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00% 영화 관세' 폭탄 예고…업계는 실효성 회의적
한국, 미국 스트리밍 플랫폼 오리지널 제작 3년 연속 1위
K-콘텐츠 수출 133억 달러…'오징어 게임 효과' 지속
Korean content dominates global streaming as protectionist policies face industry skepticism
South Korea ranks #1 in US platform original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Squid Game effect" drives 70% surge in K-content's global reach
President Donald Trump has revived his controversial proposal to impose a 100% tariff on all films produced outside the United States, claiming foreign productions have "stolen" the American film industry. Despite similar rhetoric in 2024, no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has been announced, and industry experts remain highly skeptical about the policy's viability.
The proposal faces significant practical challenges. Unlike physical goods such as cars or steel, films are classified as services or intellectual property, making traditional tariff enforcement complex. Moreover, the streaming-dominated distribution landscape and Hollywood's already globalized production model present additional complications.

Korean Content Leads Global Streaming Revolution
South Korea has emerged as the undisputed leader in original content production for US-based streaming platforms. Over the past three years, Korea has consistently ranked #1 in original series production, with 60 titles released in 2024 alone—significantly outpacing Japan (40+), Brazil (30+), and other major markets.
This dominance reflects K-content's transformation from regional player to global powerhouse. Following the explosive success of "Squid Game" in 2021, Korean content's travelability score—measuring international reach and engagement—surged 70% and has maintained strong growth through 2024. K-content exports reached $13.3 billion in 2023, underscoring the industry's economic impact.
U.S. Scripted Film & TV Production Locations (미국 드라마·영화 제작지별 주요 촬영 현황, 1Q 25)
Location (English) | 지역 (한글) | Number of Productions (편수) |
---|---|---|
Los Angeles | 로스앤젤레스 | 24 |
Atlanta | 애틀랜타 | 7 |
Canada | 캐나다 | 13 |
U.K. and Ireland | 영국 및 아일랜드 | 17 |
New York | 뉴욕 | 7 |
Other (U.S.) | 기타(미국) | 16 |
Other (International) | 기타(해외) | 20 |
Hollywood's Global Shift Continues
Despite protectionist rhetoric, Hollywood's production migration shows no signs of reversal. Between 2018 and 2024, major studio films shot outside America increased from 59 to 74, while overseas scripted drama production grew from 91 to 117 episodes. Countries like the UK, Canada, Australia, and Hungary have successfully attracted productions through competitive tax incentives and robust infrastructure.
Within the US, states are locked in fierce competition for production dollars. New York leads with $800 million in annual incentives, followed by California's $300+ million. However, industry experts argue that state-level incentives alone cannot match the comprehensive packages offered by international competitors.
Opportunity in Uncertainty
Paradoxically, increased US protectionism may accelerate the very trend it aims to reverse. As geopolitical tensions rise, global streaming platforms are likely to diversify their content portfolios further, expanding investments in Asian, European, and Latin American originals to satisfy diverse international audiences and navigate regulatory complexities.
For Korean content creators, this represents a strategic opportunity. With proven creative excellence, strong production infrastructure, and established partnerships with major global platforms, K-content is well-positioned to capture even greater market share in an increasingly multipolar entertainment landscape.
The film industry's message is clear: in the streaming era, creative collaboration and global partnerships matter more than border walls. K-content's journey continues—and protectionist policies are unlikely to stop it.

트럼프 ‘100% 영화 관세’ 충격…K-콘텐츠, 글로벌 혁신으로 대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영화 관세, Movie Tariff)를 부과하겠다는 강경 발언을 다시 꺼내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트루스소셜)에서 미국 영화 산업이 타국에 '도난당했다'며, 외국에서 만든 영화 모두에 극단적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했다.
이같은 발언은 2024년에도 있었지만 실제 정책화되지 않았고, 이번 발표 역시 구체적 집행 방식이나 시점은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미국 백악관, 무역 당국, 영화산업계 누구와도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표출된 이번 선언에 글로벌 영화산업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스트리밍 서비스가 일반화된 이후 많은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이 자신들의 제작 시설을 글로벌 지역으로 옮기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반발도 진행하고 있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의 영화 관세 폭탄 예고는 상징적 수사 이상의 실질 정책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비관적 시각이 지배적이다. 급변하는 글로벌 영화, TV산업은 스트리밍과 AI시대, 이미 국경 없는 초국가적 제작, 다국적 인센티브, 창작 환경의 다양화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영화 산업 역시 미국발 영화 관세 전쟁을 유심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한국은 최근 3년간 미국 SVOD(구독형 스트리밍) 시장에서 국가별 오리지널 제작 순위 1위를 기록했다. 2024년 기준,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제작 건수는 60편에 이르러 일본, 브라질 등 타 국가를 압도적으로 앞섰다. 이는 K콘텐츠가 미국 기반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 잡았음을 입증한다.
관세 폭탄 예고와 미국 내 반발
트럼프 대통령의 영화 관세 위협은 단순한 보호무역 이슈를 넘어 미국 영화산업 구조 변화와 직접 연결된다. 트럼프는 이번 조치의 필요성을 캘리포니아주(Gavin Newsom, 캘리포니아주지사) 등 지역 영화 클러스터 붕괴와 주정부 무능으로 돌렸다.
하지만, 실제 영화산업계는 관세 현실화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자동차·철강처럼 물리적 ‘재화’가 아닌 영화는 ‘서비스(Services)’ 혹은 ‘지식재산(Contents)’으로 분류되는 만큼, 관세 대상·방식이 모호하고 스트리밍(Streaming) 등 다양한 유통 경로 문제도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MPA(미국영화협회, Motion Picture Association)와 주요 스튜디오들은 공식 입장을 자제하며 관망하고 있지만, 업계 내부적으로는 트럼프의 원론적 보호주의 발언이 할리우드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 내외 촬영지 변화와 글로벌 제작 트렌드
최근 5~6년간 미국 메이저·미니메이저 스튜디오(빅 파이브, A24, Amazon MGM, Annapurna, Apple, Lionsgate, Neon, Netflix, STXfilms, United Artists 등)의 작품들은 점차 미국 외부에서 제작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2018~2024년 동안 미국 내 촬영 영화는 115편(2018년)에서 128편(2024년)으로 소폭 늘었으나, 미국 외 촬영은 59편에서 74편으로 확대됐다. 스크립티드 드라마(미국 내 281편 → 174편, 미국 외 91편 → 117편)도 같은 흐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