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ingI, Participates in UKF 2025 in New York, Accelerates Global Market Entry with AI Pipeline Inspection Robot

UN Award-Winning 'AI Sinkhole Prevention Technology' Officially Enters North America Collaborating with Virginia, Texas, and More...Silicon Valley Entity Already Established "3km Autonomous Robot + Digital Twin Predicts Infrastructure Accidents 3-6 Months in Advance"

[New York=Startup Special Coverage Team] An AI robot that navigates underground pipelines to prevent sinkholes has launched its entry into the U.S. market. The Korean startup, selected as the #1 'AI technology contributing most to humanity' by a UN agency, has begun its full-scale North American market offensive by meeting with global buyers in New York.

MorphingI (https://www.morphingi.com/, CEO Kim Ki-young), an AI-based underground infrastructure diagnostic robot company, announced on the 19th that it participated in 'UKF (UK-Korea Startup Forum) 2025' held at Duggal Greenhouse in Brooklyn, New York from October 16-18, showcasing its innovative technology and discussing collaboration strategies with numerous local partners.

Leading K-Startup's New York Entry

MorphingI participated in this event as a selected company for the K-Startup Center program. On-site, the company laid the groundwork for North American market entry by intensively demonstrating its core technologies: 'Morphing-BOT,' AI diagnostic platform, and digital twin system.

Other participating companies included five Korean advanced technology startups: 1001 Movements (underground utility mapping), Seoul Dynamics (drone predictive maintenance), WeFlo (leak detection), and Phyxup (remote rehabilitation AI). These companies reportedly held various meetings with global investors, buyers, and government officials over the three-day event.

"Travels 3km Underwater, Real-time Diagnosis of Cracks and Corrosion"

The Morphing-BOT unveiled by MorphingI at the event is a biomimetic autonomous exploration robot that moves freely underwater and captures 360-degree footage inside underground pipelines including water mains, gas pipes, and oil pipelines.

This spherical robot autonomously travels up to 3km from a single entry point, simultaneously collecting video, audio, and IoT data through LiDAR, 4K cameras, acoustic sensors, and acceleration sensors. The collected multimodal data is transmitted in real-time to AI analysis software, where deep learning algorithms automatically detect abnormal signs such as leaks, corrosion, cracks, and welding defects.

CEO Kim Ki-young explained in an interview with a Korean broadcaster: "We use robots and AI to detect the internal condition of pipelines. The robot enters water pipes and travels up to 3km from one entry point, collecting LiDAR, video, and acoustic data."

She continued: "When we send the data to our AI diagnostic system, it detects leaks and corrosion and even predicts pipe lifespan. By attaching very small sensors and sending abundant data to the digital twin, pipeline system managers can get immediate and predictive answers just by asking questions."

CEO Kim Ki-young, Ph.D., is a Yonsei University engineering doctorate graduate who served as an executive in digital finance, AI, big data, and blockchain at LG CNS and Hancom Group. Since founding MorphingI in 2021, she has been driving innovation in the global market with smart infrastructure management and AI convergence technology.

Digital Twin + AI Enables 'Predictive Infrastructure Management'

MorphingI's real strength lies in its predictive management system beyond simple inspection. Data collected by robots is integrated with the digital twin platform and visualized in real-time on GIS-based 3D maps.

Infrastructure managers can ask questions like "Which section is most dangerous?", "Where is the probability of failure highest within 3 months?", or "With a budget of 200 million won, where should we repair first?", and AI provides immediate and predictive answers.

In particular, by combining actual measurement data with AI-generated synthetic data, the system can simulate even rarely occurring accident situations. Through hybrid simulation combining physical models and AI, it predicts pipeline flow, ground deformation, and settlement probability, enabling municipalities to make data-driven repair priority decisions.

A MorphingI director met at the New York exhibition explained: "We develop both hardware and software and have our own curriculum, allowing us to generate recurring revenue. Operating in real-time is our biggest difference from competitors."

He added: "Our company is SaaS (Software as a Service) for infrastructure. It's a subscription-based business model that rents robots, providing a package of robot + AI system + SaaS system."

Active Collaboration with Virginia and Texas

MorphingI has been steadily preparing for North American market entry even before UKF participation. When a water infrastructure crisis occurred in Virginia in January this year, the company immediately submitted an AI-based solution proposal and has been in ongoing discussions with the state government and water authorities.

Director Lee Kyung-min stated: "When the water quality crisis occurred in Virginia in January, they requested a proposal from us. We've been in dialogue with them ever since."

In Texas, the company is conducting a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program with state universities and co-developing on-device AI robots with global AI semiconductor companies under NDAs. The Silicon Valley entity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with ongoing discussions on investment and partnerships with local VCs and infrastructure companies.

Multiple Global Projects Including Saudi Arabia and Singapore

Beyond North America, expansion into Middle Eastern and Asian markets is also progressing smoothly. MorphingI is conducting projects with four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is scheduled to sign PLCs (preliminary contracts) with Saudi Arabia and Singapore's Ministry of Defense in November.

Selected by Saudi Arabia's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MCIT), the company is establishing a local entity and discussing oil pipeline diagnostic projects with Saudi Aramco, the world's largest oil company. With Singapore's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DSTA), MorphingI has signed an NDA and is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military infrastructure security diagnostic systems.

The company is also expanding its global network by establishing local branches in Indonesia, Dubai, and Vietnam.

Won 1st Place Among 220 Projects Worldwide at UN's ITU

MorphingI's technological prowess has already been validated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is year at the UN'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AI for Good Summit' held in Geneva, Switzerland, the company won first place (grand prize) among 220 projects worldwide.

ITU, a UN agency that establishes global communication standards including Wi-Fi and Bluetooth, selected MorphingI as "the most outstanding case where AI substantially contributes to human safety."

Additionally, at the 'AI Action Summit' held in Paris, France, the company was selected as Korea's representative innovative company among 100 countries worldwide, proving the excellence of K-AI technology. The company has also won numerous domestic awards including the Minister of SMEs and Startups Award,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ward, and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s 'First Penguin' selection.

Completed Demonstrations in 4 Domestic Municipalities, Seoul Project Ongoing

Prior to global expansion, MorphingI thoroughly verified its technology domestically. The company received technology transfer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tracted 5 billion won in R&D funding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2023, the company successfully completed demonstrations of over 30km of water mains in four municipalities including Jeju, Jindo, Jeonju, and Siheung, proving robot driving stability and AI analysis accuracy. Currently, it is conducting sewer pipe demonstrations in Yeongdeungpo-gu and Dongjak-gu through Seoul Business Agency's demonstration project.

In other words, it is evolving into an integrated underground infrastructure data platform covering both water and sewer systems.

World's First 'Underwater Non-Water Submersible' Robot Development

Technologically, the company continues to evolve. MorphingI has extended its exploration distance from the previous 100m to a maximum of 3km and has developed the world's first 'underwater non-water submersible' inspection robot. This enables stable diagnostics in extreme environments including pipes without water, waterways, sewers, and submarine pipelines.

CEO Kim explained the sinkhole prevention technology in detail in an interview with Korean media: "'Morphing-BOT' is an AI autonomous exploration robot that moves freely underwater and captures 360-degree footage inside pipes. The spherical robot rolls through pipes collecting internal data with cameras, LiDAR, and acceleration sensors, while AI analyzes this to automatically diagnose signs of cracks, corrosion, and leaks."

She continued: "Think of it as an AI doctor that examines the city's veins by entering underground conduits that humans cannot access. It collects video, audio, and IoT sensor data (pressure, flow rate, water quality-turbidity, chlorine, temperature, etc.) in real-time, and integrates valve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smart meter signals for AI to learn abnormal patterns."

CEO Kim emphasized: "By analyzing this multimodal information combining video, audio, and IoT data, AI can predict risk signs 3-6 months in advance. The data is integrated with the digital twin platform and visualized on maps."

In particular, she explained: "The biggest trend in digital twins now is combining 'real data + synthetic data.' When there are actual measurements, AI creates synthetic data based on them to fill gaps and can pre-test even rarely occurring accident situations through simulation."

"Target: $100 Million Valuation This Year"

MorphingI is showing rapid growth with cumulative sales of 6 billion won. Currently conducting Series A investment rounds, the company aims to achieve a corporate valuation of $100 million (approximately 130 billion won) within this year (2025).

The business model consists of ▲robot-based inspection services ▲AI diagnostic report provision ▲digital twin visualization solutions ▲subscription-based SaaS platform, featuring a structure with both profitability and scalability.

The headquarters is located at A-1515, Saenggak Factory Dangsan, 150 Yeongdeungpo-ro, Yeongdeungpo-gu, Seoul, where approximately 18-27 core personnel are currently working.

"Innovative Technology, High Potential for U.S. Market Entry"

A U.S. investor who visited the UKF 2025 site commented: "MorphingI and the Korean startups participating in this event possess very innovative and interesting technologies. I hadn't heard of many of these companies before, but they're doing truly innovative and interesting work."

He added: "They need to enter the U.S. market and other countries, and someone needs to bridge that gap. I hope my company can play that role, and I'm here helping to bridge that gap."

He emphasized: "What's truly amazing is there's delicious food, cosmetics, new technology, and I think Americans should use these. We just need to make the right connections."

He added: "I need to try many more products. I've only had brief conversations, and I want to try some of the products here and see how well they fit the U.S. market. On the surface, they seem to reasonably fit the U.S. market, and I just need to go home and try them."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Data Assetization"

AI-Based Pipeline Management: "Now We Must Move from Simple Replacement to Data Assetization"

Director Lee Kyung-min pointed out: "Right now, most municipalities still focus their budgets on replacing or cleaning pipelines. But the results aren't recorded as data, so the same work gets repeated."

He emphasized: "Now, rather than simple replacement, we must record all maintenance processes as data and have AI learn from them. Every time budget is spent, data accumulates, that data becomes the basis for the next policy, and ultimately creates a structure where it remains as a national asset."

Director Lee also argued: "We need an institutional foundation where AI and robot exploration data is recognized as official administrative records. Currently, only reports written by people are recognized, but AI analysis results should also be acknowledged as credible administrative data."

He continued: "If this happens, AI budgets will transform from simple expenditures to investments focused on public safety, disaster prevention,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is the realistic direction for Korea to leap forward as an AI powerhouse—saving taxes while preventing real disasters and assetizing data in the process."

"Toward the World's Safest Infrastructure Nation"

CEO Kim expressed her vision: "A city is a living organism. Even if it looks fine on the outside, it can stop if invisible veins get blocked. We at MorphingI are finding those invisible dangers first with robots and AI, creating accident-free cities and predictable societies."

She pledged: "Our goal isn't simply technology development, but for Korea to leap forward as the world's safest infrastructure nation. We'll accelerate global expansion so that technology validated in Korea becomes the standard for urban safety systems worldwide."

MorphingI plans to accelerate its European market offensive as well. Demand for renovating aging infrastructure in France, Germany,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is surging, and interest in smart maintenance solutions is growing amid policy frameworks centered on ESG and sustainability.

As MorphingI, which has built global recognition by covering major technology exhibitions worldwide including CES, IFA, Web Summit, and VivaTech, officially launches its North American market offensive starting with UKF 2025, industry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it can become a successful model for K-AI technology's overseas expansion.

◇Contact: jjlee@morphingi.com / 010-9931-8571 (Director Lee Kyung-min)


모핑아이, 美 뉴욕 UKF 2025 참가...AI 파이프라인 검사 로봇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UN서 1위 수상한 'AI 싱크홀 예방 기술', 북미 진출 본격화 버지니아·텍사스 등과 협업 논의...실리콘밸리 법인 설립 완료 "3km 자율주행 로봇+디지털 트윈으로 인프라 사고 3~6개월 전 예측"

[뉴욕=스타트업 특별취재팀] 지하 배관 속을 누비며 싱크홀을 미리 막는 AI 로봇이 미국 시장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UN 산하 기구로부터 '인류에 가장 기여한 AI 기술' 1위로 선정된 한국 스타트업이 뉴욕에서 글로벌 바이어들을 만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AI 기반 지하 인프라 진단 로봇 전문기업 모핑아이(morphingI https://www.morphingi.com/ 대표 김기영)가 지난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미국 뉴욕 브루클린 더걸 그린하우스(Duggal Greenhouse)에서 열린 'UKF(UK-Korea Startup Forum) 2025'에 참가해 혁신 기술을 선보이고 다수의 현지 파트너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K-Startup 대표주자로 뉴욕 진출

모핑아이는 이번 행사에 K-Startup Center 프로그램 선정 기업으로 참가했다. 현장에서 자사의 핵심 기술인 'Morphing-BOT'과 AI 진단 플랫폼,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집중 시연하며 북미 시장 공략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함께 참가한 기업으로는 1001 Movements(지하 유틸리티 매핑), Seoul Dynamics(드론 예지보전), WeFlo(누수 탐지), Phyxup(원격 재활 AI) 등 한국의 첨단 기술 스타트업 5개사가 선정됐다. 이들은 3일간 글로벌 투자자, 바이어, 정부 관계자들과 다양한 미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속 3km 달리며 균열·부식 실시간 진단"

모핑아이가 행사장에서 공개한 Morphing-BOT은 물속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등 지하 배관 내부를 360도로 촬영하는 생체모방형 자율탐사 로봇이다.

공 모양의 이 로봇은 한 진입점에서 최대 3km까지 자율주행하며, 라이다(LiDAR), 4K 카메라, 음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영상, 음향, IoT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한다. 수집된 멀티모달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AI 분석 소프트웨어에 전송되고, 딥러닝 알고리즘이 누수, 부식, 균열, 용접 불량 등의 이상 징후를 자동으로 판독한다.

김기영 대표는 한국의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로봇과 AI로 파이프라인 내부 상태를 감지한다"며 "로봇이 물 파이프 안으로 들어가 한 진입점에서 최대 3km까지 이동하며 라이다, 비디오, 음향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터를 AI 진단 시스템에 전송하면 누수, 부식을 탐지하고 파이프 수명까지 예측한다"며 "아주 작은 센서를 부착해 디지털 트윈에 많은 데이터를 보내면, 파이프라인 시스템 관리자가 질문을 던지는 것만으로 즉각적이고 예측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표이사 김기영 박사(Ph.D.)는 연세대학교 공학박사 출신으로, LG CNS, 한글과컴퓨터 그룹에서 디지털 금융,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분야 임원을 역임했다. 2021년 모핑아이 창업 이후, 스마트 인프라 관리·AI 융합 기술로 글로벌 시장에서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AI로 '예측형 인프라 관리' 구현

모핑아이의 진짜 강점은 단순 검사를 넘어선 예측형 관리 시스템에 있다. 로봇이 수집한 데이터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연동되어 GIS 기반 3D 지도 위에 실시간으로 시각화된다.

인프라 관리자는 "어느 구간이 가장 위험한가?", "3개월 내 파손 확률이 높은 곳은?", "예산 2억으로 어디를 먼저 보수해야 하나?" 같은 질문을 시스템에 던지면, AI가 즉각적이고 예측적인 답변을 제공한다.

특히 실제 측정 데이터와 AI가 생성한 합성 데이터를 결합해 드물게 발생하는 사고 상황까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물리 모델과 AI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으로 배관 유동, 지반 변형, 침하 확률까지 예측해, 지자체가 데이터 기반으로 보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뉴욕 전시장에서 만난 모핑아이 이사는  "우리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 다 개발하며, 자체 커리큘럼도 갖추고 있어 반복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며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것이 경쟁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회사는 인프라 분야의 SaaS(Software as a Service)"라며 "로봇을 렌탈하는 구독형 비즈니스 모델로, 로봇+AI 시스템+SaaS 시스템을 패키지로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美 버지니아·텍사스와 실질 협력 진행 중

모핑아이는 UKF 참가 이전부터 이미 북미 시장 진출을 착실히 준비해왔다. 올해 1월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수도 인프라 위기가 발생하자 즉각 AI 기반 솔루션 제안서를 제출했고, 현재까지 주정부 및 수자원 당국과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경민 이사는 "올해 1월 버지니아에서 수질 위기가 발생했을 때 우리에게 제안서를 요청했다"며 "현재까지 그들과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텍사스에서는 주립대학교와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며,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들과 NDA를 맺고 온디바이스 AI 로봇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실리콘밸리 법인 설립은 이미 완료했으며, 현지 VC 및 인프라 기업들과 투자 및 파트너십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싱가포르 등 글로벌 프로젝트 다수 진행

북미뿐 아니라 중동과 아시아 시장 공략도 순조롭다. 모핑아이는 한국 내 4개 지방정부와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11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및 싱가포르 국방부와 PLC(사전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과학기술통신부(MCIT)에 선정되어 현지 법인 설립을 진행 중이며, 세계 최대 석유기업 사우디 아람코와 송유관 진단 프로젝트를 논의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방과학기술청(DSTA)과는 NDA를 체결하고 군사 인프라 보안 진단 시스템 도입을 협의 중이다.

인도네시아, 두바이, 베트남에도 현지 지사를 설립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

UN 산하 ITU서 전 세계 220개 중 1위 수상

모핑아이의 기술력은 국제 무대에서 이미 검증받았다. 올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AI for Good Summit'에서 전 세계 220개 프로젝트 중 최종 1위(대상)를 수상했다.

ITU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글로벌 통신 표준을 제정하는 UN 산하 국제기구로, "AI가 인류 안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가장 우수한 사례"로 모핑아이를 선정했다.

또한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I Action Summit'에서는 전 세계 100개국 중 대한민국 대표 혁신기업으로 선정되며, K-AI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이 밖에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금융위원회 '퍼스트 펭귄' 선정 등 국내에서도 잇따라 수상했다.

국내 4개 지자체 실증 완료, 서울시 사업 진행 중

글로벌 진출에 앞서 모핑아이는 국내에서 철저한 기술 검증을 마쳤다. 서울대학교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의 지원으로 50억원 규모의 R&D 자금을 유치했다.

2023년에는 제주, 진도, 전주, 시흥 등 4개 지자체에서 상수도관 30km 이상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로봇 주행 안정성과 AI 분석 정확도를 입증했다. 현재는 서울시 SBA 실증사업을 통해 영등포구와 동작구 하수도관 실증을 진행 중이다.

즉, 상수도와 하수도를 모두 포괄하는 통합 지하 인프라 데이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 최초 '수중 무수 잠수형' 로봇 개발

기술적으로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모핑아이는 기존 100m 수준이었던 탐사거리를 최대 3km까지 연장했으며, 세계 최초로 '수중 무수(無水) 잠수형' 점검 로봇을 개발했다. 이는 물이 없는 배관은 물론 수로, 하수도, 해저 배관 등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김 대표는 한국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싱크홀 예방 기술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모핑봇(Morphing-BOT)'은 물속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며 관 내부를 360도로 촬영하는 AI 자율탐사 로봇"이라며 "공 모양의 로봇이 관 속을 굴러가며 카메라, 라이다, 가속도 센서로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AI가 이를 분석해 균열·부식·누수의 징후를 자동으로 진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지하 관로 속을 대신 들어가 도시의 혈관을 검사하는 인공지능 의사라고 보면 된다"며 "영상, 음향, IoT 센서 데이터(압력, 유량, 수질-탁도·염소·온도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밸브 개폐 정보나 스마트 미터 신호까지 통합해 AI가 이상 패턴을 학습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이렇게 영상, 음향, IoT 데이터가 결합된 멀티 모달 정보를 AI가 분석해 3~6개월 전에 위험 징후를 예측할 수 있다"며 "데이터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연동되어 지도 위에서 시각화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녀는 "요즘 디지털 트윈의 가장 큰 흐름은 '실데이터 + 합성데이터' 결합"이라며 "실제 측정값이 있으면 AI가 그걸 기반으로 합성데이터를 만들어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시뮬레이션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사고 상황까지 미리 시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기업가치 1억 달러 목표"

모핑아이는 누적 매출 60억원을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진행 중이며, 올해(2025년) 안에 기업 가치 1억 달러(약 1,3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 모델은 ▲로봇 기반 점검 서비스 ▲AI 진단 리포트 제공 ▲디지털 트윈 시각화 솔루션 ▲구독형 SaaS 플랫폼 등으로 구성되며, 수익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갖춘 구조다.

본사는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로 150 생각공장 당산 A-1515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약 18~27명의 핵심 인력이 근무 중이다.

현지 참관객 "혁신적 기술,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 높아"

UKF 2025 현장을 방문한 한 미국 투자자는 "모핑아이를 비롯해 이번 행사에 참가한 한국 스타트업들은 매우 혁신적이고 흥미로운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 중 많은 기업을 이전에 들어본 적이 없었는데, 정말 혁신적이고 흥미로운 일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들은 미국 시장과 다른 국가에 진출해야 하는데, 누군가 그 격차를 메워줄 필요가 있다"며 "내 회사가 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라며, 여기 와서 그 격차를 메우는 것을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말 놀라운 것은 맛있는 음식, 화장품, 신기술이 있고, 미국인들이 이것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올바른 연결만 만들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많은 제품을 더 시도해봐야 한다. 짧은 대화만 나눴고, 여기 제품 중 일부를 시도해보고 미국 시장에 얼마나 잘 맞을지 보고 싶다"며 "겉보기에는 미국 시장에 합리적으로 잘 맞을 것으로 보이는 제품들이고, 집에 가서 시도해보기만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데이터 자산화로 국가 경쟁력 강화"

AI 기반 관로 관리, “이제는 단순 교체 아닌 데이터 자산화로 가야”

이경민 이사는 “지금 대부분의 지자체는 여전히 관로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는 데 예산을 집중하고 있다”며 “하지만 그 결과가 데이터로 남지 않아 같은 작업이 반복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단순 교체가 아니라, 모든 보수 과정을 데이터로 기록하고 AI가 학습하도록 해야 한다”며 “예산이 쓰일 때마다 데이터가 쌓이고, 그 데이터가 다음 정책의 근거가 되며, 결국 국가 자산으로 남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이사는 또한 “AI·로봇 탐사 데이터가 공식 행정기록으로 인정될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며 “지금은 사람이 작성한 보고서만 인정되지만, AI 분석 결과도 공신력 있는 행정 데이터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렇게 되면 AI 예산이 단순 지출이 아니라 국민 안전, 재난 예방, 국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되는 투자로 바뀔 것”이라며 “세금을 절약하면서 진짜 재난을 예방하고, 그 과정에서 데이터를 자산화하는 것이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현실적 방향”이라고 역설했다.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인프라 국가로"

김 대표는 "도시는 살아 있는 유기체다. 겉으로 멀쩡해 보여도, 보이지 않는 혈관이 막히면 멈출 수 있다"며 "우리 모핑아이는 로봇과 AI로 그 보이지 않는 위험을 먼저 찾아내고, 사고 없는 도시, 예측 가능한 사회를 만들고 있다"고 비전을 밝혔다.

이어 "우리의 목표는 단순 기술개발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인프라 국가로 도약하는 것"이라며 "한국에서 검증된 기술이 이제 전 세계 도시 안전 시스템의 표준이 되도록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다짐했다.

모핑아이는 향후 유럽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프랑스, 독일 등 유럽의 노후 인프라 개보수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며, ESG와 지속가능성 중심의 정책 기조 속에 스마트 유지보수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CES, IFA, Web Summit, 비바테크(VivaTech) 등 세계 주요 기술 전시회를 섭렵하며 글로벌 인지도를 쌓아온 모핑아이가 UKF 2025를 기점으로 북미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건 가운데, K-AI 기술의 해외 진출 성공 모델이 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의: jjlee@morphingi.com / 010-9931-8571 (이경민 이사)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