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nd Entertainment Tech: Driving the Next Wave of K culture
AI and EnterTech: The New Growth Engine of the Korean Wave
AI Technology Spreads Across All K-Content Sectors… Leading Innovation in Creation, Distribution, and Fandom
Jung Han, CEO of K-EnterTech Hub: "AI Determines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Hallyu"
K-콘텐츠 전 분야에 AI 기술 확산… 창작·유통·팬덤 혁신 주도
K엔터테크허브 "AI가 한류의 글로벌 경쟁력 좌우"
테크놀로지와 컬처의 만남, 한류 3.0 시대 연다
Technology Meets Culture: Opening the Hallyu 3.0 Era
The Korean Wave has begun a new evolution through its convergence with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deeply penetrated all sectors of Korea's content industry—from K-pop and dramas to webtoons—fundamentally transforming creative processes, fan experiences, and business models.
At the recent global AI conference 'aicon,' Jung Han, CEO of K-EnterTech Hub, emphasized that "AI is no longer optional but essential," calling it "a new growth engine connecting Hallyu with fans, industry, and platforms." YTN Global also conducted an in-depth session at the same event on 'How AI Technologies Are Transforming Korea's Media & Entertainment Landscape,' drawing significant industry attention.

1. Platform Revolution: AI Creates Global Accessibility
13-Language Subtitles in 5 Hours… Kocowa's Speed Race
Kocowa, a North American streaming platform specializing in Korean content, provides multilingual subtitles within five hours of the original Korean broadcast using AI-powered automatic translation. This represents a revolutionary speed compared to traditional human-based translation, which could take several days.
Kocowa's AI-based services don't stop there. The platform analyzes users' viewing history and preferences to recommend personalized content and provides an ad-free viewing experience within 24 hours, enhancing satisfaction among global fans.
Netflix and Wavve Join the AI Competition
Netflix has been driving global hits of Korean dramas through its AI recommendation algorithms, while domestic OTT platforms Wavve and Tving actively utilize AI for emotion analysis, automatic color correction, and marketing optimization.
As one industry insider noted, "AI technology is the infrastructure that delivers content faster, more accurately, and to more people." Platform competitiveness has become synonymous with AI competitiveness.
2. Reading Hallyu Through Data: K-Wave BIGDATA's Innovation
The 'K-Wave BIGDATA' platform, operated by Kore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collects and analyzes Hallyu-related social media and press data in real-time from approximately 860 channels worldwide.
This platform visualizes trends by genre—K-pop, dramas, entertainment, and webtoons—using AI techniques such as sentiment analysis, topic analysis, and ontology evaluation, providing strategic foundations for corporations, academia, and policy authorities.
As CEO Jung Han states, "Without data, there's no global strategy." AI-based big data analysis is making decision-making in the Hallyu industry more scientific.

3. Creative Innovation: AI Strategies of Webtoon and Web Novel Platforms
NAVER WEBTOON: 20% Increase in Payment Rate Through AI
NAVER WEBTOON saw a 20% increase in paid conversion rates after implementing its AI recommendation system. Additionally, its flagship IP 'Lookism' was produced as a Netflix original animation, recording 9.1 billion views worldwide and becoming a model case for IP expansion.
NAVER provides various AI tools to creators and users, including character chat chatbots, Toonfilter (which converts photos into webtoon styles), and automatic harmful content filtering, maintaining over 50% market share in the global webtoon market.
Kakao Webtoon's 'Helix' Platform
Kakao Entertainment support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automatic short-form generation, and scenario evaluation through its proprietary AI brand 'Helix.' The company applies this technology to North American platform Tapas and Japan's Piccoma, providing localized AI recommendation services and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4. Evolution of the Fandom Economy: Weverse and B-Stage
HYBE's Weverse: Breaking 400 Million Views in 13 Languages
HYBE's global fandom platform Weverse achieved 5,787 live broadcasts and 426 million views in 2024. Over 90% of total traffic originates from overseas, with support for 13-15 languages.
Weverse provides personalized content and products through AI automatic subtitles, TTS (text-to-speech), and fan behavior analysis, while establishing multi-layered revenue models including paid memberships, commerce, and direct messaging.
B-Stage: Customized Fandom Spaces by IP
B-Stage is a white-label platform that allows artists and brands to create independent fandom spaces. It supports up to 10-tier memberships, AI chatbots, event automation, and fan behavior analysis, enabling IP owners to directly manage data and communities.
5. The Dawn of the Virtual Artist Era
SM's 'nævis,' HYBE's 'SYNDI8,' and PLAVE
SM Entertainment's virtual artist nævis implements appearance, voice, and personality through generative AI, performing as a solo artist independent from the aespa universe.
HYBE's SYNDI8 is a 2D AI girl group that combines K-pop expertise with AI technology, targeting the global MZ generation fanbase.
The most successful case is the virtual idol group PLAVE. Created with real-time 3D motion capture and Unreal Engine 5, they achieve chart performance comparable to actual idol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expanding even into metaverse activities.
Interestingly, PLAVE members won a damages lawsuit against a malicious commenter. The court recognized that virtual characters can be subjects of legal protection, opening a new chapter in discussions about the legal status of virtual artists.
Conclusion: EnterTech Designs the Future of Hallyu
The convergence of AI and entertainment technology (EnterTech) is redefining every domain of the Hallyu industry. The entire value chain—from content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to fan experience—is transitioning to an AI foundation, and Hallyu is evolving from "cultural export" to a "technology-based global platform industry."
CEO Jung Han emphasized that "AI is the core infrastructure that delivers Hallyu content to the world in faster, more accurate, and more personalized ways," adding that "technology is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future success of the Hallyu industry depends on how quickly and creatively AI technology can be integrated. EnterTech is no longer a choice but a condition for survival.
AI Utilization by Major Platforms
Platform | AI Technology Applications |
---|---|
NAVER WEBTOON | AI recommendations (20% payment increase), character chatbots, Toonfilter, harmful content filtering |
Kakao Webtoon | Helix AI (recommendations, short-form generation, scenario evaluation), global localization |
Kocowa | Multilingual subtitles within 5 hour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24-hour ad-free viewing |
Weverse | 13-language subtitles, TTS, fan behavior analysis, personalized commerce |
K-Wave BIGDATA | Real-time analysis of 860 channels, sentiment/topic/ontology evaluation |
AI와 엔터테크, 한류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
한류가 기술과 만나 새로운 진화를 시작했다. K-팝, 드라마, 웹툰에 이르기까지 한국 콘텐츠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이 깊숙이 스며들며 창작 방식과 팬 경험,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최근 열린 글로벌 AI 컨퍼런스 'AICON'에서 한정훈 K엔터테크허브 대표는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한류와 팬, 산업과 플랫폼을 연결하는 새로운 성장 엔진"이라고 강조했다. YTN Global 역시 같은 자리에서 'AI가 변화시키는 한국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지형'을 주제로 심층 세션을 진행, 업계의 큰 관심을 모았다.

1. 플랫폼 혁명: AI가 만드는 글로벌 접근성
5시간 만에 13개국 언어 자막… 코코와의 속도전
북미 한류 콘텐츠 전문 스트리밍 플랫폼 코코와(Kocowa)는 AI 자동 번역 기술로 한국 방송 후 5시간 이내에 다국어 자막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 인력 기반 번역이 수일씩 걸리던 것과 비교해 혁신적인 속도다. 코코와의 AI 기반 서비스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사용자의 시청 이력과 선호도를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고, 24시간 내 광고 없는 시청 환경을 제공해 글로벌 팬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넷플릭스·웨이브도 AI 경쟁 가세
넷플릭스는 AI 추천 알고리즘으로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 히트를 견인하고 있으며, 국내 OTT 웨이브(Wavve)와 티빙(Tving)도 감정 분석, 자동 색보정, 마케팅 최적화에 AI를 적극 활용 중이다. "AI 기술은 콘텐츠를 더 빨리, 더 정확하게, 더 많은 사람에게 전달하는 인프라"라는 업계 관계자의 말처럼, 플랫폼 경쟁력은 곧 AI 경쟁력이 되고 있다.
2. 데이터로 읽는 한류: K-Wave BIGDATA의 혁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운영하는 'K-Wave BIGDATA' 플랫폼은 전 세계 860여 채널에서 한류 관련 소셜·언론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한다.
이 플랫폼은 K-팝, 드라마, 예능, 웹툰 등 장르별 트렌드를 감정 분석, 주제 분석, 온톨로지 평가 등 AI 기법으로 시각화하며, 기업·학계·정책 당국에 전략 수립의 근거를 제공한다. "데이터 없이는 글로벌 전략도 없다"는 말처럼,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은 한류 산업의 의사결정을 과학화하고 있다.
3. 창작 혁신: 웹툰·웹소설 플랫폼의 AI 전략
네이버웹툰, AI로 결제율 20% 상승
네이버웹툰은 AI 추천 시스템 도입 후 유료 결제율이 20% 증가했다. 또한 대표 IP '외모지상주의'를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 전 세계 9.1억 회 시청을 기록하며 IP 확장의 모범 사례가 됐다.
네이버는 캐릭터 대화 챗봇, 툰필터(사진을 웹툰 스타일로 변환), 유해 콘텐츠 자동 필터링 등 다양한 AI 도구를 창작자와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글로벌 웹툰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카카오웹툰의 '헬릭스(Helix)' 플랫폼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자체 AI 브랜드 '헬릭스(Helix)'를 통해 사용자 맞춤 추천, 숏폼 자동 생성, 시나리오 평가 등을 지원한다. 북미 플랫폼 Tapas와 일본 피코마(Piccoma)에도 이 기술을 적용, 현지화된 AI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플랫폼별 AI 활용 현황
플랫폼 | AI 기술 활용 사례 |
---|---|
네이버웹툰 | AI 추천(결제율 20%↑), 캐릭터 챗봇, 툰필터, 유해콘텐츠 필터링 |
카카오웹툰 | 헬릭스 AI(추천·숏폼 생성·시나리오 평가), 글로벌 현지화 |
코코와(Kocowa) | 5시간 내 다국어 자막, 맞춤형 추천, 24시간 광고 없는 시청 |
위버스(Weverse) | 13개 언어 자막, TTS, 팬 행동 분석, 맞춤형 커머스 |
K-Wave BIGDATA | 860개 채널 실시간 분석, 감정·주제·온톨로지 평가 |

4. 팬덤 경제의 진화: 위버스와 B-Stage
HYBE 위버스, 13개 언어로 4억 뷰 돌파
HYBE의 글로벌 팬덤 플랫폼 위버스(Weverse)는 2024년 5,787건의 라이브 방송과 4억 2,600만 회의 시청 기록을 달성했다. 전체 트래픽의 9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며, 13~15개 언어를 지원한다.
위버스는 AI 자동 자막, TTS(텍스트 음성 변환), 팬 행동 분석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와 상품을 제공하며, 유료 멤버십·커머스·DM 등 다층적 수익 모델을 구축했다.

B-Stage, IP별 맞춤형 팬덤 공간 제공
B-Stage는 아티스트와 브랜드가 독립적인 팬덤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화이트라벨 플랫폼이다. 최대 10단계 멤버십, AI 챗봇, 이벤트 자동화, 팬 행동 분석 등을 통해 IP 소유자가 데이터와 커뮤니티를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 가상 아티스트 시대의 개막
SM '나이비스', HYBE 'SYNDI8', PLAVE
SM엔터테인먼트의 가상 아티스트 나이비스(nævis)는 생성형 AI로 외모·목소리·성격을 구현하며, 에스파(aespa) 세계관에서 독립한 솔로 아티스트로 활동 중이다.
HYBE의 SYNDI8는 2D AI 걸그룹으로, K-팝 전문성과 AI 기술을 결합해 MZ세대 글로벌 팬층을 공략하고 있다.
가장 성공한 사례는 가상 아이돌 그룹 PLAVE다. 실시간 3D 모션캡처와 언리얼 엔진 5 기반으로 제작된 이들은 국내외 차트에서 실제 아이돌 못지않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메타버스 활동까지 확장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PLAVE 멤버들이 악성 댓글 작성자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했다는 사실이다. 법원은 가상 인물도 법적 보호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인정, 가상 아티스트의 법적 지위 논의에 새 장을 열었다.
결론: 엔터테인먼트 테크, 한류와 K컬처의 미래를 재설계하다
AI와 엔터테인먼트 기술(엔터테크)의 융합은 한류 산업의 모든 영역을 재정의하고 있다. 콘텐츠 기획·제작·유통·소비·팬 경험에 이르는 전 가치사슬이 AI 기반으로 전환되며, 한류는 '문화 수출'에서 '기술 기반 글로벌 플랫폼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정훈 K엔터테크허브 대표(Jung Han)는 발표에서 "AI는 한류 콘텐츠를 더 빠르고, 더 정확하고, 더 개인화된 방식으로 전 세계에 전달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기술이 곧 문화산업의 미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한류 산업의 성패는 얼마나 빠르게, 그리고 창의적으로 AI 기술을 통합하느냐에 달려 있다. 엔터테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