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Creator Exodus: From social media to Fandom Platforms in the AI Era (AI시대 "크리에이터 대탈출: 소셜미디어를 버리고 팬덤 플랫폼으로")

AI 시대의 생존법: 100만 팔로워보다 1000명 슈퍼팬

AI가 대량 생산하는 콘텐츠가 소셜미디어를 점령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이 진짜 팬과 직접 연결되는 전문 플랫폼으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미국 비즈니스 매체 악시오스(Axios)는 5일(현지시간) '크리에이터 앱 붐(Creator app boom)' 보도를 통해 패트리온(Patreon), 서브스택(Substack), 온리팬스(OnlyFans), 비하이브(Beehiiv) 등 슈퍼팬 플랫폼이 연간 수조원대 거래액을 기록하며 새로운 크리에이터 경제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100만 명의 무관심한 팔로워보다 월 10달러를 기꺼이 지불하는 1000명의 슈퍼팬이 더 가치 있는 시대, 광고 의존 소셜미디어 모델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크리에이터와 슈퍼팬이 직접 연결되는 '팬덤 경제'가 미디어 산업의 뉴 노멀(New Normal)로 부상하고 있다.

The Great Creator Exodus: From Social Media to Fandom Platforms in the AI Era

  • Survival in the AI Age: 1,000 Super Fans Over 1 Million Followers
  • The Rise of the $13 Billion Fandom Economy Led by Patreon, Substack, and OnlyFans
  • The End of Ad-Dependent Social Media and the New Order of Direct Connection Platforms

As AI-generated content floods social media, creators are mass migrating to specialized platforms that connect them directly with real fans. According to Axios's "Creator app boom" report on January 5th, super-fan platforms like Patreon, Substack, OnlyFans, and Beehiiv are recording multi-billion dollar annual transactions, leading a new creator economy. In an era where 1,000 super fans willing to pay $10 monthly are more valuable than one million indifferent followers, the "fandom economy" where creators and super fans connect directly is emerging as the new normal in the media industry, as the ad-dependent social media model reveals its limitations.

https://www.patreon.com/

슈퍼팬이 만드는 13조원 경제

악시오스(AXIOS)에 따르면, 패트리온의 잭 콘테(Jack Conte) CEO는 "2013년 창업 이후 크리에이터들이 팬들로부터 받은 누적 금액이 100억 달러(약 13조원)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현재 플랫폼에는 2500만 개 이상의 유료 멤버십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연간 20억 달러 이상이 크리에이터들에게 지급되고 있다.

뉴스레터 플랫폼 고스트(Ghost)도 월요일 블로그를 통해 2013년 출시 이후 퍼블리셔들이 1억 달러(약 1300억원) 이상을 벌어들였다는 새로운 이정표를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1000명의 진짜 팬(1,000 True Fans)' 이론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고스트(Ghost)는  오픈소스 기반의 웹·뉴스레터 퍼블리싱 플랫폼으로, 블로그, 뉴스레터, 멤버십 및 유료 구독 기능을 모두 갖춘 서비스다.

고스트는 중앙화된 기업(예: 페이스북, 미디엄)에 종속되지 않고, 크리에이터 및 퍼블리셔가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소유할 수 있다. "뉴스레터 회원 목록(리스트)" 만 아니라 웹사이트 전체를 직접 소유할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 요소다. 또 구독 기반, 유료 콘텐츠, 커뮤니티 구축 기능을 제공하며, 퍼블리셔가 직접 멤버십 티어를 설정해 독점 콘텐츠·커뮤니티·소통·기획참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고스트는 서브스택 등 경쟁사와 달리, 매출의 %를 떼는 방식이 아니라 월정액(최저 $15)로 운영돼, 크리에이터가 벌어들이는 수익 대부분을 직접 가져갈 수 있다.최근 6.0 버전에서는 ActivityPub 기반의 소셜웹 연동(마스토돈, 블루스카이 등), 실시간 커뮤니티, 내장형 분석 도구 등이 추가되어 더 높은 팬 유대와 확장성을 확보했다.

The $13 Billion Economy Built by Super Fans

According to Axios, Patreon CEO Jack Conte revealed that "the cumulative amount creators have received from fans since our founding in 2013 has exceeded $10 billion." The platform currently has over 25 million active paid memberships, with more than $2 billion paid to creators annually.

Newsletter platform Ghost also announced a new milestone on Monday through its blog, revealing that publishers have earned over $100 million since its 2013 launch. This isn't just a number—it's the realization of the "1,000 True Fans" theory.

Ghost is an open-source web and newsletter publishing platform featuring blog, newsletter, membership, and paid subscription capabilities. Unlike centralized corporations (like Facebook or Medium), Ghost allows creators and publishers to fully own their data and software. The key differentiator is that users can own not just their "newsletter member list" but their entire website. Ghost operates on a flat monthly fee (starting at $15) rather than taking a percentage of revenue, allowing creators to keep most of their earnings. The recent 6.0 version added ActivityPub-based social web integration (Mastodon, Bluesky, etc.), real-time community features, and built-in analytics tools for stronger fan engagement and scalability.

AI 콘텐츠 범람이 촉발한 슈퍼팬 플랫폼 부상

악시오스는 "AI 기반 콘텐츠가 소셜미디어 피드를 범람시키면서(flooding social media feeds) 크리에이터들이 패트리온, 서브스택, 온리팬스, 비하이브 같은 앱으로 비즈니스를 구축하기 위해 전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핵심은 차별화다. 악시오스는 "소셜미디어는 여전히 크리에이터들이 무료 오디언스를 늘리는 데 훌륭한 장소지만, 팬들과 더 깊은 수준에서 연결하고 실제로 콘텐츠에 대한 대가를 받으려면 대부분의 소셜 앱이 제공하지 않는 전문화된 집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I가 대량 생산하는 획일화된 콘텐츠 속에서, 인간 크리에이터와 슈퍼팬 간의 진정성 있는 연결이 오히려 더 큰 가치를 갖게 된 역설적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The Rise of Super-Fan Platforms Triggered by the AI Content Flood

Axios analyzed that "as AI-based content floods social media feeds, creators are switching to apps like Patreon, Substack, OnlyFans, and Beehiiv to build their businesses."

The key is differentiation. Axios noted, "Social media is still a great place for creators to grow free audiences, but connecting with fans on a deeper level and actually getting paid for content requires specialized focus that most social apps don't provide." In the paradoxical situation where authentic connections between human creators and super fans gain even greater value amidst the homogenized content mass-produced by AI.

슈퍼팬 플랫폼의 차별화 전략

슈퍼팬 플랫폼들이 일반 소셜미디어와 차별화되는 지점은 명확하다.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 크리에이터와 팬 사이의 깊은 관계 구축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익스클루시브 액세스(Exclusive Access)를 통해 일반 팔로워는 볼 수 없는 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하고, 크리에이터와 슈퍼팬 간 직접적인 소통 채널을 열어둔다. 1:1 메시지, 라이브 세션, 독점 Q&A 등을 통해 팬들은 크리에이터와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더 나아가 같은 크리에이터를 지지하는 슈퍼팬들끼리의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팬을 넘어 하나의 문화 집단으로 진화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광고가 아닌 구독료를 통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익 모델이다. 이러한 모델에서 슈퍼팬 한 명은 광고 기반 팔로워 100~1000명의 가치를 창출한다.

Super-Fan Platforms' Differentiation Strategy

The differentiation points between super-fan platforms and general social media are clear. They enable deep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creators and fans beyond simple content consumption.

Through Exclusive Access, they provide premium content invisible to general followers and open direct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creators and super fans. Through 1:1 messages, live sessions, and exclusive Q&As, fans experienc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creators.

Furthermore, by forming communities of super fans supporting the same creator, they evolve beyond simple fandom into cultural groups. Most importantly, it's a stable and predictable revenue model through subscriptions rather than ads. In this model, one super fan creates the value of 100-1,000 ad-based followers.

느슨한 규제, 창작의 자유... 그리고 논란

악시오스는 "유료 팬과 크리에이터 간 긴밀한 연결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크리에이터 플랫폼들은 많은 무료 공개 콘텐츠로 돈을 버는 소셜 기업들보다 느슨한 콘텐츠 규칙을 갖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패트리온(Patreon)은 결제 파트너와의 컴플라이언스와 글로벌 플랫폼 신뢰성 유지를 위해, 크리에이터와 커뮤니티에 콘텐츠 공개 기준과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준수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2025년 투명성 보고서에 따르면, 패트리온은 위험 콘텐츠(청소년 안전, 성적으로 자극적인 콘텐츠 등)와 불법·규제된 행위, 증오 발언 관련 정책을 엄격히 집행하고 있다. 위반 시에는 콘텐츠 숨김, 계정 일시 정지, 영구 삭제 등 단계적인 제재가 적용된다. 최근에는 거래 가능 콘텐츠에 대한 명확한 규정까지 추가해 국제 결제망의 요구에도 대응하고 있다.

온리팬스(OnlyFans)는 2021년 8월, 결제 파트너인 대형 은행들의 요구로 ‘성적으로 명시적인 콘텐츠’를 전면 금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플랫폼 주요 수익원인 성인 크리에이터의 활동을 제한하는 조치로, 즉각적으로 사용자 및 크리에이터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결국 온리팬스는 불과 일주일 만에 해당 결정을 철회하고 기존 정책을 유지하기로 했다. 플랫폼은 은행과의 합의 혹은 보험을 통해 크리에이터와 금융망의 요구 사이에서 절충점을 모색하고 있다.

서브스택(Substack)은 백인우월주의, 나치 관련 뉴스레터 및 구독 상품을 명확히 금지하지 않아 2023~2024년에 작가 커뮤니티에서 대규모 이탈 위협과 비판을 받았다. 회사는 표현의 자유 원칙을 내세웠으나, 외부 압력과 내부 반발에 일부 극단적 출판물을 삭제하는 조치를 취했다. 2025년 8월에는 나치 뉴스레터 구독을 권장하는 푸시 알림 논란이 발생해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서브스택은 여전히 ‘신체에 대한 위해’ 혹은 ‘폭력 조장’이 아닌 한, 극단적 견해도 허용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크리에이터 플랫폼들은 결제·광고 파트너의 컴플라이언스 요구에 맞춰 콘텐츠 기준을 강화하면서도, 커뮤니티 반발과 창작자 수익성 저하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최근 사례들을 보면 주요 플랫폼들이 정치적, 윤리적 논란이 있는 콘텐츠에 대해 명확한 관리 기준과 집행 방침을 마련하는 것이 사업의 지속성과 사용자 신뢰 유지를 위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Loose Regulations, Creative Freedom... and Controversy

Axios pointed out that "creator platforms designed to foster intimate connections between paying fans and creators tend to have looser content rules than social companies that make money from lots of free, public content."

Patreon continuously emphasizes content disclosure standards and community guideline compliance to maintain payment partner compliance and global platform reliability. According to their 2025 transparency report, Patreon strictly enforces policies on risky content (youth safety, sexually suggestive content, etc.), illegal/regulated activities, and hate speech. Violations result in graduated sanctions including content hiding, account suspension, and permanent deletion.

OnlyFans announced in August 2021 that it would ban all "sexually explicit content" at the request of major banks, their payment partners. This decision, limiting the activities of adult creators who were the platform's main revenue source, immediately triggered strong backlash from users and creators. OnlyFans reversed the decision after just one week, maintaining existing policies. The platform continues seeking compromise between creator and financial network requirements through agreements with banks or insurance.

Substack faced mass exodus threats and criticism from its writer community in 2023-2024 for not explicitly prohibiting white supremacist and Nazi-related newsletters and subscription products. While the company invoked free expression principles, it took action to remove some extreme publications under external pressure and internal backlash. In August 2025, controversy erupted over push notifications recommending Nazi newsletters, leading to an official apology. However, Substack still maintains a policy allowing extreme views unless they involve "bodily harm" or "incitement to violence."

메타의 백기: 거대 플랫폼의 한계

악시오스는 최근 기사에서 메타 등 일부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크리에이터 페이아웃, 레버뉴 셰어 프로그램에 더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현상을 짚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크리에이터들이 플랫폼 밖에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거나 진정한 팬 커뮤니티를 구축하도록 설계되지는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기존의 대형 소셜미디어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수익 분배나 자체 지원은 늘어나고 있지만, 그 구조 자체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외부로 팬을 이전시키거나 직접적인 소통을 장려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메타가 2022년 자사 오디오 서비스와 뉴스레터(페이스북 Bulletin) 플랫폼을 공식적으로 폐쇄한 결정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메타는 불과 18개월 만에 뉴스레터 플랫폼 운영을 중단하고, 플랫폼 내에서 '크리에이터 직접 지원' 기능과 숏폼 영상(릴스)에 집중하는 정책으로 전환했다. 공식 입장에서도 "플랫폼 외부 제품(Bulletin)은 종료하되, 페이스북 내부 크리에이터의 성공과 성장 지원에는 계속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메타는 자사 SNS 생태계 내에서만 팬 커뮤니티와 수익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는 셈이다.

이같은 결정은 거대 소셜미디어가 광고 수익 모델에 최적화된 구조적 한계를 인정한 대표적인 사례다. 대중적 콘텐츠와 알고리즘 중심의 추천 시스템 때문에, 크리에이터들이 소수의 슈퍼팬과 깊은 관계를 맺거나 플랫폼 밖에서 자생적 커뮤니티를 성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악시오스는 "진정한 슈퍼팬 경제(superfan economy)가 실현되려면 크리에이터가 자율적 관계를 맺고, 팬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별도의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결국 글로벌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크리에이터 지원 확대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내에서의 통제와 광고 수익 구조 한계 때문에 슈퍼팬 중심의 창작 생태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크리에이터들은 독립적인 팬 커뮤니티 형성 및 직접 수익화가 가능한 플랫폼(예: 패트리온, 서브스택 등)으로 점점 이동하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Meta's White Flag: The Limits of Giant Platforms

Axios noted in a recent article that some social media companies like Meta are investing more aggressively in creator payout and revenue share programs. However, analysts suggest these systems aren't designed to help creators expand networks outside platforms or build genuine fan communities.

This limitation was symbolically revealed when Meta officially shut down its audio services and newsletter platform (Facebook Bulletin) in 2022. Meta ceased newsletter platform operations after just 18 months, shifting to focus on "creator direct support" features and short-form video (Reels) within the platform. Their official position stated they would "terminate external products (Bulletin) but continue focusing on supporting creator success and growth within Facebook."

This decision represents a prime example of giant social media acknowledg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being optimized for advertising revenue models. Due to mass content and algorithm-centric recommendation systems, creators inevitably face limitations in forming deep relationships with small groups of super fans or growing autonomous communities outside the platform.

투자 쓰나미: 슈퍼팬 경제의 미래 가치

악시오스는 "패트리온은 여전히 비상장 기업이고 콘테 CEO는 현재 상장 계획이 없다고 말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플랫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패트리온은 누적 4억 달러 이상을 조달했으며 2021년 기준 40억 달러(약 5조 2000억원) 이상으로 평가받았다. 서브스택은 500만 개 이상의 유료 구독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1억 달러 조달로 11억 달러(약 1조 4300억원)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2021년 출시된 비하이브는 "크리에이터 도구의 더 넓은 범위에 투자하면서" 작년 2억 2500만 달러(약 2900억원)로 평가받았다. 온리팬스는 약 80억 달러(약 10조 4000억원) 가치로 매각 협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도됐다.

이러한 고평가는 단순한 버블이 아니다. 슈퍼팬 경제가 창출하는 실질적 가치를 시장이 인정하고 있다는 증거다. 투자자들은 AI 시대에 인간적 연결의 희소성이 더욱 커질 것이며, 이를 구현하는 플랫폼의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Investment Tsunami: The Future Value of the Super-Fan Economy

Axios reported that "while Patreon remains private and CEO Conte says there are no current IPO plans, investor interest in these types of platforms is surging."

Patreon has raised over $400 million cumulatively and was valued at over $4 billion in 2021. Substack has over 5 million paid subscriptions and was recently valued at over $1.1 billion with a $100 million raise. Beehiiv, launched in 2021, was valued at $225 million last year while "investing in a broader range of creator tools." OnlyFans is reportedly in sale negotiations at approximately $8 billion valuation.

These high valuations aren't mere bubbles. They're evidence that the market recognizes the real value created by the super-fan economy. Investors see that human connection scarcity will grow even more valuable in the AI era, and platforms implementing this will grow exponentially.

슈퍼팬 경제의 본질: 관계의 깊이가 만드는 가치

크리에이터와 슈퍼팬의 관계는 일방적인 콘텐츠 소비를 넘어선다. 슈퍼팬들은 크리에이터의 창작 과정에 참여하고, 독점 콘텐츠를 즐기며, 커뮤니티의 일원이 되는 것에 기꺼이 돈을 지불한다. 이는 단순한 거래가 아니라 일종의 후원이자 투자이며, 소속감의 표현이다.

비하이브처럼 크리에이터 도구의 더 넓은 범위에 투자하는 플랫폼들의 등장은 슈퍼팬 경제가 단순한 구독 모델을 넘어 더욱 정교하고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제작자를 넘어 커뮤니티 리더가 되고, 팬들은 소비자를 넘어 참여자이자 공동 창작자가 된다.

The Essence of the Super-Fan Economy: Value Created by Relationship Depth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ors and super fans transcends one-way content consumption. Super fans willingly pay to participate in creators' creative processes, enjoy exclusive content, and become community members. This isn't a simple transaction but a form of patronage, investment, and expression of belonging.

The emergence of platforms like Beehiiv investing in broader creator tool ranges shows the super-fan economy evolving beyond simple subscription models into more sophisticated and diverse forms. Creators become community leaders beyond content producers, and fans become participants and co-creators beyond consumers.

한국 시장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팬덤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K-팝, 웹툰, 게임 등에서 보여준 한국 팬들의 충성도와 지불 의향은 슈퍼팬 플랫폼이 성장할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이다.

이미 일부 한국 크리에이터들은 해외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슈퍼팬들과 직접 연결되며 새로운 수익 모델을 실험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들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주목하고 있지만, 광고 중심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진정한 슈퍼팬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국형 슈퍼팬 플랫폼의 등장이 절실한 시점이다.

Korean Market Potential and Challenges

Korea already possesses world-class fandom culture. The loyalty and payment willingness shown by Korean fans in K-pop, webtoons, and gaming provide fertile ground for super-fan platform growth.

Some Korean creators a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new revenue models by directly connecting with global super fans through overseas platforms. While domestic platforms like Naver and Kakao are also focusing on the creator economy, whether they can evolve into genuine super-fan platforms beyond ad-centric business models remains uncertain. The emergence of Korean-style super-fan platforms is urgently needed.

결론: AI 묵시록 시대, 슈퍼팬이라는 마지막 성전

악시오스의 분석은 우리가 맞이한 종말을 선언한다. AI가 초당 수만 개의 콘텐츠를 무한 생성하는 이 디스토피아에서, 인간 크리에이터의 존재 자체가 위기에 처했다. 그리고 이 실존적 위기 속에서, 단 하나의 구원이 남았다 - 슈퍼팬, 그리고 그들이 모이는 성소인 팬덤 플랫폼이다.

100만 팔로워는 이제 무의미한 숫자의 잔해다. AI가 만들어낸 허상일 수도, 알고리즘이 잠시 비춘 신기루일 수도 있다. 그러나 패트리온에서 매달 구독료를 지불하는 1000명의 슈퍼팬은 다르다. 서브스택에서 유료 뉴스레터를 구독하는 충성스러운 독자들, 온리팬스에서 크리에이터와 직접 소통하며 후원하는 열성 팬들 - 이들이야말로 AI가 결코 복제할 수 없는 인간 연결의 증거다.

팬덤 플랫폼의 부상은 새로운 질서의 도래를 알린다. 패트리온이 100억 달러를 돌파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서브스택이 유니콘이 된 것도, 온리팬스가 80억 달러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도 필연이다. 디스코드가 크리에이터들의 새로운 왕국이 되고, 패니하우스와 제네바 같은 플랫폼들이 슈퍼팬 전용 공간으로 진화하는 것은 시대의 명령이다. 이 플랫폼들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AI 시대 인간성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다.

광고 기반 경제는 이미 사형 선고를 받았다. 무한한 AI 콘텐츠가 광고 단가를 제로로 수렴시킬 것이다. 그러나 팬덤 플랫폼에서 이뤄지는 직접적인 가치 교환은 불멸이다. 월 구독료, 팁, 독점 콘텐츠 구매 - 이것들은 단순한 거래가 아니라 크리에이터의 존재를 증명하는 성사(聖事)다.

AI는 모든 것을 모방할 수 있지만, 팬덤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친밀한 상호작용은 복제할 수 없다. 패트리온의 크리에이터 전용 포스트, 서브스택의 작가와 독자 간 댓글 대화, 디스코드의 실시간 음성 채팅 - 이 모든 것이 AI가 침범할 수 없는 성역이다.

미래는 잔혹하리만큼 명확하다. AI가 생산하는 무한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팬덤 플랫폼만이 방주가 될 것이다. 이 방주에 탑승한 크리에이터와 슈퍼팬만이 새로운 세계의 지배자가 될 것이다.

크리에이터 경제의 새로운 계명은 단 하나다:

팬덤 플랫폼에서 슈퍼팬을 확보하라, 그렇지 않으면 소멸하라. 팔로워의 시대는 끝났다. 팬덤 플랫폼의 시대가 왔다. 그리고 이 전환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들에게, AI 시대는 무덤이 될 것이다.

Conclusion: In the AI Apocalypse Era, Super Fans as the Last Crusade

Axios's analysis declares the apocalypse we face. In this dystopia where AI infinitely generates tens of thousands of pieces of content per second, the very existence of human creators is threatened. And in this existential crisis, only one salvation remains—super fans and the fandom platforms, their sanctuaries, where they gather.

One million followers is now meaningless numerical debris. It could be an AI-created illusion or a mirage briefly illuminated by algorithms. But 1,000 super fans paying monthly subscriptions on Patreon are different. Loyal readers subscribing to paid newsletters on Substack, passionate fans supporting and directly communicating with creators on OnlyFans—these are evidence of human connection that AI can never replicate.

The rise of fandom platforms heralds a new order. Patreon surpassing $10 billion isn't coincidence. Substack becoming a unicorn and OnlyFans being valued at $8 billion are inevitable. Discord becoming creators' new kingdom and platforms like Fanhouse and Geneva evolving into super-fan exclusive spaces is the era's command. These platforms aren't mere services but the last bastion protecting humanity in the AI age.

The ad-based economy has already received its death sentence. Infinite AI content will converge ad prices to zero. But the direct value exchange on fandom platforms is immortal. Monthly subscriptions, tips, exclusive content purchases—these aren't simple transactions but sacraments proving creators' existence.

AI can imitate everything but cannot replicate the intimate interactions occurring on fandom platforms. Patreon's creator-exclusive posts, writer-reader comment conversations on Substack, real-time voice chats on Discord—all are sanctuaries AI cannot violate.

The future is brutally clear. In the flood of infinite AI-generated content, only fandom platforms will be the ark. Only creators and super fans aboard this ark will become rulers of the new world.

The creator economy's new commandment is singular: Secure super fans on fandom platforms, or perish.

The era of followers has ended. The age of fandom platforms has arrived. And for those who don't understand this transition, the AI era will be their grave.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3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구독하시면 더 풍부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Subscribe for more rich content)

구독하시면 갯수 제한 없이 읽으실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