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ve Locked the Door on AI, but What's Changed?" in The New York Times' AI Strategy Shift: ("AI에 문을 잠궜지만, 뭐가 달라졌나"뉴욕타임스의 AI 전략 대전환)
미디어 업계 AI 혁명 속에서 뉴욕타임스가 보여주는 새로운 접근법과 한국 언론계의 대응
아마존과 연간 2,000만 달러 AI 라이선싱 계약, 구글 임원 영입 "주요 테크 플랫폼과 AI관련 협업 담당"
AI시대 승자는 테크 기업아닌 '테크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기업
인공지능(AI)이 미디어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가운데,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가 업계의 새로운 생존 전략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고 구독자를 보유한 신문사 중 하나인 뉴욕타임스는 최근 아마존과 연간 2,000만-2,5000만 달러 규모의 파격적인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동시에 구글의 전 AI 파트너십 책임자를 영입해 플랫폼 관계 관리 조직을 대폭 강화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AI 시대 미디어 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The New York Times' AI Strategy Revolution: $20 Million Annual Amazon Deal and Google Executive Hire
World's Leading Newspaper Charts New Course for Media Survival in AI Era
Dual-Track Strategy Combines Legal Battles with Business Partnerships
Korean Media Industry Urged to Move Beyond Passive Response to Active Negotiation
As artificial intelligence fundamentally reshapes the media ecosystem, The New York Times is capturing global attention by presenting a new survival strategy for the industry. The world's most authoritative newspaper recently signed a groundbreaking content licensing deal worth $20-25 million annually with Amazon while simultaneously hiring Google's former AI partnerships chief to significantly strengthen its platform relationship management organization. This move represents more than a simple business transaction—it signals a strategic paradigm shift for media companies in the AI era.

아마존과의 파격적 계약: 미디어 콘텐츠 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월스트리트저널이 독점 보도한 바에 따르면, 뉴욕타임스와 아마존 간의 다년간 라이선스 계약은 연간 2천만-2천5백만 달러 규모로, 이는 뉴욕타임스 2024년 전체 매출의 거의 1%에 해당하는 상당한 금액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아마존은 뉴욕타임스의 뉴스 섹션, 요리 콘텐츠, 그리고 최근 인수한 스포츠 전문 매체 더 애슬레틱(The Athletic)의 광범위한 콘텐츠를 AI 모델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했다. 또 알렉사를 포함한 아마존의 각종 서비스와 제품에서 뉴욕타임스 콘텐츠의 요약본과 짧은 발췌문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는 뉴욕타임스로서는 첫 번째 AI 관련 라이선스 계약이며, 아마존으로서도 출판사와 맺은 첫 번째 이런 유형의 계약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뉴욕타임스가 현재 OpenAI와 그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를 대규모 언어모델 훈련을 위한 무단 콘텐츠 사용을 이유로 저작권 침해 혐의로 고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계약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뉴욕타임스가 법정 다투음과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동시에 추진하는 정교한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메레디스 코핏 레비엔(Meredith Kopit Levien) 뉴욕타임스 최고경영자는 5월 계약 발표 당시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이번 거래는 고품질 저널리즘은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받을 가치가 있다는 우리의 오랜 원칙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Amazon's Landmark Deal: A New Valuation Signal for Media Content
According to exclusive reporting by The Wall Street Journal, the multi-year licensing agreement between The New York Times and Amazon is worth $20-25 million annually, representing nearly 1% of The Times' total 2024 revenue—a substantial sum by any measure. Through this contract, Amazon gains access to use content from The Times' news sections, cooking content, and The Athletic, its recently acquired sports publication, for AI model training. Additionally, Amazon can provide summaries and short excerpts of Times content across its various services and products, including Alexa.
This marks The Times' first AI-related licensing deal and Amazon's first such agreement with a publisher.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is contract was signed while The Times is currently suing OpenAI and its largest investor Microsoft for copyright infringement over unauthorized use of content to train large language models. This demonstrates The Times' sophisticated dual-track strategy of pursuing legal action while simultaneously engaging in business partnerships.
"This deal is consistent with our long-held principle that high-quality journalism is worth paying for," Times CEO Meredith Kopit Levien said in a staff memo when the arrangement was announced in May.
AI 업계의 콘텐츠 라이선스 경쟁 가속화
뉴욕타임스의 아마존 거래는 더 큰 업계 트렌드의 일부다. AI테크 미디어와 거래를 시작하는 뉴스 미디어는 뉴욕타임스 뿐만 아니다.
Accelerating Content Licensing Competition in AI Industry
The Times' Amazon deal is part of a broader industry trend. OpenAI has already signed licensing agreements with several publishers, including a deal with Wall Street Journal parent News Corp that could be worth more than $250 million over five years. The company also has a three-year pact with Business Insider and Politico owner Axel Springer worth at least $25-30 million.
챗GPT의 오픈AI(OpenAI)는 이미 여러 뉴스 미디어들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의 모회사인 뉴스코프(News Corp)와는 5년간 2억5,000만 달러 이상 규모의 거래를 성사시켰다. 또 비즈니스 인사이더와 폴리티코를 소유한 악셀 스프링어(Axel Springer)와는 3년간 최소 2,500만-3,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이러한 거래 구조는 AI 회사들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콘텐츠 활용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모델 훈련용인지, 챗봇 답변 제공용인지, 아니면 신제품 통합용인지에 따라 계약 조건과 금액이 결정된다. 뉴욕타임스의 아마존 거래는 현금 지급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라이선스 거래들은 다양한 금융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such deals varies widely depending on the products and services AI companies offer and how they wish to use the content—whether for model training, providing chatbot responses, or integrating news into emerging products. The Times deal consists of cash payments, though other licensing deals may include different financial terms.
구글 출신 전문가 영입: 전략적 파트너십 조직 강화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과 함께 뉴욕타임스가 취한 또 다른 중요한 움직임은 인재 영입이다.
회사는 구글에서 14년간 검색 및 AI 파트너십 업무를 담당했던 아담 그린버그(Adam Greenberg)를 전략적 파트너십 부사장으로 영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인사 이동을 넘어 AI 시대 미디어 기업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그린버그는 구글에서 구글 월렛의 온라인 결제 제품 출시를 도우며 커리어를 시작했고, 이후 언론사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웹 및 검색 이니셔티브 파트너십으로 업무 영역을 확장했다. 최근에는 이 업무가 AI 분야로까지 확대되어 콘텐츠가 어떻게 발견되고 활용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다뤄왔다.
그린버그는 뉴욕타임스에서 주요 테크 플랫폼 및 기타 대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담당하는 다섯 명의 팀을 이끌게 된다. 이 팀은 출판사의 콘텐츠가 AI 시스템에서 어떻게 노출되고, 수익화되며, 재활용되는지에 대한 더욱 전략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 대변인에 따르면, 그린버그는 또한 뉴스룸을 포함한 조직 전반에 걸쳐 콘텐츠 배포 및 독자 개발 업무도 담당할 예정이다.
구글 뉴스 파트너십의 전 책임자였던 마드하브 친나파(Madhav Chinnappa)는 현재 AI 및 미디어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그린버그의 영입에 대해 "아담은 미디어와 기술 분야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관계 구축과 건전한 지속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하는 데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그린버그가 뉴스 조직과 빅테크 기업 간의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뉴욕타임스가 빅테크를 상대로 전체 뉴스 생태계를 대표하는 리더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Google Executive Hire: Strengthening Strategic Partnership Organization
Alongside the content licensing agreement, another crucial move by The Times was talent acquisition. The company announced the hiring of Adam Greenberg, who spent 14 years at Google handling search and AI partnerships, as vice president of strategic partnerships. This represents more than a simple personnel move—it's a strategic choice to strengthen core capabilities for media companies in the AI era.
Greenberg began his career at Google helping launch online payment products for Google Wallet, later expanding his work to web and search initiative partnerships for publishers and creators. Recently, this work expanded into AI and the mechanics of how content gets discovered and increasingly used.
At The Times, Greenberg will lead a five-person team responsible for managing partnerships with major tech platforms and other large companies. This team's importance has grown as the publisher takes a more strategic approach to how its content is surfaced, monetized, and repurposed in AI systems. According to a Times spokesperson, Greenberg will also work across the organization, including with the newsroom, on content distribution and audience development.
Madhav Chinnappa, former head of Google News partnerships and now an AI and media consultant, praised Greenberg's hire: "Adam has extensive experience around media and technology. He's great at building relationships and understanding what needs to be done to maintain a healthy ongoing relationship." He added that Greenberg could help bridge the cultural divide between news organizations and big tech companies, expressing hope that "he can help the NYT act as a leader on behalf of the whole news ecosystem with Big Tech."
구글 임원: '사냥꾼에서 사냥감 보호자로'의 전환
그린버그의 뉴욕타임스 이직은 전형적인 '사냥꾼에서 사냥감 보호자로(poacher-turned-gamekeeper)' 전환의 사례다. 한때 구글이 언론사와의 관계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주던 인물이 이제는 가장 큰 언론 중 하나가 반격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플랫폼, 파트너, 그리고 적대자 간의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지는 생태계에서 뉴욕타임스가 상대방의 작동 방식을 아는 인물을 영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트너의 니콜 덴만 그린(Nicole Denman Greene) 부사장 겸 애널리스트는 "명확한 비전과 깊은 기술 전문성을 가진 임원들의 임명은 전략적 필수사항"이라며 "이를 통해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규칙이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AI 거래를 더 정확하게 평가하고, 협상하며, 실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른 미디어 기업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BBC 뉴스는 최근 메타의 전 APAC 미디어 파트너십 디렉터였던 안잘리 카푸어(Anjali Kapoor)를 첫 번째 AI, 혁신 및 성장 디렉터로 영입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형 출판사 임원은 "만약 그것이 앞으로 진짜 비즈니스가 된다면, 그것을 운영할 진짜 팀을 고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Industry Trend: From Poacher to Gamekeeper
Greenberg's move to The Times represents a classic "poacher-turned-gamekeeper" transition. The person who once helped Google optimize its relationships with publishers is now helping one of the biggest publishers push back. This reflects The Times bringing in someone who understands how the other side works in an ecosystem where the lines between platform, partner, and adversary are increasingly blurred.
"The appointment of executives with a clear vision and deep technological expertise is a strategic necessity," said Nicole Denman Greene, VP and analyst at Gartner. "It allows for more precise evaluation, nego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AI deals, even as the technology continues to improve and the rules change."
Similar moves are appearing at other media companies. BBC News recently hired Meta's former director for media partnership in APAC, Anjali Kapoor, as its first director of AI, innovation and growth. As one large publisher executive noted anonymously, "If that's a real business going forward, then you need to hire real teams to run it."
OpenAI의 이중적 전략: 선택적 파트너십
한편, AI 업계의 선두주자인 OpenAI는 미디어 업계에 대해 이중적인 접근법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IAB 테크 랩(IAB Tech Lab)의 행사는 불참했지만, 불과 일주일 후 콘데 나스트(Condé Nast)와 함께 자체 미디어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는 OpenAI가 출판사들을 기피하는 것이 아니라 신중하게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7월 30일 뉴욕에서 열린 이 행사에서 OpenAI는 ChatGPT의 활용 사례에 대한 토론과 데모를 진행했다. 콘데 나스트가 2024년 8월 OpenAI와 AI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만큼, 이 행사의 메시지는 예측 가능했다: AI가 출판사들을 공동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었다.
OpenAI의 제품 책임자인 닉 털리(Nick Turley)는 "언론사들과 파트너십을 맺는 이유는 우리가 콘텐츠와 뉴스의 미래를 탐구하고 그 일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단순히 내부적으로 배포되는 도구로서가 아니라 이 생태계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파악하는 데 있어서"라고 설명했다.
그는 ChatGPT 사용자들이 AI 생성 콘텐츠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소스의 정보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콘텐츠로의 경로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했다. "나는 그 콘텐츠를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우리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방법을 찾는 데 정말로 관심이 있다. 그것이 단순히 인용과 개요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털리는 또 언론사들이 콘텐츠가 ChatGPT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출판사들이 더 많은 가시성(그리고 hopefully 더 많은 추천)을 필요로 한다는 중요한 인정으로 받아들여졌다. "콘텐츠는 우리가 제공할 수 있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털리는 말했다.
OpenAI's Selective Partnership Strategy
Meanwhile, AI industry leader OpenAI is showing a dual approach toward the media industry. The company skipped the IAB Tech Lab event but hosted its own media event with Condé Nast just a week later, demonstrating that OpenAI isn't avoiding publishers—it's carefully selecting them.
At the July 30 event in its New York office, OpenAI conducted discussions and demos of ChatGPT use cases. With Condé Nast having signed an AI licensing deal with OpenAI in August 2024, the message was predictable: AI can help publishers rather than hollow them out.
"The reason that we have partnerships with the publishers is that we can explore [and] be a part of the future of content and news, not just as a tool that gets deployed internally... but truly in terms of figuring out what this ecosystem needs to look like," said Nick Turley, OpenAI's head of product.
Turley emphasized that ChatGPT users want information from reliable sources, not AI-generated content, though he admitted the pathway to that content has yet to be developed. "What I'm really interested in is finding ways to get that content to our users in completely novel ways. It doesn't just have to be citations and outlines."
Significantly, Turley also said he thinks publishers' content should be highlighted more prominently in ChatGPT, which felt like an important admission that publishers need more visibility and referrals. "I think content deserves so much more real estate than what we've been able to give it," he said.
미디어-AI 관계의 전환점
이러한 움직임들은 AI를 둘러싼 언론사와 테크 플랫폼 간의 관계에서 전환기적 순간에서 일어나고 있다. 일부 플랫폼들이 마침내 협상 테이블에 나타나고 있으며, 규제 당국이 더 강력한 보호책을 시행하기 위해 개입할 수 있다는 낙관론이 커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의구심이 남아있다.
미디어 업계 많은 사람들은 플랫폼들이 실제로 파트너십을 원하는지, 아니면 더 깊은 구조적 우려사항들을 해결하는 방식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여전히 의문시되고 있다.
한 언론 업계 임원은 익명을 조건으로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AI를_ 차단했고 모든 사람이 차단했는데, 이제 뭐가 달라졌나? 모든 AI 회사들이 문을 두드리며 '이봐, 거래하고 싶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들이 개별적인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소문은 있다"고 말했다.
Transitional Moment in Media-AI Relations
These developments unfold during a transitional mo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shers and tech platforms around AI. On one hand, publishers are seeing signs of progress—some platforms are finally showing up to the negotiating table, and there's growing optimism that regulators might step in to enforce stronger protections. On the other hand, doubts remain about whether platforms actually want to partner or are capable of doing so in ways that address deeper structural concerns.
As one publishing executive said anonymously, "We all hit the button, there was a big ceremony. We blocked and everybody blocked and it's like, now what? It's not like all those AI companies are knocking on the door saying hey, do you wanna do a deal? But then there are rumors that maybe they are having isolated conversations."
새로운 수익 모델의 필요성
가트너의 덴만 그린은 "전통적인 광고 수익이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출판사들은 개인화된 구독 모델, 직접적인 고객 참여, 심지어 데이터 수익화와 같은 혁신적인 수익원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녀는 "이런 맥락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이 핵심"이라며 "AI와 데이터 인사이트를 활용함으로써 출판사들은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더 효율적이고 고객 중심적인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eed for New Revenue Models
"With traditional ad revenue under pressure, publishers are turning to innovative revenue streams such as personalized subscription models, direct customer engagement and even data monetization," said Gartner's Denman Greene. "In this context, strategic partnerships are key. By leveraging AI and data insights, publishers can develop more efficient, customer-centric models that drive sustained revenue."
한국 미디어 업계에 주는 심층적 시사점
1. 협상력 확보와 전략적 접근의 중요성
한국의 주요 언론사들도 단순히 AI 봇을 차단하는 소극적 대응을 넘어 적극적인 협상을 통해 콘텐츠의 진정한 가치를 인정받는 전략이 필요하다. 뉴욕타임스가 OpenAI를 고소하면서 동시에 아마존과는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처럼, 법적 대응과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동시에 추진하는 정교한 투트랙 접근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주요 일간지들과 포털 사이트들, 그리고 급성장하는 AI 스타트업들 간의 새로운 관계 정립이 시급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나 한국신문협회 차원에서 집단 협상력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2. 전문 인력 양성과 영입의 필요성
AI 시대 미디어 기업에는 기술과 미디어 양쪽을 모두 깊이 이해하는 전문가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주요 언론사들도 네이버, 카카오, 삼성, LG 등 국내 주요 IT 기업이나 글로벌 빅테크 기업 출신 인재들을 적극 영입하여 협상력을 강화하고 기술적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기존 기자들과 편집진들에 대한 AI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고, 새로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채용해야 한다.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등의 언론학과와 KAIST, 포스텍 등의 AI 관련 학과 간 협력 프로그램도 고려해볼 수 있다.
3. 다각화된 수익 구조 구축
전통적인 광고 수익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 라이선스는 중요한 대안 수익원이 될 수 있다. 한국의 언론사들도 구독 모델 강화와 함께 AI 파트너십을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특히 K-콘텐츠의 글로벌 인기를 바탕으로 한국 언론사들의 문화,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는 해외 AI 기업들에게도 상당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류와 연결된 콘텐츠 라이선스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4. 업계 차원의 공동 대응 체계 구축
개별 기업보다는 업계 전체 차원에서 AI 기업들과의 협상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국신문협회,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한국잡지협회 등이 연합하여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저작권 보호와 공정한 보상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련 정부 부처와의 협력도 중요하다. EU의 디지털서비스법(DSA)이나 디지털시장법(DMA)과 같은 규제 프레임워크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5. 기술적 대응 능력 강화
한국의 언론사들도 자체적인 AI 기술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단순히 외부 AI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자사 콘텐츠에 최적화된 AI 도구들을 개발하고, 독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카카오브레인의 KoGPT, 그리고 최근 등장한 국산 AI 모델들과의 협력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국내 AI 생태계와 미디어 생태계의 상생 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6. 콘텐츠 품질과 신뢰성 강화
AI 시대에는 더욱 고품질의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의 가치가 높아진다. 한국 언론사들은 팩트체킹 시스템 강화, 전문성 있는 심층 보도, 독창적인 분석과 해석 능력을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특히 AI가 생성한 정보와 차별화되는 인간 기자의 고유한 가치 - 현장성, 인간적 통찰, 윤리적 판단 등을 더욱 부각시켜야 한다.
7. 독자와의 직접적 관계 강화
플랫폼 의존도를 줄이고 독자들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뉴스레터, 팟캐스트, 라이브 스트리밍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독자들과 직접 소통하고, 충성도 높은 구독자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8. 국제적 연대와 협력
한국 언론사들도 글로벌 차원에서 유사한 이슈를 겪고 있는 다른 국가의 언론사들과 연대하고 경험을 공유해야 한다. 뉴욕타임스, 가디언, 르몽드 등 선진 언론사들의 AI 대응 전략을 벤치마킹하고, 국제적인 업계 이니셔티브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결론: 변화의 기로에 선 한국 미디어
AI 혁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뉴욕타임스의 사례는 미디어 기업들이 수동적 대응을 넘어 적극적인 전략으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단순히 기술 변화에 저항하거나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핵심 자산인 고품질 콘텐츠의 가치를 정당하게 인정받으면서도 새로운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win-win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미디어 업계도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 발맞춰 전략적 준비를 서둘러야 할 중요한 시점에 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역량과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뉴욕타임스가 보여준 것처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접근법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다.
결국 AI 시대의 승자는 테크 자체가 아니라 기술을 통해 더 나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이 될 것이다. 한국의 미디어 기업들이 이러한 도전을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Implications for Korean Media Industry
The Times' strategic transformation offers several critical insights for the Korean media industry:
1. Securing Negotiating Power and Strategic Approach
Korean major news organizations need to move beyond passive responses like simply blocking AI bots to actively negotiate and gain recognition for their content's true value. Like The Times pursuing legal action against OpenAI while partnering with Amazon, a sophisticated dual-track approach combining legal responses with business partnerships could prove effective.
Particularly urgent is establishing new relationships between major dailies like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with portal sites like Naver and Kakao, as well as rapidly growing AI startups. Securing collective bargaining power through organizations like the Korea Press Foundation or Korea Newspaper Association should be considered.
2. Need for Specialized Talent Development and Recruitment
AI-era media companies require experts who deeply understand both technology and media. Korean major news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recruit talent from domestic IT giants like Naver, Kakao, Samsung, and LG, or global big tech companies, to strengthen negotiating power and technological understanding.
Enhancing AI literacy education for existing journalists and editors while actively recruiting new digital native talent is also crucial. Collaboration programs between journalism schools at universities like Yonsei, Korea, and Sogang with AI-related departments at KAIST and POSTECH could be considered.
3. Building Diversified Revenue Structures
With traditional advertising revenue continuously declining, content licensing can become an important alternative revenue source. Korean media companies should actively explore new revenue generation through AI partnerships alongside strengthening subscription models.
Particularly, given the global popularity of K-content, Korean media companies' culture, entertainment, and lifestyle content could hold significant value for overseas AI companies. Developing content licensing strategies connected to the Korean Wave is necessary.
4. Industry-wide Collective Response System
Rather than individual companies, the industry should collectively seek ways to enhance negotiating power with AI companies. The Korea Newspaper Association, Korea Online Newspaper Association, and Korea Magazine Association should unite to build a common response system and request policy support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fair compensation frameworks.
Cooperation with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like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Fair Trade Commission is also important.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regulatory frameworks like the EU's Digital Services Act (DSA) or Digital Markets Act (DMA) is necessary.
5. Strengthening Technological Response Capabilities
Korean media companies should also strengthen their own AI technology capabilities. Beyond simply using external AI services, they need the ability to develop AI tools optimized for their content and provide differentiated experiences to readers.
Actively exploring cooperation with Naver's HyperCLOVA X, KakaoBrain's KoGPT, and recently emerged domestic AI models is important. Building a win-win development model between domestic AI and media ecosystems is crucial.
6. Enhancing Content Quality and Reliability
In the AI era, the value of high-quality, reliable content increases further. Korean media companies should develop fact-checking systems, specialized in-depth reporting, and origin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apabilities.
Particularly emphasizing the unique value of human journalists that differentiates from AI-generated information—on-site presence, human insight, ethical judgment—is necessary.
7. Strengthening Direct Reader Relationships
Reducing platform dependence and strengthening direct relationships with readers is important. Building a loyal subscriber base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via various channels like newsletters, podcasts, and live streaming is essential.
8.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Korean media companies should also collaborate and share experiences with media companies in other countries facing similar issues globally. Benchmarking AI response strategies from leading media companies like The New York Times, The Guardian, and Le Monde,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industry initiatives is necessary.
Conclusion: Korean Media at a Crossroads
As the AI revolution accelerates, The Times' case demonstrates that media companies can create new opportunities through proactive strategies beyond passive responses. Rather than simply resisting or complying with technological change, they're pursuing win-win strategies that gain fair recognition for the value of their core asset—high-quality content—while benefiting from new technology.
The Korean media industry also stands at a crucial juncture requiring strategic preparation to keep pace with these waves of change. Rather than resting on past success formulas, developing new capabilities and strategie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is necessary. As The Times has shown, proactive and creative approaches that can turn crisis into opportunity are more needed than ever.
Ultimately, winners in the AI era will not be technology itself, but companies that can create better value through technology. Whether Korean media companies can successfully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secure new growth engines remains to be seen.
The transformation of The New York Times offers a roadmap for media survival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one that balances principled resistance with pragmatic partnership, legal action with business opportunity, and traditional journalism values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media companies worldwide, including those in Korea, the message is clear: the future belongs to those who can navigate this complex landscape with both courage and strategic acu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