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C Chairman's Podcast Threat Leads to Jimmy Kimmel Show Suspension in Just 5.5 Hours
FCC 의장 팟캐스트 위협 5시간 반 만에... ABC, 지미 키멜 쇼 무기한 중단
브렌단 카 FCC 의장 "쉬운 길이냐 어려운 길이냐" 노골적 협박... 방송사들 즉각 굴복
60억 달러 인수합병 승인권 볼모로 넥스타·싱클레어 줄줄이 방송 차단 선언
트럼프 시대 언론 자유의 종말... "다음 차례는 누구?" 미국 언론계 공포 확산
FCC Chairman's Podcast Threat Leads to Jimmy Kimmel Show Suspension in Just 5.5 Hours
Nexstar and Sinclair Block Broadcasts as $6 Billion Merger Hangs in Balance... Disney Immediately Capitulates
On September 19, 2025, ABC announced the indefinite suspension of its flagship late-night talk show "Jimmy Kimmel Live!" The decision came just 5 hours and 30 minutes after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Chairman Brendan Carr issued public threats on a right-wing podcast, following Kimmel's criticism of MAGA supporters regarding the Charlie Kirk murder case two days earlier.
Timeline of Events
September 17, Monday 11:35 PMJimmy Kimmel delivered his opening monologue addressing the Charlie Kirk murder case from the weekend. "We hit some new lows over the weekend with the MAGA gang desperately trying to characterize this kid who murdered Charlie Kirk as anything other than one of them," Kimmel criticized.
September 19, Wednesday 8:00 AMPresident Trump posted on Truth Social: "Jimmy Kimmel should apologize to the American people."
1:00 PMFCC Chairman Brendan Carr appeared on Benny Johnson's right-wing podcast. Carr stated, "When you see stuff like this, I mean, look, we can do this the easy way or the hard way. These companies can find ways to change conduct and take action frankly on Kimmel or you know there's going to be additional work for the FCC ahead."
Carr directly urged local ABC affiliates to "push back on Comcast and Disney" and "pre-empt" the program.
6:11 PMNexstar, which owns 32 ABC affiliate stations, announced it would "pre-empt 'Jimmy Kimmel Live!' for the foreseeable future." The statement read: "Nexstar strongly objects to recent comments made by Mr. Kimmel concerning the killing of Charlie Kirk."
Around 6:25 PMSinclair Broadcast Group, owning 31 ABC affiliates, also announced it would suspend Kimmel's program.
6:30 PMABC officially announced the "indefinite suspension" of Jimmy Kimmel Live!
7:00 PMFCC Chairman Carr posted on social media: "I want to thank Nexstar for doing the right thing."
The $6 Billion Dilemma
Behind Nexstar's swift action was a $6 billion acquisition deal. In August 2025, Nexstar announced its plan to acquire competitor Tegna, which owns 13 ABC affiliate stations.
The deal requires FCC approval. More critically, current regulations cap single entity TV station household reach at 39%. The Nexstar-Tegna merger would likely exceed this limit, making the deal impossible without FCC regulatory relief.
Combined, Nexstar, Sinclair, and acquisition target Tegna represent 76 of ABC's 205 affiliate stations (37%) that refused to air Kimmel's show.
Disney's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New York Times, Disney CEO Robert A. Iger and his lieutenants received concerned calls from advertisers throughout the afternoon of September 19.
Disney had already paid a settlement in Trump's defamation lawsuit against ABC News in 2024, a rare capitulation by a major news organization to a sitting president.
Disney executives worried that another opening monologue on Wednesday evening could further inflame the situation, The Times reported.
Political Use of Broadcast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broadcast television requires FCC licensing, and mergers between broadcasters need FCC approval. The FCC also has regulatory authority over broadcast content.
An FCC chairman publicly threatening a specific program and achieving its cancellation within hours is unprecedented in American broadcast history.
"Pre-emption" in broadcasting refers to replacing scheduled programming with alternative content. While local affiliates can block network programs, government agencies encouraging this is a different matter.
Advertiser Exodus
Following the Kimmel show suspension, major advertisers began reconsidering their late-night talk show advertising strategies. P&G, Coca-Cola, and General Motors are revising their advertising strategies citing "brand safety,"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ther Networks' Response
After Kimmel's suspension, political satire on other late-night shows, including CBS's Stephen Colbert and NBC's Seth Meyers, noticeably softened.
Fox News characterized Kimmel's comments as "political attacks that crossed the line," while conservative media outlets supported ABC's decision.
Legal Issues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ACLU) announced it is reviewing legal options regarding this case. Co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First Amendment press freedom protections may be raised.
However, the current 6-3 conservative majority on the Supreme Court and Trump-appointed judges comprising much of the lower federal courts present challenges.
International Reaction
Reporters Without Borders stated in a press release that "the United States' press freedom index needs reassessment." The U.S. currently ranks 45th on the press freedom index.
The BBC covered the story as major news, reporting "concerns about American press freedom are growing."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This case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 regulatory independence and press freedom. South Korea has similar regulatory bodies like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whose political independence directly affects press freedom.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what choices broadcasters will make when forced to choose between economic interests (mergers, advertising revenue) and journalistic independence.
Future Outlook
The return date for Jimmy Kimmel Live! remains unclear. ABC only announced an "indefinite suspension" without providing specific plans.
Concerns are rising that this incident could lead to self-censorship at other media organizations and broadcast programs, particularly for late-night talk shows that feature political satire and criticism as primary content.
Questions remain about how far the FCC's broadcast regulatory authority can extend and whether judicial checks on such power are possible.
September 19, 2025, will be recorded in American broadcast history as the day a major program was suspended due to pressure from a government regulatory agency. Just 5 hours and 30 minutes from the FCC chairman's podcast remarks to ABC's capitulation. This brief period demonstrated how vulnerable press freedom is when faced with economic pressure.
2025년 9월 19일은 미국 방송 역사에서 정부 규제 기관의 압력으로 주요 프로그램이 중단된 날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ABC가 간판 심야 토크쇼 '지미 키멜 라이브!(Jimmy Kimmel Live!)'를 무기한 중단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는 진행자 지미 키멜(Jimmy Kimmel)이 이틀 전 보수 활동가 찰리 커크(Charlie Kirk) 살해 사건을 언급하며 MAGA 지지자들을 비판한 후 벌어진 일이다.
특히, 방송 중단이 연방통신위원회(FCC) 브렌던 카(Brendan Carr) 의장이 우익 팟캐스트에서 공개 위협을 한 지 불과 5시간 30분 만의 결정이어서 '방송 규제권한'이 방송사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줬다. FCC 의장의 팟캐스트 발언부터 ABC의 굴복까지 단 5시간 30분. 이 짧은 시간은 언론 자유가 경제적 압박 앞에서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줬다.
Benny Johnson
시간대별 사건 전개
9월 17일 월요일 밤 11시 35분
지미 키멜이 오프닝 독백에서 찰리 커크 살해 사건을 다뤘다. "주말 동안 MAGA 집단이 찰리 커크를 살해한 이 아이를 자신들과 무관한 사람으로 묘사하려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새로운 저점을 목격했다"고 비판했다.
9월 19일 수요일 오전 8시
트럼프 대통령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지미 키멜은 미국인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포스팅했다.
오후 1시
FCC 의장 브렌던 카가 베니 존슨(Benny Johnson)의 우익 팟캐스트에 출연했다. 카 의장은 "이런 것들을 보면, 우리는 쉬운 방법으로 갈 수도 있고 어려운 방법으로 갈 수도 있다(we can do this the easy way or the hard way)"며 "이 회사들이 스스로 키멜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도 있고, 아니면 FCC가 추가 작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카 의장은 또한 지역 ABC 계열사들에게 "컴캐스트(Comcast)와 디즈니(Disney)에 맞서 선제 차단(pre-empt)을 하라"고 직접 촉구했다.
오후 6시 11분
ABC 계열사 32개를 소유한 넥스타(Nexstar)가 "지미 키멜 라이브를 당분간 방송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성명에서 "찰리 커크 살해와 관련한 키멜 씨의 최근 발언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오후 6시 25분경
ABC 계열사 31개를 소유한 싱클레어 방송그룹(Sinclair Broadcast Group)도 키멜 쇼 방송 중단을 발표했다.
오후 6시 30분
ABC가 "지미 키멜 라이브를 무기한 중단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오후 7시
FCC 의장 브렌던 카가 소셜미디어에 "넥스타가 올바른 일을 해줘서 감사하다(I want to thank Nexstar for doing the right thing)"고 포스팅했다.
< 소유주별로 '키멜쇼 중단 예고' ABC 중계 방송사>
소유주 (KOR) | 방송국 수 (KOR) | Owner (ENG) | Number of Stations (ENG) | 키멜 쇼 중단 (KOR) | Kimmel Show Preempt (ENG) |
---|---|---|---|---|---|
신클레어 | 31개 방송국 | Sinclair | 31 stations | 예 | Yes |
넥스타 | 32개 방송국 | Nexstar | 32 stations | 예 | Yes |
테그나 | 13개 방송국 | Tegna | 13 stations | 예 (예정) | Yes (planned) |
기타 계열사 | 129개 방송국 | Other affiliate owners | 129 stations | 아니오/미공개 | No / Not disclosed |
합계 | 205개 방송국 | Total | 205 stations |
- 데이터 출처는 FCC, ABC, Nexstar, Sinclair, Tegna, 뉴욕타임스 보도 기반입니다.
넥스타(Nexsta)의 60억 달러 딜레마
넥스타가 신속하게 움직인 배경에는 60억 달러 규모의 인수합병이 있었다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넥스타는 2025년 8월 경쟁사 테그나(Tegna)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테그나는 ABC 계열사 13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 거래가 성사되려면 FCC의 승인이 필수다. 더 중요한 것은 현행 규정상 단일 기업의 TV 방송 전국 가구 도달률 상한선이 39%라는 점이다. 넥스타-테그나 합병 후 이 한도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 FCC가 상한선을 올려주지 않으면 거래 자체가 불가능하다. 넥스타와 싱클레어, 그리고 인수 대상인 테그나를 합치면 ABC 전체 205개 계열사 중 76개(37%)가 키멜 쇼 방송을 거부한 셈이다.
디즈니의 계산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디즈니(Disney) CEO 로버트 아이거(Robert A. Iger)와 측근들은 19일 오후 광고주들로부터 우려의 전화를 받았다. 디즈니는 2024년 트럼프가 ABC 뉴스를 상대로 제기한 명예훼손 소송에서 이미 합의금을 지불한 바 있다. 이는 주요 언론사가 대통령에게 굴복한 이례적인 사례였다.
디즈니 경영진은 수요일 저녁 키멜 쇼 녹화가 시작되기 전, 또 다른 오프닝 독백이 상황을 악화시킬 가능성을 우려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방송 규제의 정치적 활용
미국 지상파 방송 방송은 FCC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방송사 간 인수합병도 FCC 승인이 필요하다. FCC는 또한 방송 내용에 대한 규제 권한도 갖고 있다. FCC 의장이 특정 프로그램을 겨냥해 공개적으로 위협하고, 실제로 그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것은 미국 방송 역사상 이례적인 일이다.
방송 업계에서 '선제 차단(pre-empt)'은 예정된 프로그램을 방송하지 않고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계열사들이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정부 기관이 이를 종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키멜 쇼 중단 이후 주요 광고주들이 정치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 심야 토크쇼 광고를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P&G, 코카콜라(Coca-Cola),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 등이 "브랜드 안전성"을 이유로 광고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고 업계 소식통들이 전했다.
키멜 쇼 중단 이후 CBS의 스티븐 콜베어(Stephen Colbert), NBC의 세스 마이어스(Seth Meyers) 등 다른 심야 토크쇼 진행자들의 정치 풍자 수위가 눈에 띄게 낮아졌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폭스뉴스(Fox News)는 키멜의 발언을 "선을 넘은 정치적 공격"이라고 보도했고, 보수 성향 매체들은 ABC의 결정을 지지했다.
법적 쟁점
미국시민자유연합(ACLU)은 이 사건과 관련해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수정헌법 1조가 보장하는 언론의 자유와 관련된 헌법적 쟁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연방대법원이 6대3 보수 우위를 보이고 있고, 하급법원 판사의 상당수가 트럼프 임명 판사라는 점이 변수다.
국경없는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는 성명을 통해 "미국의 언론자유지수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은 언론자유지수 45위를 기록하고 있다. 영국 BBC는 이 사건을 주요 뉴스로 다루며 "미국 언론 자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사건은 방송 규제 기관의 독립성과 언론 자유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다. 한국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같은 규제 기관이 있으며, 이들의 정치적 독립성은 언론 자유와 직결된다. 또한 방송사들이 경제적 이익(인수합병, 광고 수익 등)과 언론의 독립성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을 때,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가라는 문제도 제기된다.
향후 전망
지미 키멜 쇼의 복귀 시점은 불투명하다. ABC는 "무기한 중단"이라고만 발표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 않았다.
이 사건이 다른 언론사와 방송 프로그램들의 자기 검열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정치 풍자와 비판을 주요 콘텐츠로 하는 심야 토크쇼들의 변화가 주목된다. FCC의 방송 규제 권한이 어디까지 확대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사법적 견제가 가능한지도 관심사다.