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이제 아시아와 함께 만든다"...고삼석 교수 싱가포르 AICON서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발표

Samseog Ko Unveils 'Next Korean Wave Initiative' at Singapore's AI CON 2025

Dongguk University Professor Ko Presents Vision for Korea-ASEAN Content Collaboration and AI Integration at World's Largest AI Consumer Show

고삼석 교수 지난 3일 싱가포르서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발표..."한류, 이제 아시아와 함께 만든다"

세계 최대 AI 축제 'AI CON 2025' 기조연설...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한-아세안 공동 창작 생태계 제시

"일방적 수출 넘어 창작적 동반자로"...동남아 업계,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미래 한류 청사진으로 평가

Professor Samseog Ko of Dongguk University presented his groundbreaking "Next Korean Wave Initiative" at AI CON 2025, the world's largest AI consumer festival held October 3-4 in Singapore.

The Distinguished Professor at Dongguk University's College of AI Convergence, former Commissioner of Korea's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member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I Strategy, outlined a comprehensive vision for transforming Korean Wave cont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ASEAN nations and AI integration.

He is leading expert in Korean media and content policy with 30 years of experience", "veteran policymaker and AI specialist.

AI CON 2025 held at BeyondX Living Lab, Singapore. Professor Samseog Ko, Distinguished Professor at Dongguk University’s College of AI Convergence, delivers a keynote presentation titled “Next Hallyu: A Vision for the Future.”

Drawing over 10,000 participants and more than 100 companies to Singapore's BeyondX Living Lab, the event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F1 weekend provided the international platform for Professor Ko's proposal.

His strategy for Korea-ASEAN content coevolution and AI technology convergence, developed from 30 years of experience in Korean media and content policy,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Singapore government officials and Southeast Asian content industry leaders as a new paradigm for Asian cultural industry collaboration.

AI CON 2025: Asia-Led AI Innovation Platform

Launched with an opening address by Singapore's Minister of State for Digit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Rahayu Mahzam, who outlined the nation's AI vision, AI CON 2025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raditional technology conferences. Designed as a consumer-focused festival combining education, innovation, lifestyle, and entertainment, it attracted broad participation from general citizens to global corporate executives.

The event comprised three core areas. The LIVE (Daily Life & Society) zone featured an AI Explorer Zone showcasing smart home, mobility, and health-wellness technologies, along with Tesla showcases and sustainability demonstrations. The WORK (Enterprise, Skills & Productivity) zone hosted workshops by major polytechnics and AI studios, while the VIP Business Track sponsored by IMI Asia featured discussions on future work and enterprise AI.

The PLAY (Creativity, Pop Culture & Entertainment) zone demonstrated the convergence of AI and culture. The AI Fun Zone featured esports, cosplay competitions, and live performances, while the GenTube-organized AI Film Festival screened content created with generative AI. The closing afterparty featured Tesla's Optimus robot as DJ, creating buzz. Throughout the venue, experiential programs including AI t-shirt creation, AI robot barista cafes, and AI chess challenges were available.

Ko's Keynote: "Creating and Enjoying Hallyu Together"

At 7:15 PM on October 3, Professor Ko delivered a keynote address titled "Korea-ASEAN Content and AI Coevolution Strategy in the Generative AI Era" at the GenTube Film Festival opening in BeyondX Building. This global platform showcased innovative video content combining AI technology and creativity from creators worldwide.

"I come from Seoul, South Korea, the nation of K-content," Professor Ko began, introducing his recently published book "Next Korean Wave: The Future of Hallyu Created by the Convergence of Entertainment and Technology." "This book's first key message is how to cooperate and develop together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Korea-ASEAN content coevolution. The second is how to combine content and AI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innovation strategy for the content industry."

He traced the 28-year journey of Hallyu, which began when Korean dramas aired on China's CCTV in 1997. K-content has swept major American entertainment awards, become the most-consumed non-English content on Netflix in the United States, and recently, Sony Pictures and Netflix's co-produced "K-Pop Demon Hunters" has achieved global success. However, Professor Ko pointed to challenges behind these achievements.

"Until now, K-content has grown through unilateral market entry and export-centered strategies. Issues such as one-way delivery, repetitive formats, and fandom fatigue are emerging, and ASEAN countries also want to develop their own content industries."

Based on discussions with local experts during visits to Southeast As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three years, Professor Ko presented his conclusion: "For K-content to develop sustainably, we must unite and cooperate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We must develop together and share the fruits of development."

Coevolution and Entertainment Tech: Two Core Strategies

Professor Ko's solution consists of two pillars.

The first is a coevolution strategy. "South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ingapore have become core K-content consumption regions based on rapid economic growth, young populations, and strong social media influence. Both sides must shift beyond content export-import to a win-win strategy across all areas including cultural exchange, joint investment and production, technology collaboration, and talent development and exchange."

This strategy involves building an integrated system of joint planning, joint production, joint investment, and joint distribution to enhance Asian content's global competitiveness. Thailand is presenting new models through its own content industry development and co-production with Korea, Singapore is strengthening its role as an Asian content hub, and Malaysia serves as a bridge connecting Asian countries based on it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 second pillar is EnterTech(Entertainment Tech)—the convergence of entertainment and technology. "The history of content development parallels the histor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technology evolved from silent films to talkies, black-and-white TV to color TV, analog to digital, the content industry also advanced dramatically. With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I, the content industry is undergoing revolutionary change once again."

Korea is already utilizing AI across all production fields including drama, pop music, film, and advertising. Netflix and YouTube provide AI-based personalized services, virtual idol groups like PLAVE have emerged, and VR concerts have become commonplace.

"EnterTech is not a temporary trend but represents a paradigm shift in content production, creation methods, and final consumption patterns. Changes from AI adoption will appear earliest and most significantly in the content industry."

Professor Ko concluded his speech by emphasizing the essential value of the content industry. "While it's true that the content industry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economy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content industry must go beyond simp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export and import relationships. We must aim to create deeper cultural empathy that transcends borders and ethnicities. I hope we can all become 'cultural companions' who enjoy and empathize together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 content."

The audience responded with warm applause. In the subsequent panel discussion, Professor Ko explored AI's impact on media and creativity with Jaze Phua (Dear.AI co-founder and AICON founder) and Daniel Yam (award-winning Singaporean director), among others.

Anil Nihalani MediaCorp CTO (left), Dr.Samseog Ko 

Mediacorp, Materializing Korea-Singapore Cooperation

On the morning of the first day, Ko visited Mediacorp, Singapore's largest public broadcaster and Southeast Asia's leading media group. Mediacorp operates terrestrial TV, radio, and digital platforms, leading AI-based content production through global news networks including CNA.

Mediacorp was represented by CIO Anil Nihalani, CNA Digital Chief Editor Loh Chee Kong, TV News International Chief Editor Craig Dale, presenter Julie Yoo, and AI Products & Solutions Lead Tim Xu. The meeting addressed strategies for joint entry into Southeast Asian and global media markets, AI-based digital content innovation, and responses to changes in the global media-content ecosystem.

Notably, Mediacorp's AI transformation (AX) and global expans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proceeding systematically. At CNA and other outlets, generative AI applications for multilingual news auto-translation, customized content production, and real-time newsroom automation were already in practical use.

Professor Ko presented possibilities for global expansion of K-content and Korean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localization partnerships with Singapore. Both sides showed interest in developing new digital revenue models including OTT, AI-based advertising, subscription-based content, and IP business, exploring cooperation combining Korea's content planning capabilities with Singapore's AI application technology and global networks.

Both parties agreed to promote Korea-Singapore AI, culture, and content exchange activation and joint innovation research. They decided to expand cooperation through joint research projects, content co-investment, IP fund formation, and AI-EnterTech cooperation model development.

Changi Airport

Singapore's Interest: The 'Next Korean Wave Initiative'

During AI CON 2025, Professor Ko's vision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locally. Officials from Singapore's Infocomm Media Development Authority (IMDA) and media-IT company representatives referred to it as the "Next Korean Wave Initiative," engaging in extensive questions and discussions.

Singapore's interest emerged from several contexts. First, interest in the Korean government's AI powerhouse strategy. Singapore ranks third globally in AI national competitiveness afte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particular strengths in AI application technology. Having targeted the 4.5 billion Asia-Pacific market beyond its 6 million population, Singapore identified potential in AI cooperation with Korea.

Second, it aligns with the Singapore government's content industry development policy. Singapore, a multiethnic and multilingual society, shows high interest in K-content while focusing on developing its own content industry. Professor Ko's proposed collaborative creation ecosystem model—growing together as partners rather than unilateral imports—resonated with Singapore's interests.

Professor Ko noted, "There was strong interest in exchanging and cooperating in content and AI fields with Korea, and we could clearly sense that Korea is perceived as a good partner." Local officials showed interest in concrete cooperation measures including Korea-Singapore content alliances and AI alliances.

Core Strategies for Asian Collaborative Content Ecosystem

Professor Ko's Asian collaborative content ecosystem strategy consists of four pillars. First, joint planning to develop content from inception that reflects each Asian country'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arket needs. Second, joint production to build production systems combining each country's strengths—Korea's production capabilities, Singapore's technology infrastructure, Thailand's creativity, and more.

Third, joint investment to create Asia-wide alliance-level funds rather than individual country investments, enhancing negotiating power with global platforms and achieving economies of scale. Fourth, joint distribution to develop Asian platforms alongside global platform entry. This involves enhancing Asian content's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joint production programs, technology and data sharing, and joint marketing.

Underlying these strategies is the "Asia Win-Win" philosophy. It aims to create an ecosystem growing together across all areas including cultural exchange, joint production, technology collaboration, talent development, joint investment, and integrated distribution, moving beyond unidirectional content exports or event-centered cultural exchanges.

A panel discussion takes place during GenTube Film Fest 2025 at BeyondX Living Lab in Singapore.The session, titled “Fireside Chat: The Creator’s Edge – AI as a True Creative Partner,” features Jaze Phua (CEO, Dear.AI GenTube), Daniel Yam (Director, Finding You), and Distinguished Professor Samseog Ko sharing insights as panelists on stage.Audience members attentively listen and actively participate, exploring how artificial intelligence empowers creators and fosters new possibilities in media, entertainment,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rom 'Producer-Consumer' to 'Creative Companion'

Professor Ko emphasizes that the content industry's ultimate goal is not solely economic gain. "The content industry must transcend simp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export and import relationships. We must aim to create deeper cultural empathy that transcends borders and ethnicities."

His concept of "cultural companion" suggests that if Hallyu thus far has been about "sending Hallyu," going forward it should become "creating and enjoying Hallyu together" with Asian countries and local creators. Moving beyond "producer-consumer relationships" to "creative companion relationships" means a cooperation model where all Asian cultural partners plan together, create together, grow together, and share the results.

This requires deep mutual understanding of each Asian country's culture. The key is respecting each country's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while discovering shared Asian values and sentiments to present to the world, and creating rich, multi-layered Asian cultural content through collaboration among creators from diverse Asian backgrounds.

Toward the Next 30 Years of Hallyu

AI CON 2025 demonstrated Asia's current state of AI technology innovation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plore Hallyu's future direction. It confirmed new cooperation possibilities where Singapore's government-driven AI strategy meets Korea's content competitiveness.

The Next Korean Wave Initiative presented by Professor Ko contains a vision reviewing Hallyu's past 30 years and designing the next 30 years of Asian content. The core is shifting from K-content's solo growth to all of Asia's mutual prosperity, from unilateral exports to collaborative creation.

As Korea-ASEAN mark 35 years of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a new chapter of culture and content cooperation is opening beyond economic collaboration. Southeast Asian countries seek to become partners actively participating in creation and investment rather than mere consumers, while Korea also explores sustainable models for growing together with all of Asia.

Professor Ko, who has designed Korea's media, content, and IT policies for 30 years as former Standing Commissioner of the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current member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I Strategy, presented this strategy based on experience spanning policy and practice. This vision, systematized in his book "Next Korean Wave," developed into concrete implementation plans through AI CON 2025, receiving international attention.

The next 30 years of Hallyu are projected to become a history of cultural community created together by all of Asia.

Two pillars of coevolution and EnterTech, convergence of AI and culture, and a new paradigm of "creative companion relationships" beyond "producer-consumer" dynamics.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is vision presented at Singapore's AI CON 2025 will expand beyond Korea-ASEAN to Northeast Asia and eventually worldwide, creating a truly global cultural ecosystem.


About Professor Samseog Ko

  • Distinguished Professor, College of AI Convergence, Dongguk University
  • Former Commissioner,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Vice-Minister level)
  • Member, Presidential Committee on AI Strategy
  • Standing Representative, National Assembly Enertech Forum
  • 30 years designing Korea's media, content, and IT policies
  • Author: "Next Korean Wave," "5G Hyper-Connected Society: A Completely New World," etc.
  • Contact: kossgo@gmail.com
“NEXT Hallyu”

세계 최대 AI 소비자 쇼에서 한-아세안 콘텐츠 협력의 새로운 비전 공개

2025년 10월 3~4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AI 소비자 페스티벌 'AI CON 2025'가 1만여 명의 참가자와 100개 이상의 기업·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AI for Everyone'을 주제로 싱가포르 Keppel Road의 BeyondX Living Lab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F1 위켄드와 연계되어 아시아 AI 기술 혁신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장이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 특히 주목받은 것은 고삼석 동국대학교 AI융합대학 석좌교수(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현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위원)가 제시한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Next Korean Wave Initiative)'였다. 한류 30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아세안 콘텐츠 공진화 전략과 AI 기술 융합 방안을 담은 이 제안은 싱가포르 정부 관계자와 동남아시아 콘텐츠 업계로부터 아시아 문화 산업의 새로운 협력 모델로 평가받았다.

AI CON 2025: 아시아가 주도하는 AI 혁신의 장

싱가포르 라하유 마잠(Rahayu Mahzam) 디지털개발·정보부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Digit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국무장관이 개회사를 통해 국가 AI 비전을 선포하며 시작된 AI CON 2025는 전통적인 기술 컨퍼런스와는 다른 접근을 보여주었다. 교육·혁신·라이프스타일·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컨슈머 중심 페스티벌로 설계되어, 일반 시민부터 글로벌 기업 관계자까지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냈다.

행사는 세 가지 핵심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LIVE(일상과 사회) 영역에서는 스마트홈, 모빌리티, 헬스·웰니스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AI 익스플로러 존이 운영되었고, 테슬라 쇼케이스와 지속가능성 데모가 전시되었다. WORK(기업·역량·생산성) 영역에서는 주요 폴리테크닉 대학과 AI 스튜디오의 워크숍이 진행되었으며, IMI 아시아 후원의 VIP 비즈니스 트랙에서는 미래 일자리와 엔터프라이즈 AI에 관한 논의가 이어졌다.

PLAY(창조성·대중문화·엔터테인먼트) 영역은 AI와 문화 융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AI 펀 존에서는 e스포츠, 코스프레 대회, 라이브 공연이 펼쳐졌고, GenTube가 주관하는 AI 영화제에서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영상 콘텐츠가 상영되었다. 폐막 애프터파티에서는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이 DJ로 등장해 화제를 모았다. 전시장 곳곳에서는 AI 티셔츠 제작, AI 로봇 바리스타 카페, AI 체스 챌린지 등의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GenTube Film Festival 기조연설: "함께 만들고 즐기는 한류로"

행사 첫날인 10월 3일 저녁 7시 15분, BeyondX Building에서 열린 GenTube Film Festival 오프닝에서 고삼석 교수는 '생성형 AI시대 한-아세안 콘텐츠 및 AI 공진화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이 자리는 AI 기술과 창작이 결합된 영상물을 전 세계 창작자들과 함께 선보이는 글로벌 무대였다.

"'K-콘텐츠의 나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왔습니다." 고 교수는 최근 출간한 저서 『넥스트 한류: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만들 한류의 미래』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며 연설을 시작했다. "이 책의 첫 번째 핵심 메시지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어떻게 협력하고 함께 발전할 것인가, 즉 한-아세안 콘텐츠 공진화입니다. 두 번째는 인공지능 시대에 콘텐츠와 AI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 즉 콘텐츠 산업의 혁신 전략입니다."

그는 1997년 중국 CCTV에 한국 드라마가 방송되며 시작된 한류의 28년 여정을 짚었다. K-콘텐츠는 미국 4대 엔터테인먼트 상을 수상했고, 넷플릭스 미국 내 가장 많이 소비되는 비영어권 콘텐츠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소니픽처스와 넷플릭스가 공동 제작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글로벌 흥행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고 교수는 이러한 성과 뒤에 존재하는 과제들을 지적했다.

"지금까지 K-콘텐츠는 해외 시장에 대한 일방적인 진출과 수출 중심 전략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일방적인 전달, 반복적인 포맷, 팬덤 피로도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아세안 국가들도 자국의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고자 합니다."

고 교수는 지난 3년간 동남아시아, 중국, 미국 등을 방문하며 현지 전문가들과 나눈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K-콘텐츠가 지속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함께 발전하고, 발전의 성과를 공유해야 합니다."

공진화와 엔터테크: 두 가지 핵심 전략

고 교수가 제시한 해법은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공진화(Coevolution) 전략이다.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빠른 경제성장과 젊은 인구, 강력한 소셜 미디어 영향력을 기반으로 K-콘텐츠의 핵심 소비 지역이 되었습니다. 양측은 콘텐츠 수출-수입을 넘어 문화교류, 공동 투자 및 제작, 기술 협업, 인재 양성 및 교류 등 모든 분야에서 상생 전략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는 공동 기획, 공동 제작, 공동 투자, 공동 유통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여 아시아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이다. 태국은 자체 콘텐츠 산업 육성과 함께 한국과의 공동 제작을 통해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아시아 콘텐츠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다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아시아 각국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는 엔터테크(EnterTech), 즉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의 결합이다. "콘텐츠 발전의 역사는 기술 발전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 합니다.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흑백TV에서 컬러TV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기술이 발전하며 콘텐츠 산업도 발전했습니다.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콘텐츠 산업은 다시 한번 혁명적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미 드라마, 팝, 영화, 광고 등 모든 제작 현장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다. 넷플릭스와 유튜브는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플레이브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등장했으며, VR 콘서트가 일상화되고 있다. "엔터테크는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콘텐츠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합니다. AI 도입으로 인한 변화는 콘텐츠 산업에서 가장 먼저, 가장 크게 나타날 것입니다."

고 교수는 연설을 마무리하며 콘텐츠 산업의 본질적 가치를 강조했다. "주요 선진 국가에서 콘텐츠 산업이 경제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콘텐츠 산업은 단순 생산과 소비, 수출과 수입의 관계를 넘어야 합니다. 국경과 민족을 초월하여 보다 깊은 문화적 공감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우리 모두가 함께 즐기고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동반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고 교수는 제이스 푸아(Jaze Phua, Dear.AI 공동 창업자이자 AICON 설립자), 다니엘 얌(Daniel Yam, 싱가포르 출신 수상 경력 감독) 등과 함께 AI가 미디어와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했다.

미디어콥 방문: 한-싱가포르 협력의 구체화

행사 첫날 오전, 고 교수는 싱가포르 최대 공영방송사이자 동남아 대표 미디어 그룹인 미디어콥(Mediacorp) 본사를 방문했다. 미디어콥은 지상파 TV·라디오·디지털 플랫폼을 운영하며 CNA 등 글로벌 뉴스 네트워크를 통해 AI 기반 콘텐츠 제작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미디어콥 측에서는 Anil Nihalani CIO, Loh Chee Kong CNA Digital 편집장, Craig Dale TV News International 편집장, Julie Yoo 프레젠터, Tim Xu AI Products & Solutions Lead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동남아시아 및 글로벌 미디어 시장 공동 진출 전략, AI 기반 디지털 콘텐츠 혁신, 글로벌 미디어·콘텐츠 생태계 변화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미디어콥의 AI 전환(AX) 및 글로벌 확장 전략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NA 등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다국어 뉴스 자동 번역, 맞춤형 콘텐츠 제작, 실시간 뉴스룸 자동화 등이 실전에 적용되고 있었다.

고 교수는 K-콘텐츠 및 한국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글로벌 확장과 싱가포르 현지화 파트너십 가능성을 제시했다. 양측은 OTT, AI 기반 광고, 구독 기반 콘텐츠, IP 사업 등 새로운 디지털 수익모델 개발에 관심을 보였으며, 한국의 콘텐츠 기획력과 싱가포르의 AI 응용 기술,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합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양측은 한·싱가포르 간 AI·문화·콘텐츠 교류 활성화와 공동 혁신 연구 추진에 합의했다. 향후 공동 연구 프로젝트, 콘텐츠 공동 투자, IP 펀드 조성, AI·엔터테크 협력 모델 발굴 등으로 협력을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싱가포르 현지의 관심: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AI CON 2025 기간 동안 고 교수가 제시한 비전은 현지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과 미디어·IT 기업 관계자들은 이를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로 부르며 다양한 질문과 논의를 이어갔다.

싱가포르의 관심은 여러 배경에서 나타났다. 첫째, 한국 정부의 AI 강국 전략에 대한 관심이다. 싱가포르는 AI 국가경쟁력에서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AI 응용 기술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인구 600만명의 내수 한계를 넘어 45억명의 아시아·태평양 시장을 겨냥해온 싱가포르는 한국과의 AI 협력에서 가능성을 발견했다.

둘째, 싱가포르 정부의 콘텐츠 산업 육성 정책과 연관된다. 다민족·다언어 사회인 싱가포르는 K-콘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자국 콘텐츠 산업 발전에도 주력하고 있다. 고 교수가 제시한 공동 창작 생태계 모델은 일방적 수입이 아닌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십으로, 싱가포르의 관심사와 부합했다.

고 교수는 "한국과 콘텐츠 및 AI 분야 교류 협력 의사가 높았으며, 한국을 좋은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현지 관계자들은 한-싱가포르 콘텐츠 연대, AI 연대 구축 등 구체적 협력 방안에 관심을 보였다.

아시아 공동 콘텐츠 생태계의 핵심 전략

고 교수가 제시한 아시아 공동 콘텐츠 생태계 전략은 네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째, 공동 기획으로 아시아 각국의 문화적 특성과 시장 니즈를 반영한 콘텐츠를 처음부터 함께 기획한다. 둘째, 공동 제작으로 각국의 강점을 결합한 제작 시스템을 구축한다. 한국의 제작 역량, 싱가포르의 기술 인프라, 태국의 창의성 등을 통합하는 것이다.

셋째, 공동 투자로 개별 국가가 아닌 아시아 연합 차원의 펀드를 조성하여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상력을 높이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다. 넷째, 공동 유통으로 글로벌 플랫폼 진출과 함께 아시아 자체 플랫폼도 육성한다. 공동 제작 프로그램 운영, 기술 및 데이터 공유, 공동 마케팅을 통해 아시아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의 기반에는 '아시아 상생(Asia Win-Win)' 철학이 있다. 일방향 콘텐츠 수출이나 이벤트 중심 문화 교류를 넘어, 문화 교류·공동 제작·기술 협업·인재 양성·공동 투자·통합 유통 등 모든 분야에서 함께 성장하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생산-소비'를 넘어 '창작적 동반자'로

고 교수는 콘텐츠 산업의 궁극적 목표가 경제적 이익만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콘텐츠 산업은 단순 생산과 소비, 수출과 수입의 관계를 넘어야 합니다. 국경과 민족을 초월하여 보다 깊은 문화적 공감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그가 제시하는 '문화적 동반자' 개념은 지금까지의 한류가 '보내는 한류'였다면, 앞으로는 아시아 각국 및 현지 창작자들과 '함께 만들고 즐기는 한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생산-소비 관계'를 넘어 '창작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아시아의 모든 문화 파트너들과 함께 기획하고, 함께 만들고, 함께 성장하며, 성과도 함께 나누는 협력 모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시아 각국의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상호 이해가 필요하다. 각국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존중하면서도 아시아 공통의 가치와 정서를 발굴하여 세계에 제시해야 한다. 다양한 아시아 배경의 창작자들의 협업을 통해 풍부하고 다층적인 아시아 문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한류의 다음 30년  '함께 성장하는 문화 공동체의 역사'

AI CON 2025는 아시아 AI 기술 혁신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동시에, 한류의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싱가포르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는 AI 전략과 한국의 콘텐츠 경쟁력이 만나 새로운 협력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AI CON 2025에서 고삼석 교수는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를 선포하며, 한류의 미래 패러다임 대전환을 힘 있게 강조했다. 고 교수의 구상은 단순한 K-콘텐츠 수출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 각국과의 ‘공동 기획, 공동 제작, 공동 투자, 공동 유통’을 아우르는 진정한 문화 공동체의 구축이다.
그의 ‘넥스트 한류’는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엔터테크)의 융합을 중심에 두고, 글로벌 플랫폼 의존을 넘어, 아시아 동반 성장의 창조적 파트너십을 제안한다. AI,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이 창작, 제작, 소비 전반을 혁신하는 시대, ‘기술 없는 한류’는 더 이상 불가능하며, 이제 콘텐츠 산업의 본질이 곧 기술 혁신과 결합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특히 고 교수는 단방향 콘텐츠 수출 구조의 한계를 직시하며, 팬덤 피로, 포맷의 반복, 생태계 다양성 저해 등 구조적 한계에 대한 성찰을 촉구한다. 이제 한류 소비국과 이용자들이 직접 창작과 투자, 유통에 참여하는 ‘함께 만들고 즐기는 한류’, ‘지속가능한 한류’로 패러다임을 확 바꿔야 한다고 역설한다.

넥스트 한류의 궁극적 비전은 “문화의 힘이 강한 나라, 품격 있는 경제강국” 대한민국, 그리고 아시아 전체의 상생과 문화적 공동 번영에 있다.
AI CON 2025에서 선포된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는 추상적인 구호가 아니라, 다년간의 정책 경험과 현장 실천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실행 전략과 실현 가능한 로드맵을 담고 있다는 평가다.

이 비전은 대한민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와 협력하는 글로벌 문화 생태계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해야 함을 명확히 천명한다. 특히 이번 AI CON 2025 현장은 이러한 미래상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곧 현실로 구현될 수 있음을 국제사회에 힘 있게 보여준 결단의 장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고삼석 동국대학교 석좌 교수 약력

  • 현 동국대학교 AI융합대학 석좌교수
  •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
  • 현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위원
  • 국회 엔터테크포럼 상임대표
  • 30년간 한국의 미디어·콘텐츠·IT 정책 설계
  • 저서: 『넥스트 한류』, 『5G 초연결사회, 완전히 새로운 세상』 등
  • 연락처: kossgo@gmail.com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