1이 3위를 차지했다. 이는 '리처', '세버런스', '파운데이션' 등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이다.
호비치 부사장은 "성공의 지표가 플랫폼에서의 시간 소비로 이동했습니다. 멀티 시즌 시리즈는 스트리밍 플랫폼에게 엄청난 가치를 지니며, 이는 콘텐츠 제작자, 스튜디오, 제작사들이 이해해야 할 진정한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5. 프랜차이즈 의존 심화, 그러나 피로감도
"점점 더 파편화된 엔터테인먼트 환경에서 배급사들은 친숙한 IP에 더 의존하고 있습니다."
스크립티드 스핀오프 시리즈(드라마 외전, 스핀오프)는 2018~2025년 사이 75% 증가했다. 2018년 52편에서 2024년 99편으로 거의 두 배가 됐다. 이 트렌드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현재 미국 SVOD에서 기존 TV 및 영화 IP를 기반으로 한 56편의 추가 시리즈가 개발 중이다.
예를 들어 피콕의 '더 오피스' 후속작인 '더 페이퍼', CBS 프라임타임 스케줄의 상당 부분이 프랜차이즈 기반이다. '파이어 컨트리', 'FBI', '블루 블러즈' 등이다.

2010~2025년 영화와 TV의 프랜차이즈별 프로젝트 수를 보면, 마블이 113편으로 압도적 1위다. DC가 85편으로 2위, 스타워즈가 33편으로 3위다. 레고(26편), 스파이더맨/마블(23편), 배트맨/DC(20편), 아이언맨/마블(17편), 엑스맨/마블(16편), 캡틴 아메리카/마블(15편), 헐크/마블(14편), 트랜스포머(14편)가 뒤를 잇는다.
2020년 이후 게임 IP가 급증했지만, 슈퍼히어로 프랜차이즈와 경쟁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스타워즈는 볼륨이나 박스오피스 수익 면에서 비슈퍼히어로 프랜차이즈 중 유일하게 경쟁할 수 있는 존재다.
10억 달러 이상 박스오피스를 기록한 프랜차이즈를 보면, 마블이 11편으로 압도적이다. 스타워즈 5편, DC 4편, 쥬라기 공원 4편이 뒤를 잇는다. 아바타, 디스피커블 미, 분노의 질주, 겨울왕국, 해리포터, 반지의 제왕, 캐리비안의 해적, 토이 스토리, 트랜스포머가 각각 2편씩 10억 달러 클럽에 들어갔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전략에는 리스크도 있다. 가장 비싼 영화 톱10을 보면, 대부분이 프랜차이즈 작품인데 박스오피스 성과는 엇갈렸다.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제작비 4억 달러, 박스오피스 5억 9,900만 달러),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3억 7,900만 달러, 10억 달러), '어벤져스: 엔드게임'(3억 5,600만 달러, 28억 달러), '아바타: 물의 길'(3억 5,000만 달러, 23억 달러)은 성공했지만, 'Fast X'(3억 4,000만 달러, 7억 490만 달러), '저스티스 리그'(3억 달러, 6억 6,130만 달러), '인디아나 존스와 운명의 다이얼'(2억 9,500만 달러, 3억 8,400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2억 9,000만 달러, 5억 7,110만 달러)은 기대에 못 미쳤다.

6. 게이밍 IP, 박스오피스로 진출
"게임 IP의 가치는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0년 이후 할리우드의 게임 IP 각색을 보면, 2016~2022년 급증했다. 2022년은 TV 시리즈 10편이 개봉돼 정점을 찍었다. 2025년은 2021년 이후 처음으로 TV보다 극장용 게임 각색이 더 많은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박스오피스에서 기존 IP로부터 더 쉬운 수익을 우선시하는 전략 전환을 보여준다.
가장 최근 사례로, 파라마운트가 액티비전의 '콜 오브 듀티'와 영화 계약을 체결했다. 역대 가장 많이 팔린 비디오 게임을 대형 스크린으로 가져오는 것이다.

문제는 게임 IP가 엄청나게 비싸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2023년, 754억 달러)는 디즈니가 21세기 폭스를 인수할 때(2019년) 지불한 금액보다 수십억 달러 더 많았다. 게임 IP의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게임 IP는 영화보다 TV에서 더 비싸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폴아웃(fallout)'은 에피소드당 약 2,000만 달러가 들었는데, 이는 이미 비싼 HBO/HBO맥스의 '더 라스트 오브 어스'의 두 배다. 넷플릭스의 애니메이션 '아케인'조차 에피소드당 1,000만 달러로 '더 라스트 오브 어스'만큼 들었다.

2025~2027년 개봉 예정이거나 활발히 제작 중인 주요 게임 IP는 다음과 같다:
'스플린터 셀: 데스워치'(TV, 넷플릭스, 2025년 10월 14일), '파이브 나이츠 앳 프레디스 2'(영화, 유니버설, 2025년 12월 5일), '툼 레이더: 라라 크로프트의 전설 시즌2'(TV, 넷플릭스, 2025년 12월 11일),
'폴아웃 시즌2'(TV, 프라임 비디오, 2025년 12월 17일), '런던 갱즈 시즌3'(TV, AMC+, 2025년 예정), '사일런트 힐로의 귀환'(영화, Cineverse, 2026년 1월 23일), 'Exit 8'(영화, Neon, 2026년 초),
'슈퍼 마리오 갤럭시 무비'(영화, 유니버설, 2026년 4월 3일), '모탈 컴뱃 2'(영화, 워너브라더스, 2026년 5월 15일), '레지던트 이블'(영화, 소니, 2026년 9월 18일),
'스트리트 파이터'(영화, 파라마운트, 2026년 10월 16일), '앵그리 버드 무비 3'(영화, 파라마운트, 2026년 12월 23일), '데빌 메이 크라이 시즌2'(TV, 넷플릭스, 2026년 예정),
'모츄어리 어시스턴트'(영화, Shudder, 2026년 예정), '소닉 더 헤지호그 4'(영화, 파라마운트, 2027년 3월 19일), '젤다의 전설'(영화, 소니, 2027년 5월 7일),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3'(TV, HBO, 2027년 예정),
'어쌔신 크리드'(TV, 넷플릭스, 예정), '갓 오브 워'(TV, 프라임 비디오, 예정), '툼 레이더'(TV, 프라임 비디오, 예정).

7. 미국식 웨스턴 라이프스타일의 부상
2020년에 시작되어 계속 성장하고 있는 주요 트렌드가 바로 웨스턴 및 남부 라이프스타일이다. 데이터는 이 장르가 미국 시청자들에게 엄청나게 공명하고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는 해외로도 수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첫 12주간 웨스턴 라이프스타일 시리즈의 성과를 보면, 넷플릭스의 '랜드맨' 시즌1이 압도적이다. 2주차에 30억 분 가까이 시청되며 정점을 찍었다. 넷플릭스의 '더 헌팅 와이브스' 시즌1이 2위, '버진 리버' 시즌6가 3위를 기록했다. 패러마운트+의 '1923' 시즌2, 피콕의 '옐로스톤' 시즌4, 넷플릭스의 '스위트 매그놀리아스' 시즌4도 상당한 시청률을 기록했다.

가장 흥미로운 사례는 넷플릭스의 마중 카메라 코미디 '리앤(Leanne)'이다. 수년간 넷플릭스를 비롯한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새로운 시트콤 히트작이 거의 나오지 않았는데, '리앤'은 이 저주를 깼다.

코미디언 리앤 모건과 워너브라더스 텔레비전이 제작한 이 쇼는 라이브 청중 앞에서 촬영된 멀티캠 시트콤의 새로운 길을 보여줬다. 수년간 이것은 지상파TV의 기본이었지만, 최근 몇 년간 거의 새로운 시트콤 히트작이 나오지 않았다.
이 작품은 미국 남부 출신 코미디언 리앤 모건(Leanne Morgan)이 주연을 맡고, TV 시트콤의 거장 척 로어(Chuck Lorre) (The Big Bang Theory, Two and a Half Men, Mom)가 공동 제작을 맡았다.
줄거리는 33년의 결혼 생활 끝에 남편에게 버림받은 50대 후반 여성 리앤이, 혼란스러운 이혼 이후 가족과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인생을 다시 시작하는 이야기다. 다시 말해, ‘폐경 이후 여성의 두 번째 인생과 회복력’을 유머러스하게 다룬 작품이다.
이 시리즈는 전통적인 스튜디오 라이브 관객 앞에서 촬영된 시트콤으로, 오랜만에 “웃음소리(laugh track)”이 들어간 정통 코미디 양식을 복원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됐다. 드라마는 가족, 여성의 자기회복, 인생 재출발을 중심으로 하며, 시청자층은 40~60대 여성층과 고전 시트콤 팬층이 주를 이룬다.

'리앤'은 넷플릭스에서 견고한 성과를 거뒀다. 2주간 넷플릭스 글로벌 톱10 영어 시리즈에 머물렀고, 280만 뷰로 6위까지 올라갔다. 프랑스를 포함한 10개국에서 톱10에 진입했다. 넷플릭스는 9월에 시즌2를 확정했고, 이는 이 브레이크아웃 히트 코미디 시리즈의 소비 신호를 확인한 것이다.
웨스턴 라이프스타일은 음악과도 연결된다. 컨트리 가수이자 배우인 레이니 윌슨은 '옐로스톤' 시즌5에 출연했다. 그래프는 2022년 '옐로스톤' 시즌5 방영(11월~12월)과 관련된 레이니 윌슨의 미국 온디맨드 오디오 스트림을 보여준다.

'Bell Bottom Country' 앨범이 발매된 10월 28일 이후 약간의 증가가 있었지만, 11월 13일 '옐로스톤' 시즌5 에피소드 방영이 시작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스트림은 주간 약 300만에서 800만~900만으로 급증했고, 이후 약 1,500만~1,700만으로 안정화됐다.

주목할 점은 새로운 스트리밍 베이스라인이 앨범 이전 스트리밍의 약 3배 수준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성과가 엔터테인먼트와 음악 간의 파트너십을 계속 증가시키고 있다.



AI 시대의 도래, 그러나 소비자는 신중
프레젠테이션의 마지막 섹션은 AI였다. 호비치 부사장은 "AI에 관한 대화의 대부분은 저작권 보호에 관한 것이고, 당연히 그래야 합니다"라고 전제한 후, 영화와 TV 제작에 미치는 다른 영역들을 간략히 다뤘다.
2023년 WGA(미국작가조합)와 SAG-AFTRA(미국배우조합)의 파업은 공연자를 보호하는 가드레일을 만들어냈다. 이제 배우를 위한 두 가지 새로운 직책이 있다: '디지털 레플리카'(실제 인간 공연자의 복제본)와 '신세틱 퍼포머'(인간 기반이 전혀 없는 완전 AI 생성 캐릭터).
루미네이트(Luminate)는 아직 미국 주요 배급사 내에서 AI제작 공식 프로젝트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곧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AI는 이미 영화와 TV 제작, 특히 인재와 특수 효과에 변혁적 역할을 하고 있다.

몇 가지 예:
-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AI가 젊은 레아 공주와 그랜드 모프 타킨을 재현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 '고스트버스터즈: 애프터라이프': AI를 사용해 오리지널 고스트버스터이자 故 해롤드 래미스의 디지털 레플리카를 만들고 적절히 나이를 먹인 모습으로 구현했다.
- '더 플래시': AI가 복잡한 멀티버스를 시각화하는 데 사용됐다.
- '고질라 마이너스 원': AI 기술이 괴수의 파괴적인 움직임을 실현했다.
- '코브라 카이': 소셜 미디어에서 큰 논란을 일으킨 디지털 레플리카를 사용했다.
- '에일리언: 로물루스': 과거 캐릭터를 재현했다.

물론 우려도 있다. 최근 몇 주간 'Particle Six'의 틸리 노우드라는 AI 생성 완전 합성 배우가 많은 사람들을 우려하게 만들었다.
소비자들의 생각은 어떨까? Luminate는 2025년 5월 5~16일 영화와 TV 콘텐츠를 소비하는 미국 13세 이상 일반 대중 1,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질문은 "영화나 TV쇼에서 다음 각각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생성형 AI에 대해 어떻게 느끼십니까?"였다.
결과는 흥미롭다. 소비자들은 AI 사용에 대해 일률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 가장 불편함: 고인이 된 인간 배우의 디지털 레플리카(매우/다소 불편함 46%, 매우/다소 편안함 26%), 살아있는 인간 배우의 디지털 레플리카(46%, 24%), 실제 사람이 아닌 완전 합성 배우(45%, 25%)
- 중간 수준: 스크립트/시나리오(39%, 27%), 테마 음악이나 오리지널 스코어(33%, 30%), 다큐멘터리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34%, 31%),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32%, 32%),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일러스트레이션(30%, 36%)
- 상대적으로 수용: AI 음성을 사용한 외국어 콘텐츠의 매끄러운 더빙 버전(31%, 32%), 고품질 특수/시각 효과(예: 배우를 더 늙어 보이게 만들기)(27%, 40%), 화면의 액션을 나타내는 음향 효과(26%, 38%)
결론적으로, 소비자들은 "비하인드 더 신" 용도, 즉 시각 효과와 사운드에서의 AI 사용에는 가장 편안함을 느끼지만, 인간 배우를 대체하는 것에는 가장 불편함을 느낀다.


데이터로 읽는 미래, 그리고 한국의 기회
1. 피크 TV 감소 둔화: 2025년 약 3% 감소 예상, SVOD는 오히려 증가
2. 콘텐츠 글로벌화: 한국·일본·브라질 등이 주요 제작 거점으로 부상, 비영어권 콘텐츠 수요 폭발
3. 트랜스미디어: TV·영화·음악·게임·브랜드가 협력해 더 깊게 청중과 관계 맺는 기회 확인
4. 시즌 간격의 역설: 긴 간격이 재시청을 유도하고 멀티 시즌 시리즈의 가치 증명
5. 리스크 완화 전략: 프랜차이즈, 알려진 IP, 시리즈 스핀오프 지속, 게이밍 IP 급부상
6. 웨스턴 라이프스타일 부상: 미국 시장의 웨스턴·남부 콘텐츠에 대한 관심 증가
7. AI 도입 초기 단계: 저작권 논의와 함께 제작 도구로서의 AI 등장 시작
한국 콘텐츠 업계에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 한국은 글로벌 콘텐츠 제작의 핵심 허브로 자리잡았으며, 이는 단순 트렌드가 아닌 구조적 변화다.
- 비영어권 콘텐츠 수요가 계속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므로, 자국 IP와 창작 역량, 플랫폼 전략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 트랜스미디어 융합은 새 수익 모델과 글로벌 영향력을 위한 필수 전략이다.
현장에서 만난 루미네이트 호비치 부사장은 “한국 콘텐츠의 성공은 우연이 아니다. 높은 제작 가치와, 전 세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테마, 그리고 독특한 문화적 관점이 글로벌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든다. 데이터는 이것이 일시적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트렌드임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즉, 앞으로도 K콘텐츠와 한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에는 전세계적 도약의 기회가 꾸준히 열릴 것임이 데이터로 뒷받침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