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AI era, YouTube is undergoing a major reorganization

YouTube Undergoes Major Reorganization for AI Era, Consolidates All Subscription Services and Introduces Voluntary Exit Program

Christian Oestlien Named VP of Subscriptions Products, Overseeing 125M+ Subscriber Business

CEO Neal Mohan Calls AI "The Next Frontier" as Product Teams Restructure Into Three Divisions

YouTube is undertaking a sweeping organizational overhaul to prepare for the AI era, consolidating its subscription services under unified leadership while simultaneously introducing workforce restructuring measures. CEO Neal Mohan announced in a memo to all staff on October 29 that the product team will be reorganized into three major divisions, and a voluntary exit program will be offered to U.S. employees.

Christian Oestlien

Oestlien to Lead Newly Created Subscriptions Products Organization

The centerpiece of this reorganization is veteran executive Christian Oestlien taking the helm of the newly created Subscriptions Products division. Previously VP of product management, Oestlien has been promoted to VP of YouTube's Subscriptions Products, reporting directly to CEO Neal Mohan. He will now oversee all of YouTube's subscription offerings, including YouTube TV, YouTube Music, YouTube Premium, as well as podcasts, commerce, and YouTube Primetime Channels.

In his previous role, Oestlien had overseen product management for YouTube TV, connected TV, sports, and infrastructure. His new organization consolidates responsibilities previously held by Adam Smith, who left YouTube last year to join Disney. Smith had been the platform's VP of product management in charge of Music and Premium.

In a statement provided to Variety, Oestlien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is consolidation: "We have an incredible opportunity across music, podcasts, media, sports and TV. Bringing these successful businesses together, alongside the ads-supported products that super-serve our users, will enable us to move even faster, learn from each other's successes, and scale resources." He added, "It's a privilege to lead this team, and I believe that together we can create a unified vision that delivers even more value to our users and partners."

The scale of YouTube's subscriptions business is substantial. The platform currently boasts more than 125 million YouTube Music and Premium customers, while YouTube TV has grown to an estimated 10 million subscribers, making it the largest internet pay-TV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All of these services will now operate under Oestlien's unified command.

Oestlien joined YouTube in 2015 from Twitter, where he had been VP of product management. Prior to Twitter, he spent seven years at Google in various product management roles, and earlier in his career worked in product management at Yahoo.

Product Organization Restructured Into Three Pillars

The reorganization clearly divides YouTube's product organization into three distinct pillars, each with a specific focus area.

The Subscriptions Products division, as mentioned, will be led by Oestlien and encompasses YouTube TV, Music, Premium, podcasts, commerce, and Primetime Channels—all services directly tied to revenue generation through subscriptions.

The Viewer Products division will be led by Johanna Voolich as VP, also reporting directly to Mohan. Formerly YouTube's chief product officer (CPO), Voolich will now focus specifically on the viewer experience through this newly created organization. The Viewer Products team will encompass the YouTube main app, living room experience, search and discovery, YouTube Kids, learning content, infrastructure, and trust and safety.

The Creator & Community Products division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hiring leadership. This organization will focus on supporting creators of all sizes, driving creation through generative AI tools, developing YouTube Shorts and YouTube Live, and building community across the platform. Currently, YouTube has separate leads for Creator Products (Amjad Hanif) and Emerging Experiences & Community Products (Toni Reid). These teams will be merged into one organization, and the new leader for the combined team will report directly to Mohan.

"AI is The Next Frontier"—Voluntary Exit Program Introduced for U.S. Employees

In his internal memo, CEO Mohan directly linked this reorganization to AI. According to the memo first reported by Alex Heath's Sources AI newsletter, Mohan stated: "Looking to the future, the next frontier for YouTube is AI, which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every part of the platform. We need to set ourselves up to make the most of this opportunity."

As part of this AI-focused transformation, YouTube is introducing a "voluntary exit program" with severance for U.S.-based employees. A YouTube spokesperson confirmed that the company is offering the voluntary exit program with severance packages for U.S. employees who may want to leave the company.

However, the spokesperson made clear that currently, there are no role eliminations or layoffs happening as part of these changes. In other words, there is no forced reduction; rather, the company is providing choice to employees who may wish to depart.

Big Tech's AI-Driven Workforce Adjustments

YouTube's move aligns with a broader trend across Big Tech companies proactively restructuring their workforce in anticipation of massive changes introduced by AI.

Most notably, Amazon announced on Tuesday that it will cut about 14,000 corporate jobs, representing approximately 4% of its total corporate workforce, citing rapid developments in AI as a key factor. Amazon indicated that additional cuts are expected in 2026.

Tech giants are recognizing that AI significantly improves work efficiency while necessitating reorganization of existing workforce structures. As AI tools assist or replace human work across various domains—including product development, content management, and customer service—companies are reconsidering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workforce allocation.

YouTube has been aggressively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creator tools and expanding AI applications across the platform, including recommendation algorithms, content moderation, and search functionality. Mohan's characterization of AI as "the next frontier" signals that these changes represent not merely feature additions but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how the platform operates.

Ad Revenue Shows Strong Performance, Beating Wall Street Expectations

The announcements regarding reorganization and the voluntary exit program came prior to parent company Alphabet reporting its Q3 earnings. The results showed robust performance that allayed market concerns.

YouTube's Q3 ad revenue reached $10.26 billion, representing a year-over-year increase of 15%. This figure exceeded Wall Street analyst forecasts. When subscription revenue is included, YouTube's overall revenue picture becomes even more impressiv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YouTube is holding its own against TikTok and Instagram Reels in the short-form content battle, while simultaneously maintaining strength in long-form content and subscription services. YouTube TV has emerged as the biggest beneficiary as traditional cable TV subscribers continue to cut the cord, while YouTube Premium and Music continue steady growth in competition with Spotify, Apple Music, and other services.

Implications: Vertical Integration and AI Transformation of Platform Business

YouTube's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offers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is the vertical integration of subscription services. With YouTube TV, Music, and Premium consolidated under Oestlien's leadership, bundling strategies and cross-promotion become more feasible. User experience consistency should also improve.

Second is the clear separation of viewer and creator experiences. By operating Viewer Products and Creator Products as separate organizations, YouTube can focus more intensively on each constituency's specific needs. The explicit inclusion of generative AI tools in the Creator organization signals that AI will become a core tool for content creation.

Third is workforce restructuring centered on AI. While the voluntary exit program is not forced termination, it demonstrates the organization is transitioning to talent profiles and working methods suited to the AI era. YouTube appears to be pursuing a strategy of retaining and acquiring AI-capable talent while offering choice to personnel accustomed to traditional working methods.

Finally, this reflects not just YouTube's transformation but a broader Big Tech restructuring trend. Major tech companies including Amazon, Meta, and Microsoft are reorganizing their structures and workforces for the AI age, and YouTube has now joined this movement.

Industry observers are closely watching how YouTube will adapt to the AI era through this reorganization and further expand its 125 million-plus subscriber business.

The changes come at a pivotal moment for the platform, as it seeks to maintain its dominance in online video while navigating increasing competition, evolving creator economics, and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cross every aspect of its operations.


유튜브, AI 시대 대비 역대급 조직개편 단행…전 구독 서비스 통합하고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 도입

크리스천 외스틀리엔, 신설 구독 제품 총괄 VP 임명…1억 2,500만 구독자 비즈니스 총괄

닐 모한 CEO "AI는 차세대 전선"…제품팀 3대 조직으로 재편

유튜브(YouTube)가 AI 시대를 대비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구독 서비스 전반을 통합하는 동시에 인력 구조조정에도 나섰다. 닐 모한(Neal Mohan) CEO는 10월 29일 전 직원 대상 메모를 통해 제품팀을 3개 주요 조직으로 재편하고, 미국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외스틀리엔, 유튜브 구독 제품 총괄 신설 조직 이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베테랑 임원 크리스천 외스틀리엔(Christian Oestlien)이 새롭게 신설된 구독 제품 조직을 총괄하게 된 것이다. 기존 제품 관리 VP였던 외스틀리엔은 이제 유튜브 TV, 유튜브 뮤직, 유튜브 프리미엄을 비롯해 팟캐스트, 커머스, 유튜브 프라임타임 채널 등 유튜브의 모든 구독 제품을 아우르는 구독 제품 VP로 승진했다. 그는 모한 CEO에게 직접 보고하게 된다.

이전 외스틀리엔은 유튜브 TV, 커넥티드 TV, 스포츠, 인프라 등의 제품 관리를 담당했다. 그가 맡게 된 새로운 조직은 지난해 유튜브를 떠나 디즈니로 이직한 아담 스미스(Adam Smith)가 담당했던 뮤직 및 프리미엄 부문까지 통합한 것이다. 스미스는 이전에 유튜브의 뮤직 및 프리미엄 담당 제품 관리 VP였다.

외스틀리엔은 Variety에 제공한 성명에서 "음악, 팟캐스트, 미디어, 스포츠, TV 전반에 걸쳐 놀라운 기회가 있다"며 조직 통합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성공적인 비즈니스들을 광고 지원 제품과 함께 통합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움직이고, 서로의 성공에서 배우며,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팀을 이끄는 것은 특권이며, 우리가 함께 사용자와 파트너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는 통합된 비전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유튜브의 구독 사업 규모는 상당하다. 현재 1억 2,500만 명 이상의 유튜브 뮤직 및 프리미엄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튜브 TV는 1,00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확보해 미국 최대 인터넷 유료 TV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이 모든 서비스가 이제 외스틀리엔의 단일 지휘 아래 놓이게 된다.

외스틀리엔은 2015년 트위터에서 유튜브에 합류했으며, 당시 그는 트위터의 제품 관리 VP였다. 그 이전에는 구글에서 7년간 다양한 제품 관리 역할을 수행했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야후에서도 제품 관리 업무를 담당한 경력이 있다.

닐 모한 유튜브 CEO

제품 조직 3대 축으로 재편…시청자·크리에이터 경험 분리

이번 개편으로 유튜브의 제품 조직은 3개의 축으로 재구성된다.

구독 제품(Subscriptions Products) 조직은 앞서 언급한 대로 외스틀리엔이 이끌며, 유튜브 TV, 뮤직, 프리미엄, 팟캐스트, 커머스, 프라임타임 채널 등 수익화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모든 구독 서비스를 담당한다.

시청자 제품(Viewer Products) 조직은 요한나 부를리히(Johanna Voolich)가 VP로 이끌게 된다. 기존 유튜브의 최고제품책임자(CPO)였던 부를리히는 새롭게 신설된 이 조직을 통해 시청자 경험에 집중하게 된다. 그녀 역시 모한 CEO에게 직접 보고한다. 시청자 제품팀은 유튜브 메인 앱, 거실(리빙룸) 환경, 검색 및 발견 기능, 유튜브 키즈, 학습 콘텐츠, 인프라, 그리고 신뢰 및 안전(trust and safety) 등을 아우른다.

크리에이터 및 커뮤니티 제품(Creator & Community Products) 조직은 현재 리더십을 채용하는 과정에 있다. 이 조직은 모든 규모의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고, 생성형 AI 도구를 통한 창작을 촉진하며, 유튜브 쇼츠 및 유튜브 라이브를 발전시키고, 플랫폼 전반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현재 유튜브는 크리에이터 제품 담당 암자드 하니프(Amjad Hanif)와 신흥 경험 및 커뮤니티 제품 담당 토니 리드(Toni Reid)를 별도로 두고 있는데, 이들 팀이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될 예정이다. 새로운 통합 조직의 리더 역시 모한 CEO에게 직접 보고하게 된다.

"AI는 차세대 전선"…미국 직원 대상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 도입

모한 CEO는 내부 메모에서 이번 조직 개편의 배경을 AI와 직접 연결지었다. 알렉스 히스(Alex Heath)의 Sources AI 뉴스레터가 처음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모한은 "유튜브의 미래를 바라보면, 차세대 전선은 AI이며, 이는 플랫폼의 모든 부분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스스로를 준비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AI 중심 전환의 일환으로 유튜브는 미국 기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퇴직금을 포함한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voluntary exit program)"을 도입했다. 유튜브 대변인은 회사를 떠나고자 하는 미국 직원들에게 퇴직금과 함께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확인했다.

다만 대변인은 현재 이번 변화의 일환으로 직책 폐지나 정리해고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명확히 밝혔다. 즉, 강제적인 인력 감축은 없으며, 원하는 직원들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빅테크의 AI 대응 인력 조정 추세

유튜브의 이번 움직임은 AI로 인한 대대적 변화를 예상하고 인력 구조를 선제적으로 조정하는 빅테크 업계의 최근 추세와 맥을 같이한다.특히 아마존(Amazon)은 최근 AI의 급속한 발전을 이유로 약 1만 4,000개의 기업 직책을 삭감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체 기업 인력의 약 4%에 해당하는 규모다. 아마존은 2026년에도 추가적인 인력 감축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빅테크 기업들은 AI가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이면서 기존 인력 구조를 재편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특히 제품 개발, 콘텐츠 관리,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도구들이 인간의 업무를 보조하거나 대체하면서, 조직 구조와 인력 배치에 대한 재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튜브의 경우 생성형 AI를 크리에이터 도구에 적극 통합하고 있으며, 추천 알고리즘, 콘텐츠 모더레이션, 검색 기능 등 플랫폼 전반에 걸쳐 AI를 확대 적용하고 있다. 모한이 AI를 "차세대 전선"으로 규정한 것은 이러한 변화가 단순한 기능 추가가 아니라 플랫폼의 근본적인 운영 방식을 바꿀 것임을 시사한다.

광고 수익은 호조세…월가 예상 상회

이번 조직 개편 및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 발표는 모회사 알파벳(Alphabet)의 3분기 실적 발표에 앞서 이루어졌다. 실적은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호조를 보였다.

유튜브의 3분기 광고 수익은 102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웃도는 수치다. 구독 수익까지 합치면 유튜브의 전체 수익은 더욱 인상적이다.

이러한 실적은 유튜브가 숏폼 콘텐츠 경쟁에서 틱톡과 인스타그램 릴스에 맞서 선전하고 있으며, 동시에 롱폼 콘텐츠와 구독 서비스에서도 강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유튜브 TV는 전통적인 케이블 TV 가입자들이 이탈하는 가운데 가장 큰 수혜자로 떠올랐으며, 유튜브 프리미엄 및 뮤직 역시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등과의 경쟁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시사점: 플랫폼 비즈니스의 수직 통합과 AI 전환

이번 유튜브의 조직 개편은 여러 시사점을 던진다.

첫째, 구독 서비스의 수직 통합이다. 외스틀리엔 체제 하에 유튜브 TV, 뮤직, 프리미엄이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되면서, 번들 전략이나 크로스 프로모션이 더욱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둘째, 시청자와 크리에이터 경험의 명확한 분리다. 시청자 제품과 크리에이터 제품을 별도 조직으로 운영함으로써, 각각의 니즈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크리에이터 조직에 생성형 AI 도구가 명시적으로 포함된 것은 AI가 콘텐츠 창작의 핵심 도구로 자리잡을 것임을 예고한다.

셋째, AI를 중심으로 한 인력 구조 재편이다. 자발적 퇴사 프로그램은 강제 해고가 아니지만, 조직이 AI 시대에 맞는 인재상과 업무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튜브는 AI 관련 역량을 가진 인재를 유지·확보하는 동시에, 기존 업무 방식에 익숙한 인력에게는 선택의 기회를 주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는 단순히 유튜브만의 변화가 아니라 빅테크 전반의 구조조정 흐름을 반영한다.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이 AI 시대를 맞아 조직과 인력을 재편하고 있으며, 유튜브 역시 이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유튜브가 이번 개편을 통해 AI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고, 1억 2,500만 구독자 비즈니스를 더욱 확장해 나갈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