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PCOM 2025] Closes with Record Success, K-Content Reaches Global Peak
107개국 1만600명 참여…K-콘텐츠 글로벌 위상 재확인. 한국, 미국 해외제작 2위·스트리밍 로컬 오리지널 1위 달성. 밉컴, 유튜브 첫 본격 참여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전면 부상
MIPCOM 2025 Ushers in a FAST-Powered Era for Global Media
밉컴2025, FAST에 주목. FAST시장 "83억→325억 달러, 5년간 4배 폭증" 글로벌 미디어 산업 패러다임 전환. 그러나 Zee·Fremantle 등 콘텐츠사들의 FAST 데이터 투명성 요구와 플랫폼 간 긴장
MIPCOM 2025: The Big Bang of Traditional Media and Creator Economy
밉컴2025, 유튜브 20주년 첫 밉컴 참가… 연 매출 22억 유로 바니제이와 전격 파트너십 '빅 브라더' 제작사, 5만 유로 지원 크리에이터 랩 출범… 휴면 IP 디지털 전환 실험. BBC "조회수 버리고 팬덤 선택"… 1조 달러 크리에이터 시장, 대형 스튜디오 시대 개막
Korea Emerges as 2nd U.S. Overseas TV Production Hub: 7 Major Shifts in Global Content Trends
한국, 미국 해외 TV 제작지 2위 도약...캐나다 이어 13.5% 점유율 기록...루미네이트 밉콤에서 공개. 넷플릭스 오리지널 64%가 비영어권 시리즈...2022년 46%서 3년새 급증 21조 개 데이터 분석 결과..."문화적 임팩트, 이제 영화·TV·음악·게임 경계 넘어"
[MIPCOM 2025] Warner Bros. Bidding War Intensifies as K-Content Solidifies Global Standing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 밉컴(Mipcom) 2025 13일 프랑스 칸에서 개막. 미디어 대통합의 회오리 속에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AI 등장 등 글로벌 콘텐츠 경쟁 새 국면 진입. K콘텐츠 인기 속 AI 예술교육 모델로 미래 크리에이터 양성 전략 제시.
K-Nevada Gateway 2025: Korean Deep-Tech Startups Find New Path to US Market
'K-Nevada Gateway 2025', 한국 딥테크의 미국 진출 새 길 열다 "실리콘밸리 4시간 거리에 0% 법인세"... 5년간 2000개 기업 리노 이전/ 김캐디·엘이디온·메이즈· 현지·대학·컨벤션.연구기관과 협렵과 미국 진출 위한 파트너십 체결 KSEA 네바다 지부 창립·투자클럽 운영... 일회성 아닌 장기 지원 체계 구축
네바다주 리노-스팍스, 7대 전략 산업으로 '미서부 경제 허브' 도약
네바다주 리노-스팍스, 7대 전략 산업으로 '미서부 경제 허브' 도약.10년간 9만명 유입·클린에너지 전국 1위... K-Nevada Gateway로 한국 기업 진출 가능성 검증
AI and Entertainment Tech: Driving the Next Wave of K culture
AI와 엔터테크, 한류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 K-콘텐츠 전 분야에 AI 기술 확산… 창작·유통·팬덤 혁신 주도. 한정훈 K엔터테크허브 대표 "AI가 한류의 미래 경쟁력 좌우" 싱가포르 AICON서 강조
"한류, 이제 아시아와 함께 만든다"...고삼석 교수 싱가포르 AICON서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발표
고삼석 교수 '넥스트 한류 이니셔티브' 발표..."한류, 이제 아시아와 함께 만든다". 세계 최대 AI 축제 'AI CON 2025' 기조연설...한-아세안 콘텐츠 공진화·엔터테크 융합 전략 제시
Sora 2 Sparks Hollywood's AI War: "Our IP Is Under Siege"
OpenAI '소라 2', 저작권 보호 없이 유명인·캐릭터 무단 생성...할리우드 집단 반발. 디즈니·워너 등 메이저 스튜디오 "AI의 IP 도용" 강력 비판...법적 대응 초읽기. 트럼프의 AI 규제 완화 속 한국도 위험..."K-콘텐츠·한류스타 보호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